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영향 관계 연구: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 매개효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writing schema and grit mediation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33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s. To be more specific about this purpose, it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writing schema,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took writing courses at H University, and 186 of them were analyzed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analysis was sequentially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owth mindset and writing schema, growth mindset and grit, writing schema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level support and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college students' writ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writing schemas and grits as well as growth mindsets.
      이 논문은 2022년 09월 20일까지 투고 완료되어 2022년 09월 23일부터 2022년 10월 16일까지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2022년 10월 17일 심사위원 및 편집위원 회의에서 게재 결정된 논문임.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s. To be more specific about this purpose, it is as follows. 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s. To be more specific about this purpose, it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writing schema,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took writing courses at H University, and 186 of them were analyzed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analysis was sequentially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owth mindset and writing schema, growth mindset and grit, writing schema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level support and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college students' writ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writing schemas and grits as well as growth mindsets.
      이 논문은 2022년 09월 20일까지 투고 완료되어 2022년 09월 23일부터 2022년 10월 16일까지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2022년 10월 17일 심사위원 및 편집위원 회의에서 게재 결정된 논문임.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 글쓰기 스키마, 그릿,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대학교에서 글쓰기 과목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중 결측치를 제외한 186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관계 분석, 측정모형 분석, 구조모형 검증, 경로분석, 매개효과 분석 등을 순차적으로 하였으며, 분석은 SPSS 23.0와 AMOS 23.0을 활용하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과 글쓰기 스키마, 성장마인드셋과 그릿, 글쓰기 스키마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글쓰기 자기주도학습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성장마인드셋 뿐만 아니라,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고양하기 위한 대학교 차원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다. ...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 글쓰기 스키마, 그릿,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대학교에서 글쓰기 과목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중 결측치를 제외한 186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관계 분석, 측정모형 분석, 구조모형 검증, 경로분석, 매개효과 분석 등을 순차적으로 하였으며, 분석은 SPSS 23.0와 AMOS 23.0을 활용하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과 글쓰기 스키마, 성장마인드셋과 그릿, 글쓰기 스키마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글쓰기 자기주도학습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성장마인드셋 뿐만 아니라,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고양하기 위한 대학교 차원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근준 ; 이승곤,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한방축제방문객의 의사결정과정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5-27, 2013

      2 이정림,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안동대학교 2015

      3 이정림 ; 권대훈,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45-264, 2016

      4 김진구 ; 박다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145-162, 2017

      5 한순미, "중다목표관점에서의 성취목표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91-312, 2003

      6 김선희, "자기조절학습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학업성취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9 (9): 2016

      7 김현우, "온라인 한국어 수업과 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의 학습자성취도 비교 연구 : 초급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연구학회 (13) : 2020

      8 김혜자 ; 강명주,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의 병렬다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85-697, 2022

      9 이송화 ; 박성옥, "영재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2713-2728, 2021

      10 백서영 ; 임효진 ; 류재준, "성장 마인드셋과 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연구소 21 (21): 641-668, 2020

      1 유근준 ; 이승곤,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한방축제방문객의 의사결정과정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5-27, 2013

      2 이정림,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안동대학교 2015

      3 이정림 ; 권대훈,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45-264, 2016

      4 김진구 ; 박다은,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31 (31): 145-162, 2017

      5 한순미, "중다목표관점에서의 성취목표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291-312, 2003

      6 김선희, "자기조절학습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학업성취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결정성동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9 (9): 2016

      7 김현우, "온라인 한국어 수업과 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의 학습자성취도 비교 연구 : 초급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연구학회 (13) : 2020

      8 김혜자 ; 강명주,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의 병렬다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85-697, 2022

      9 이송화 ; 박성옥, "영재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2713-2728, 2021

      10 백서영 ; 임효진 ; 류재준, "성장 마인드셋과 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연구소 21 (21): 641-668, 2020

      11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개발연구: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학습능력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12 이정연,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5 (35): 41-56, 2022

      13 이승철,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성장마인드셋, 정서지능,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대학원 2019

      14 이지혜, "대학생의 학습동기적 요인과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6 (36): 5-26, 2009

      15 박미정 ; 박성희,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7-75, 2022

      16 김경미, "대학생 학습자의 글쓰기 동기 및 스키마 척도 개발" 서울대 대학원 2019

      17 이현경 ; 김정민, "대학 교직수업에서 성장마인드셋, 숙달목표, 그릿,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 교육연구소 21 (21): 807-830, 2020

      18 정덕현, "글쓰기 코칭수업과 학습만족, 학습 전이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학습몰입 매개변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157-196, 2019

      19 Duckworth, A. L., "True grit" 26 (26): 2013

      20 Plum, L., "The Role of Insulin Receptor Signaling in the Brain" 16 (16): 2005

      21 Rodriguez, J., "State of the Art of Finite Control Set Model Predictive Control in Power Electronics" 9 (9): 2012

      22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Association Press 1975

      23 Pajares, F., "Role of Self-efficacy and Self-concept Belief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A path analysis" 86 (86): 1994

      24 Hiemstra, R., "Reframing the Mea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An updated model" 2012

      25 Hardin, A., "Participative Goal Setting in Self-directed Global Virtual Teams : The role of virtual team efficacy in goal setting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2013

      26 Vallerand, R. J., "On the Role of Passion in Performance" 75 (75): 2007

      27 Dweck, C. S.,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Ballantine Books 2006

      28 Dweck, C. S., "Mind-sets" 10 (10): 2010

      29 White, M. J., "Implicit Writing Beliefs and Their Relation to Writing Quality" 30 (30): 2005

      30 Dupeyrat, C.,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Cognitive Engagement, and Achievement, A test of Dweck’s Model with Returning to School Adults" 30 (30): 2005

      31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2007

      32 Kaplan, A., "Goals, goal structures, and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Psychology Press 2002

      33 Hochanadel, A., "Fixed and Growth Mindset in Education and How Grit Helps Students Persist in the Face of Adversity" 11 (11): 2015

      34 Bruning, R., "Examining Dimensions of Self-efficacy for Writing" 105 (105): 2013

      35 Zimmerman, B. J.,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3 (23): 1986

      36 Hayes, J. R.,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 A framework"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4

      37 Dai, T., "Changes in Implicit Theories of Ability in Biology and Dropout from STEM Majors" 39 (39): 2014

      38 유미 ; 강경자, "COVID-19 온택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60-72, 2021

      39 Rourke, E., "Brain Points : A growth mindset incentive structure boosts persistence in an educational game" 2014

      40 Scardamalia, M., "Advances in Applied Psycholinguistics: Volume 2, Reading, Writing, and Language Learning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