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빈센트 반 고흐(Vincent Willem Van Gogh; 1853~1890)의 초상화를 토대로 그의 영혼관을 검증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흐의 자화상을 다루고 있는 타 논문들 대다수는 고흐의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84342
창원 : 창원대학교, 2015
학위논문(석사) --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653.269 판사항(5)
경상남도
63p. : 삽도 ; 26 cm
창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해동
참고문헌 : p.60-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빈센트 반 고흐(Vincent Willem Van Gogh; 1853~1890)의 초상화를 토대로 그의 영혼관을 검증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흐의 자화상을 다루고 있는 타 논문들 대다수는 고흐의 자...
본 연구는 빈센트 반 고흐(Vincent Willem Van Gogh; 1853~1890)의 초상화를 토대로 그의 영혼관을 검증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흐의 자화상을 다루고 있는 타 논문들 대다수는 고흐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색채와 그 외 심리적인 측면에 주목하고 있는데 반하여 본 논문은 고흐의 자화상에 주목하면서 동생 테오(Theodorus van Gogh; 1857∼1891)와의 서한집에서 드러나는 내용 중에 원형상을 시사하는 내용들을 검증함으로써 고흐의 영혼관을 해석하는데 그 차별성이 있다. 고흐는 자신의 정념을 자화상 속에 투사시킴으로써 색채, 터치, 그리고 원형이미지를 독창적인 방법으로 표상하였으며 별의 이미지가 곧 희망적 메시지인 동시에 자신의 얼굴을 메타님 하였다.
본 연구는 고흐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미술텍스트 형식구조를 분석하여 색채, 터치의 운용, 그리고 원형상을 토대로 해석함으로써 고흐의 영혼관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에 대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제 Ⅰ장에서는 예비적 고찰로서 모더니즘과 후기인상주의 미술에 관한 이론적 내용을 살펴보았고 고흐의 작가적 성장 배경을 통해 그가 어떻게 미술을 접하고 성장하였는지 파악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영혼의 개념을 고찰하고 영혼이 인간의 내면적인 삶 속에 존재하는 어떤 힘이나 생명의 원리로 이해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문제설정 및 연구방법론으로써 연구사개요 및 문제제기를 하고 프로이드(Sigmund Freud; 1856∼1939)의 무의식과 칼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집단무의식, 원형상 그리고 색채심리와 상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고흐의 영혼성에 대한 관계성들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
제 Ⅲ장에서는 자화상의 검증 및 해석으로 먼저 고흐의 자화상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형식 구조를 파악하고 고흐의 자화상을 검증면과 해석면으로 나누어 고찰 하였다. 검증면은 색의 은유와 보색대비, 터치의 운용 그리고 원형상을 다루고 해석면에서는 동생 테오와의 서한을 바탕으로 그의 정념과 광기를 포착하고 무의식의 메커니즘과 희망의 역설적인 면들을 논의하였다.
위의 내용들을 토대로 결론을 함의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고흐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영혼관을 그의 정신세계와 성장배경 그리고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살펴봄으로써 고흐의 영혼이 프로이드의 무의식과 칼 융의 원형의식에 맞닿아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둘째, 고흐는 자신의 정념을 색채, 터치의 운용 그리고 원형상을 통하여 그의 자화상 속에 투사시킨 정황들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독창적인 정신세계를 정립해 볼 수 있었다.
셋째, 고흐의 자화상을 그의 정신면인 정념과 광기, 무의식의 메카니즘 그리고 희망의 메시지 등으로 나누어 검증해 봄으로써 밤하늘의 별이 곧 고흐 자신의 얼굴이자 희망의 메시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미술교육학적인 측면에서도 고흐의 자화상에 드러나는 원형상에 대한 검증과 해석면은 다른 많은 미술텍스트들의 의미해석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이 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