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부정적 양육행동이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지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6696
2020
-
373
KCI등재
학술저널
547-569(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부정적 양육행동이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지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부정적 양육행동이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1 코호트 2,54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SPSS 23.0,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Muller, Judd와 Yzerbyt(2005)의 통합모형 및 단계적 접근법에 따라 조절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관계에서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경로에 대한 부정적 양육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사회적 위축의 경로에서는 유의미하였으나 우울의 경로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withdrawal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dependence of smartphone, and to explore whether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ignific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withdrawal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and dependence of smartphone, and to explore whether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significantly moderate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o this end, the data of 2,541 first grade middle school cohor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collected. After that,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v3.5,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then the moderation model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integrated model and step-by-step approach of Muller, Judd, and Yzerbyt (2005).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negative parenting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and dependence of smartphone. Second, social-withdrawal and depress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and dependence of smartphone. Thir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negative parenting behavior on the mediating path of social-withdrawal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helplessness and dependence of smartphone was significant in the path of social-withdrawal, but not in the path of depression.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heir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수,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83-393, 2007
2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3 박병기,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5-29, 2015
4 신기명, "학습무기력" 배영사 1992
5 전미애, "특성화고 학습된 무기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7 (37): 77-98, 2012
6 유현숙,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23-239, 2017
7 안태용,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및 부정적 부모 양육행동, 과외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된 무기력의 구조적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33-160, 2016
8 정주영,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안암교육학회 16 (16): 129-152, 2010
9 신현숙, "청소년이 지각한 통제적 양육행동과 공격성의 관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347-366, 2012
10 백소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54, 2017
1 김혜수, "휴대전화 중독 경향성 청소년의 심리, 사회 환경적 특성-공격성, 충동성, 우울, 부모-자녀관계, 주의집중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83-393, 2007
2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3 박병기, "학업무기력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5-29, 2015
4 신기명, "학습무기력" 배영사 1992
5 전미애, "특성화고 학습된 무기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7 (37): 77-98, 2012
6 유현숙,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23-239, 2017
7 안태용, "초등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및 부정적 부모 양육행동, 과외 학업스트레스 및 학습된 무기력의 구조적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29 (29): 133-160, 2016
8 정주영,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안암교육학회 16 (16): 129-152, 2010
9 신현숙, "청소년이 지각한 통제적 양육행동과 공격성의 관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347-366, 2012
10 백소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54, 2017
11 고충숙,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0) : 7-36, 2012
12 곽민주, "청소년의 휴대폰 이용실태와 중독적 이용" 13 (13): 183-205, 2009
13 강방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13-241, 2014
14 김현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40-352, 2015
15 장윤옥,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조절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195-223, 2017
16 전춘애,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사회인구학적 변인, 부모양육행동, 교육지원활동 및 도움인식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23 (23): 85-104, 2016
17 윤신예,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24, 2016
18 김정민, "청소년의 우울과 휴대전화 의존, 학업적응의 구조적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89-408, 2015
19 신성철,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345-362, 2013
20 이하나,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영향 변인의 관계에 대한 학령 및 성별 비교 분석 : 부모의 양육태도,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 스마트폰 이용 용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2 (62): 175-214, 2018
21 오은정,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 및 휴대전화 중독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25-44, 2009
22 박기희, "청소년의 공격성과 스마트폰중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16-524, 2020
23 김재경, "청소년의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57) : 1-30, 2018
24 윤연정,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학업스트레스,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87-101, 2018
25 김도연,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의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69-197, 2014
26 김보경, "청소년 우울과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 기질 및 성격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221-236, 2006
27 이소미, "지각된 부모 양육 행동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28 김수기,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359-386, 2013
29 장석진,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431-451, 2011
