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순영, "李白의 이미지 유형과 이백 문학의 회화" 한국미술사학회 274 (274): 111-147, 2012
2 송미숙, "후소회의 일제강점기 활동: 후소회전시회와 조선 미술전람회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4 : 133-169, 2016
3 장우성, "화맥인맥" 컬처북스 2013
4 "한유동 한국화 전시회"
5 조희성, "한국 현대 수묵채색화단의 태동 : 백양회, 묵림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한국 드로잉 100년 1870~1970"
7 박정혜, "한국 근대의 풍속 및 인물 주제의 초본 백묘화, 한국 근대의 백묘화" 홍익대학교박물관 111-120, 2001
8 김소연, "한국 근대기 미술 유학을 통한 ‘동양화’의 추구 ― 채색화단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7) : 249-276, 2014
9 홍선표, "한국 근대 미술사" 시공아트 2009
10 박나라보라, "한국 근대 고사·도석 인물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 유순영, "李白의 이미지 유형과 이백 문학의 회화" 한국미술사학회 274 (274): 111-147, 2012
2 송미숙, "후소회의 일제강점기 활동: 후소회전시회와 조선 미술전람회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4 : 133-169, 2016
3 장우성, "화맥인맥" 컬처북스 2013
4 "한유동 한국화 전시회"
5 조희성, "한국 현대 수묵채색화단의 태동 : 백양회, 묵림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한국 드로잉 100년 1870~1970"
7 박정혜, "한국 근대의 풍속 및 인물 주제의 초본 백묘화, 한국 근대의 백묘화" 홍익대학교박물관 111-120, 2001
8 김소연, "한국 근대기 미술 유학을 통한 ‘동양화’의 추구 ― 채색화단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7) : 249-276, 2014
9 홍선표, "한국 근대 미술사" 시공아트 2009
10 박나라보라, "한국 근대 고사·도석 인물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11 박나라보라, "한국 근대 故事․道釋 人物畵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7 : 99-130, 2013
12 장준구, "통도사 대광명전 내벽의 신선도(神仙圖)" 동서미술문화학회 18 (18): 189-208, 2020
13 "충남미술가편람 Ⅰ"
14 김현권, "청대 해파화풍의 수용과 변천" 한국미술사학회 (217·218) : 93-124, 1998
15 장준구, "진홍수의 은거 주제 회화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16 장준구, "중국의 관우도상: 명, 청대 회화에서의 전개와 시대적 변용을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76) : 85-118, 2006
17 홍선표, "조선시대회화사론" 문예출판사 1999
18 남예지, "조선시대 왕희지 고사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19 김수진, "조선 후기 병풍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0 박은화, "장승업의 고사인물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4 (24): 57-82, 2001
21 최경현, "일제강점기 백윤문의 이원적 창작활동" 미술사학연구회 (53) : 179-200, 2019
22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소장 한국 회화"
23 "이당 김은호"
24 "이당 김은호" 국제문화사 1978
25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26 도미야 이타루, "나는 이제 오랑캐의 옷을 입었소 : 이릉과 소무" 시공사 2003
27 송미숙, "김은호의 고사·도석인물화의 제작 양상"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5 : 211-230, 2016
28 "김리나 교수 전화 인터뷰, 2022.2.20"
29 박아름, "근대 한국화단의 祝壽畵 연구" 미술사연구회 (30) : 95-130, 2016
30 유순영, "근대 죽림칠현도의 시각화 양상: 전통의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6) : 217-240, 2021
31 "근대 서화의 요람 경묵당"
32 고연희, "고전과 경영" 아트북스 2020
33 장준구, "陳洪綬의 生涯와 繪畵"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34 "葵塘韓維東作品展"
35 "第十三會協展을 보고서(三)"
36 何楚, "淸露晨流 新桐初引-崔子忠〈雲林洗桐圖〉" 8 : 2013
37 "朝鮮美術展覽會圖錄" 경인문화사 1982
38 유옥경, "朝鮮時代 謝安携妓東山圖의 硏究" 한국미술사학회 288 (288): 33-59, 2015
39 이종숙, "朝鮮時代 歸去來圖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45) : 39-71, 2005
40 "朝鮮日報, 1933.1.4."
41 장준구, "明, 淸代시각문화를 통해 본 諸葛亮圖像의 전개와 성격 변모" 국립중앙박물관 (79) : 113-143, 2010
42 "協展畵帖"
43 任伯年, "任伯年畵集" 中國民族藝術撮影出版社 2003
44 王克文, "中國名畵鑑賞辭典" 上海辭書出版社 2007
45 盛東濤, "中國名畵家全集 : 倪瓚" 河北敎育出版社 2006
46 范勝利, "中國人物畵通鑑 9 : 硯田百畝" 上海書畵出版社 2011
47 殷雪炎, "中國人物畵典" 安徽美術出版社 2002
48 Nelson, Susan E., "Revisiting the Eastern Fence: Tao Qian’s Chrysanthemums" 83 (83): 437-460, 2001
49 최경현,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한국 인물화에 보이는 해상화파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256 (256): 37-69, 2007
50 강민기, "1930~1940년대 한국 동양화가의 일본화풍 일본화풍의 전개와 수용" 한국미술연구소 (29) : 223-24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