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 내 수학놀잇감 활용도 그리고 유아의 수 개념 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수학놀잇감 활용도가 유아의 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35187
201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1-190(20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 내 수학놀잇감 활용도 그리고 유아의 수 개념 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수학놀잇감 활용도가 유아의 수 ...
본 연구는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 내 수학놀잇감 활용도 그리고 유아의 수 개념 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수학놀잇감 활용도가 유아의 수 개념 발달을 예측해주는 정도와 그 설명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와 C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와 부모 각각 18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수 개념 발달과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 수학놀잇감 활용도를 알아보았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 내 수학놀잇감 활용도와 유아의 수 개념 발달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 수학적 상호작용과 가정 내 수학놀잇감 활용도는 유아의 수 개념 발달을 설명하는데 있어 전체 변량의 4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s relates to parent-child interaction and to analyze the predictive parent-child interaction in predicting children's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s relates to parent-child interaction and to analyze the predictive parent-child interaction in predicting children's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
Subjects were one hundred eighty three and 5-year-olds at kindergarten in G and C province. Data were obtained through parent-child interaction questionnaire and children's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omputer program, S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mong the children's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 and parent-child interaction and usability of mathematical media in home. Second, interactions and usabilities of mathematical media with parents are the predictive variables of the children's development of number concep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혜진, "학습자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유아수학능력 발달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7-46, 2005
2 조용태, "장난감 놀이활동이 자폐 아동의 상동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16 (16): 87-111, 2000
3 백소영, "일상생활자료를 활용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김창복, "유아의 활동중심 수학학습을 위한 부모참여 프로그램 내용의 구성 및 적용" 4 (4): 241-262, 1999
5 김혜숙, "유아의 수학활동에 있어서의 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15-148, 2002
6 홍혜경,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리능력과의 관계에 관하나 연구" 12 (12): 78-90, 1991
7 이숙재, "유아의 상상놀이와 놀잇감에 관한 연구" 20 (20): 185-192, 1982
8 윤애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수학 현황 및 교원의 인식에 관한 조사" 한국어린이육영회 8 : 38-59, 1995
9 박희숙, "유아 학습행동 관련변인의 인과적 구조 분석: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 자극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35-351, 2008
1 최혜진, "학습자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유아수학능력 발달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27-46, 2005
2 조용태, "장난감 놀이활동이 자폐 아동의 상동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16 (16): 87-111, 2000
3 백소영, "일상생활자료를 활용한 수학적 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김창복, "유아의 활동중심 수학학습을 위한 부모참여 프로그램 내용의 구성 및 적용" 4 (4): 241-262, 1999
5 김혜숙, "유아의 수학활동에 있어서의 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15-148, 2002
6 홍혜경,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리능력과의 관계에 관하나 연구" 12 (12): 78-90, 1991
7 이숙재, "유아의 상상놀이와 놀잇감에 관한 연구" 20 (20): 185-192, 1982
8 윤애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수학 현황 및 교원의 인식에 관한 조사" 한국어린이육영회 8 : 38-59, 1995
9 박희숙, "유아 학습행동 관련변인의 인과적 구조 분석: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 자극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335-351, 2008
10 이주리, "유아 및 아동의 가정환경 및 또래환경과 역량지각"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1 홍혜경, "영유아 교사의 수학교수능력 신장: 연구와 현장 연계" 33-60, 2009
12 서현아, "수학활동자료 보유현황 및 활용정도에 관한 교사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93-117, 2004
13 김연옥, "수 관련 이야기책에 기초한 문제해결활동 경험이 유아의 수 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4 이은형, "생활경험중심의 수학적 문제해결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 해결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5 주리분, "상징놀이에서 놀잇감 유형이 유아의 기억에 미치는 효과" 1 (1): 217-238, 1997
16 김정주, "부모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과 참여도 및 상호작용 수준이 자녀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77-92, 2008
17 김재철, "가정환경, 학습태도, 수학성적 및 수학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22, 2004
18 최지현, "가정환경, 개인특성, 학습준비도 간의 관계" 2008
19 이수남, "가정연계 과학 활동이 유아의 호기심, 부모의 과학교육태도 및 부모-자녀의 과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20 윤형윤, "가정과의 연계적 전래동요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1 Whitton, S., "The playful ways of mathematics' work. in: Play from birth to twelve and beyond : Context, perspectives, and meanings" Garland 473-481, 1998
22 Baroody, A. J.,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counting skills and principles. in: Pathways to number: Children's developing numerical abiliti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99-126, 1992
23 Bosak, S. V., "Science is....(2nd ed.)" Scholastic Canada LYD 1991
24 Epstein, J. L., "School,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Preparing educators and improving schools" Westview Press 2001
25 Rivera-Batiz, F. L., "Quantitative literacy and the likelihood of employment among you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7 : 313-328, 1992
26 National Council Teachers Mathematics,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2000
27 Gelman, R., "Preschoolers' counting: Principles before skill" 13 : 343-359, 1983
28 Assel, M. A., "Precursors to mathematical skills: Examining the roles of visual-spatial skills, executive precesses, and parenting factors" 7 (7): 27-38, 2003
29 Barron, L., "Mathematics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1979
30 Gadeyne, E., "Longitudinal relations between parenting and child adjustment in young children" 33 : 653-662, 2004
31 Bradley, R. H., "Home environment and school performance: A ten year follow-up and examination of three models of environmental action" 59 : 852-867, 1998
32 Baroody, A. J., "Does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ree-to five-years-olds really make sense?" 55 (55): 61-67, 2000
33 Landry, S. H., "Does early responsive parenting have a special importance for children's development or is consistency across early childhood necessary?" 37 : 387-403, 2001
34 Simon, T, J., "Do infants understand simple arithmetic?" 10 : 253-269, 1995
35 Kostelnik, M.,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Millan 1993
36 Englund, M. M., "Children's achievement in early elementary school: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expectations, and quality of assistance" 96 : 723-730, 2004
37 신유림, "4, 5세 유아의 놀잇감 종류에 따른 가상이야기 꾸미기" 18 (18): 53-63, 1997
보육시설의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SOC 책략과 정서지능,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그림책을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창의성 및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4 | 2.04 | 2.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2 | 1.95 | 2.428 | 0.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