30 박미숙,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휴대폰중독의 관계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2001-2015, 2012
31 배성만,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만족도가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1-290, 2014
32 황소희, "중학생의 우울증상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21 (21): 343-363, 2018
33 신윤임,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11-932, 2020
34 정인경,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8 (28): 289-300, 2017
35 최홍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청소년기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종단적 인과관계: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0) : 255-280, 2020
36 이영주, "이용 동기와 자기 통제력 및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59-465, 2014
37 장문선, "의존성, 회피성 성격특성의 심리적 특성과 중독 성향 간의 관련성" 14 (14): 13-31, 2011
38 장윤재, "오락, 편의, 정보추구를 위한 스마트폰 이용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주의집중과 친구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31): 321-342, 2020
39 이정숙, "여고생의 학업 무력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0 조윤주,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과 학습행동 통제 간의 관계에서 부모감독의 조절효과" 대한가정학회 51 (51): 253-261, 2013
41 박혜선,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98-512, 2016
42 김윤경, "아동기에서 초기 청소년기로의 전환기 동안 사회적 위축 발달궤적에미치는 부모의 과잉간섭의 영향과 또래유능성의 동시 및 지연효과" 한국아동학회 39 (39): 93-105, 2018
43 이미라, "아동ㆍ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강요, 자율성지지, 스마트폰 과의존 및 문제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169-191, 2020
44 Lazarus, R.,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대광문화사 1991
45 김정현,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는 길 : 우울감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의 차이" 21 : 89-108, 2014
46 오윤정,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에 따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스트레스 차이" 중소기업융합학회 9 (9): 86-94, 2019
47 최경일,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친구관계와 학업태도의 매개효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8) : 109-133, 2016
48 안은별, "부모의 양육행동이 초기 청소년의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과 시간관리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5-14, 2016
49 빙효은,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행동과 우울 증상 간의 관계" 282-, 2017
50 선혜연, "부모의 관여가 중학생의 학업적 자아효능감과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2 (12): 21-43, 2011
51 이은경, "부모의 과잉간섭과 과잉기대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및 또래관계 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291-, 2017
52 김지혜, "부모요인, 친구요인, 개인요인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용도를 매개로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97-120, 2012
53 노충래,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87-114, 2016
54 임정아,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공격성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95-405, 2018
55 박현선, "부모 유대감 변화가 청소년기 학업 스트레스 변화양상에 미치는 영향: 지도감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23-145, 2014
56 김영민, "민주적 양육방식, 자아탄력성 및 휴대전화의존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73-299, 2012
57 김병년,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67-98, 2013
58 신현숙, "대입수험생의 학업 스트레스, 비관성 및 사회적 위축의 관계모형 검증" 28 : 121-142, 2005
59 정경미,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경로 확인: 성장모형을 적용한 2년간의 종단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177-197, 2013
60 김민애,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 통제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7 (7): 69-84, 2010
61 구현영,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과 예측 요인" 한국아동간호학회 16 (16): 203-210, 2010
62 조은정,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불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93-203, 2020
63 강승호,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적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연구" 13 (13): 405-424, 1999
64 장성화, "개인, 가족, 학교변인이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설명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291-310, 2011
65 매일경제, "韓청소년 수면부족에 학업 스트레스…선진국 중 행복도 최하위"
66 申基明, "學習된 無力感 診斷尺度의 開發에 관한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67 Muller, D., "When moderation is mediated and mediation is moderated" 89 : 852-863, 2005
68 Mcgonigal, K., "The upside of stress" Avery 2015
69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70 Rubin, K. H., "The development of shyness and social withdrawal" Guilford Press 2010
71 Bowker, J. C., "Social withdrawal subtypes during early adolescence in India" 39 (39): 201-212, 2011
72 Peter, J., "Research Note :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Internet Communication" 21 (21): 213-226, 2006
73 Demirci, K., "Relationship of smartphone use severity with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4 (4): 85-92, 2015
74 Brendgen, M.,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 Predictions to Physical Violence in Different Contexts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Caregiving Behavior" 29 : 293-304, 2001
75 Bianchi, A,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s mobile phone use" 8 (8): 39-51, 2005
76 Hayes, A. F., "Partial, conditional, and 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Quantification, inference, and interpret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2018
77 Sánchez-Martínez, M, "Factors Associated with Cell phone Use in Adolescents in the Community of Madrid Spain" 12 (12): 131-138, 2009
78 Goodwin, R. D., "Early anxious/withdrawn behaviors predict later internalizing disorders" 45 (45): 874-883, 2004
79 Blaney, P. H., "Contemporary theories of depression : Critique and comparison" 86 (86): 203-223, 1977
80 Preacher, K. J, "Ass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42 : 185-227, 2007
81 Lohamn, B. L., "Adolescent stressor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health studied in the family context" 29 (29): 15-43, 2000
8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2020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음 발음 교정 연구
진로미결정 대학생들의 내적 인식 탐색 : 포토보이스 적용
간호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