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두규, "풍수학대사전" 비봉출판사 2005
2 황영웅, "풍수원리강론" 동국비전 2004
3 조남선, "창덕궁의 풍수지리적 입지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4 박정해, "창덕궁의 역사적 전개와 전통입지환경" 한국국학진흥원 (24) : 395-427, 2014
5 우동선, "창덕궁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6 조진동, "창덕궁의 공간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 : 담·행각·문의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7 문화재청, "창덕궁·종묘 원유 조사" 문화재청 2002
8 진용미, "창덕궁 후원의 배수체계 특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9 박희용, "창덕궁 정전 영역의 구성과 운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8
10 문화재청, "창덕궁 인정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8
1 김두규, "풍수학대사전" 비봉출판사 2005
2 황영웅, "풍수원리강론" 동국비전 2004
3 조남선, "창덕궁의 풍수지리적 입지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4 박정해, "창덕궁의 역사적 전개와 전통입지환경" 한국국학진흥원 (24) : 395-427, 2014
5 우동선, "창덕궁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6 조진동, "창덕궁의 공간 경계요소에 관한 연구 : 담·행각·문의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7 문화재청, "창덕궁·종묘 원유 조사" 문화재청 2002
8 진용미, "창덕궁 후원의 배수체계 특성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9 박희용, "창덕궁 정전 영역의 구성과 운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8
10 문화재청, "창덕궁 인정전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8
11 양형석, "착맥부·동림조담 역해" 한국학술정보 2013
12 강환웅, "조선초기의 풍수지리사상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13 "조선왕조실록"
14 문다미, "전통 궁궐 공간의 수체계에 관한 연구 : 고문헌 및 지도 분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1
15 김동규, "인자수지(후)" 명문당 2008
16 홍순민, "우리궁궐이야기" 청년사 2005
17 장성규, "완역 풍수경전" 문예원 2010
18 최원석, "신편 강화사 中" 문화와 사상 2003
19 서문종, "서울의 지세와 궁궐 입지에 대한 풍수지리학적 분석 연구 : 경복궁·창덕궁·종묘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5
20 "매일신보 기사"
21 "두산백과"
22 "네이버지도"
23 서울시사편찬위원회, "궁궐지" 2000
24 박재희, "국립서울현충원의 풍수지리적 고찰" 중앙사학연구소 (41) : 89-117, 2015
25 이병도, "고려시대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0
26 김기덕, "고려시대 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17 : 2001
27 김기덕, "고려시대 江都 宮闕의 풍수지리적 고찰" 한국중세사학회 (31) : 313-335, 2011
28 장지연,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9 지종학, "경복궁·청와대 입지의 비판적 분석과 대안모색에 관한 연구 : 풍수이론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30 김기덕, "高麗時代 開京과 西京의 風水地理와 遷都論" 한국사연구회 (127) : 177-210, 2004
31 杉山信三(스기야마), "韓國の中世藤" 相模書房 1984
32 曺在模, "昌德宮 成長 過程과 配置 特性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3 박희용, "昌德宮 仁政殿 일곽의 공간구성 변화" 대한건축학회 21 (21): 187-19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