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가 가정을 떠나 최초로 접하게 되는 사회 환경이 보육시설이며, 보육시설의 환경은 영유아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과정의 운영의 질을 높...
영유아가 가정을 떠나 최초로 접하게 되는 사회 환경이 보육시설이며, 보육시설의 환경은 영유아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과정의 운영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보육과정의 계획, 자료, 활동, 평가의 요인에 대해 시설장 및 보육교사의 응답을 통해 그 실태를 알아보고, 보육시설들의 보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과정 계획의 실태는 어떠하며, 응답자의 배경변인(시설유형, 직위, 경력, 소지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자료 활용의 실태는 어떠하며, 응답자의 배경변인(시설유형, 직위, 경력, 소지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과정 활용 및 평가의 실태는 어떠하며, 응답자의 배경변인(시설유형, 직위, 경력, 소지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보육과정 보수교육은 어떠하며, 응답자의 배경변인(시설유형, 직위, 경력, 소지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영유아보육시설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우편과 방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과정 계획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육계획 진단점수는 3.95로 매우 높게 나타나 조사대상 보육시설의 보육계획이 매우 짜임새 있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설유형별로 국공립과 법인의 진단점수가 직장, 가정, 민간 보육시설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간 보육과정과 행사는 대부분 시설장과 교사들의 종합의견으로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내용 계획시 적용하는 교육과정은 연령에 따라 영아는 보육과정, 유아는 유치원 교육과정을 적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보육과정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 어려운 점을 보면 관련자료 및 참고자료가 부족하며, 정보가 부족하여 적절한 활용이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둘째,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자료 활용 실태를 보면, 보육자료의 활용 진단점수는 3.66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조사대상 보육시설의 보육자료가 잘 구비되어 있고, 활용정도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설유형별로 국공립과 법인이 직장, 민간, 가정에 비해 진단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영유아보육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교수매체와 교수자료는 주로 사진 및 그림과 그림책,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매체와 교수자료에 대한 이용 정도는 상당히 높아, 교사들이 영유아의 보육과정에서 거의 대부분 보육자료를 활용하여 보육활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육 및 교육관련 자료 수급은 스스로 제작한 것과 구입한 것을 혼합하여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셋째, 영유아 보육시설의 보육과정 활동 및 평가의 진단점수는 3.84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조사대상 보육시설에서 보육과정의 활동 및 평가가 체계적이고 효율성 있게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시설유형별로는 직장, 민간, 가정의 보육시설에 비해 국, 공립과 법인 보육시설에서 보육과정 활동 및 평가가 더 체계적이고 효율성 있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 횟수는 매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일주일에 한번 한다는 응답도 많았다. 평가방법을 보면 관찰 기록지가 가장 많았으며, 평가 대상은 교사와 어린이 두 집단을 모두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넷째,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보육과정 보수교육에 대한 조사에서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보육교사는 이름은 듣고 있지만 내용은 잘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유치원 교육과정과 여성가족부의 표준보육과정내용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이해정도는 둘 다 조금씩만 이해하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표준보육과정 교육에 대해 참여할 의사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교사들이 생각하는 표준보육과정 교육의 바람직한 제시 방법은 보수교육으로 전체를 대상으로 시설에 피해주지 않는 날 하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자체교육을 통해 해야 한다는 응답이 다음으로 많았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보수교육의 방법을 보면 정기적으로 강습회나 위탁 교육 연수를 받는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보수교육 받을시 어려운 점을 보면 보수교육 날짜 및 시간이 적절하지 않아서가 가장 많았고, 보수교육 받을 시 대체교사가 구해지지 않을 경우, 옆반 담임께 혼합반을 의뢰한다와 원장님께 부탁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