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68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orts in social welfare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out-of-school adolescents have been request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influe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perform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conducted data analyses by utiliz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influenced significantly negatively life satisfac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social stigma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in turn,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lso, levels of social stigma de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in turn,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double-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social stigma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then de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finally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vers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efforts in social welfare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out-of-school adolescents have been request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s...

      The efforts in social welfare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of out-of-school adolescents have been requeste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influence.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perform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conducted data analyses by utiliz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influenced significantly negatively life satisfac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social stigma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in turn,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lso, levels of social stigma de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in turn,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depression and self-esteem double-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life satisfaction. Levels of social stigma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then decreased levels of self-esteem, and finally decreased levels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vers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out-of-school adolescent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분야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사회적 낙인감이 미치는 영향력과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생활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거나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고 이어서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최종적으로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분야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사회적 낙인감이 미치는 영향력과 ...

      학교 밖 청소년을 지원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분야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에 사회적 낙인감이 미치는 영향력과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자료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생활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거나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사회적 낙인감은 우울감을 높이고 이어서 자아존중감을 낮추어 최종적으로 생활 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혜영, "현장상담자들이 인식한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과 개입방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53-179, 2013

      2 구재선,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35-50, 2012

      3 강성율, "한부모가정 아동·청소년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와 지역사회지지의 다중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 137-157, 2015

      4 이종원,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Ⅳ: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5 이경상,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Ⅱ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6 조혜정,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35-61, 2017

      7 교육통계서비스, "학업중단현황"

      8 오혜영,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 (19): 125-154, 2011

      9 김민선,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29-1056, 2019

      10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중단 후 경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I 데이터 분석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1 오혜영, "현장상담자들이 인식한 학업중단청소년의 특성과 개입방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53-179, 2013

      2 구재선,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35-50, 2012

      3 강성율, "한부모가정 아동·청소년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와 지역사회지지의 다중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 137-157, 2015

      4 이종원,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Ⅳ: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5 이경상,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Ⅱ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6 조혜정, "학업형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35-61, 2017

      7 교육통계서비스, "학업중단현황"

      8 오혜영,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까지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 (19): 125-154, 2011

      9 김민선,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29-1056, 2019

      10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과 중단 후 경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I 데이터 분석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11 이종남,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7 (27): 97-117, 2020

      12 박봉선,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소 62 : 81-106, 2019

      13 성경주,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7 (7): 305-315, 2020

      14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15 이래혁,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2018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51) : 177-204, 2019

      16 박지원,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3) : 5-30, 2020

      17 이화명,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27-153, 2016

      18 한아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07-227, 2020

      19 박동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5 (5): 71-87, 2019

      20 문진영,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에 관한 상호관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43-355, 2020

      21 박주영,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 33 (33): 97-105, 2020

      22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23 이현응,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 및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59-83, 2011

      24 이상록, "청소년의 행복감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6 (26): 413-438, 2015

      25 허미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타심과 자기통제에 의한 또래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29-49, 2016

      26 박태희,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53-361, 2014

      27 김신영, "청소년발달지표조사 1: 결과부분 측정지표 검증" 한국청소년개발원 2006

      28 정득,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환경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의 상호작용"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73-284, 2015

      29 제미영, "중학생 우울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 (20): 361-385, 2012

      30 이윤화, "조손가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낙인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2 (12): 137-158, 2010

      31 주금옥, "정규교육 중도탈락 청소년의 진로장애 지각에 관한 탐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2 고선주,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8 (18): 53-77, 2012

      33 홍연란, "저소득층 아동의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179-189, 2016

      34 오명희,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우울성향 아동의 자아개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5 안은미, "우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정외보호 여부와 또래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5) : 209-230, 2019

      36 정은진, "아동의 자기존중감과 우울의 종단적 상호관계" 한국상담학회 14 (14): 1107-1124, 2013

      37 최인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Ⅱ: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38 전명순, "부모의 양육태도, 우울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123-132, 2018

      39 이은경,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31 (31): 87-106, 2010

      40 한아름, "부모의 삶의 만족도, 긍정적 양육행동,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가구와 일반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24, 2018

      41 Siegel, L., "범죄학: 이론과 유형"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08

      42 석말숙, "가족요인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55-74, 2015

      43 안은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낙인감 발달궤적이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29-244, 2019

      44 Pearlin, L. I., "The stress process" 22 : 337-356, 1981

      45 Daley, A., "The social complexities of disability : Discrimination, belonging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anadian youth" 5 : 55-63, 2018

      46 Fredrick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56 : 218-226, 2001

      47 Goffman, E.,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rentice Hall 1963

      48 Crocker, J,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 Situational construction of self-worth" 35 (35): 89-107, 1999

      49 Rose, A. L., "Self‐stigma and domains of well‐being in high school youth : Associations with self‐efficacy, self‐esteem, and self‐criticism" 56 (56): 1344-1354, 2019

      50 Medley, M. L,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 sixty five years and older" 31 (31): 448-455, 1976

      51 Marsh, H. W., "Reciprocal effects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self-esteem, achievement, and attainment over seven adolescent years : Un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perspectives of self-concept" 34 (34): 542-552, 2008

      52 Mickelson, K. D, "Perceived stigma,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27 (27): 1046-1056, 2001

      53 Suldo, S. M., "Is extremely high life satisfaction during adolescence advantageous?" 78 : 179-203, 2006

      54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perspective" The Guilford Press 2018

      55 Harvey, R. 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henomenological impact of social stigma" 14 (14): 174-189, 2001

      56 Corrigan, P,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59 (59): 614-625, 2004

      57 Agnew, R, "Foundation for a general strain theory of crime and delinquency" 30 (30): 47-87, 1992

      58 Charles, W.,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McGraw-Hill 2006

      59 Diener, E.,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68 (68): 653-663, 1995

      60 Link, B. G., "Conceptualizing stigma" 27 (27): 363-385, 2001

      61 Rosenberg, M., "Conceiving the self" Basic Books 1979

      62 Scott, W. D., "Cognitive self-regulation and depression : Exami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goal characteristics in youth of a northern plains tribe" 18 (18): 379-394, 2008

      63 Joiner Jr, T. E., "Caught in the crossfire : Depression, self-consistency, self-enhancement, and the response of others" 12 (12): 113-134, 1993

      64 Rhode, P., "Are people changed by the experience of having an episode of depression? A further test for the scar hypothesis" 99 : 264-271, 1990

      65 Link, B. G., "A modified labeling theory approach to mental disorders : An empirical assessment" 54 (54): 400-423, 1989

      66 여성가족부, "2018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8

      67 Brown, B. A, ""I was terrified of being labelled" : Social experiences of ex-dropouts re-enrolled in secondary school in South Africa" 9 (9): 157-17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