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 논의하려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여우 설화를 비교하여 양자의 문화적 특징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한•중 고전 문학에 많이 등장한 여우 이미지는 중요한 존재로 자리잡는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74000
서울 :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9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전공 , 2019. 8
2019
한국어
서울
(A) study on the cultural distinction of Korean-Chinese fox tales
ii, 112 p. ; 26 cm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종대
참고문헌수록
I804:11052-0000002302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 논의하려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여우 설화를 비교하여 양자의 문화적 특징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한•중 고전 문학에 많이 등장한 여우 이미지는 중요한 존재로 자리잡는다. ...
이 논문에서 논의하려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여우 설화를 비교하여 양자의 문화적 특징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한•중 고전 문학에 많이 등장한 여우 이미지는 중요한 존재로 자리잡는다. 여우 설화의 발전 과정에서 여우 이미지는 최초 토템 숭배의 대상에서 변신 설화의 대표적인 내용으로 변화하기에는 독특한 여우 문화를 형성하였다.
본 논문은 한•중 여우 설화의 변천사를 비교하고 여우에 관한 문학 작품을 분석하여 설화 속에 나타난 여우의 형상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에 한•중 여우 설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양국 여우 이미지의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3부분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II장에서는 한•중 설화 중 여우의 역사적 등장을 정리하여 각 시기의 설화에 나타난 여우 형상의 변화와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한국의 여우에 관한 문학은 거의 삼국시대부터 고려와 조선시대까지 등장하는 작품, 특히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속의 상관적 내용을 집중해서 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기로 한다. 중국의 경우에는 선진(先秦)시대, 양한(兩漢)시대,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 당송(唐宋)시대, 명(明)나라와 청(清)나라시대라는 5가지 시기로 구분하고 각 장르별 나타난 여우 형상과 이런 형상의 발전을 정리하여 그 중의 문화적 특징을 분석하도록 한다.
III장에서는 한•중 여우 설화의 유형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한•중 고전 문학 속에 출현하는 여우에 대해 그 선과 악의 구별에 따라 크게 선한 여우 설화, 악한 여우 설화, 그리고 둘 사이 애매한 한계를 차지하고 있는 중간자적 여우 설화로 구분하여 각자의 구체적인 설화 유형과 특징을 다시 세분화하고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IV장에서는 한•중 고대 설화에 나타난 여우의 형상을 종합적으로 각자의 특징을 비교하여 양국 문화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ultural features and difference of the fox story in Korea and China. In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as often appear in ancient literary works, fox image occupies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ultural features and difference of the fox story in Korea and China. In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as often appear in ancient literary works, fox image occupies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from the original totem into the fox transforming’s typical image, so the fox has become a unique culture.
This paper compared the history of the fox tales of Korea and China and analyzed the literature of the fox to summarize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fox in the story. And we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ox tales and examin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ox images of both countries.
This paper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second chapter traced the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fox culture, by searching for a variety of historical texts, then studying the fox culture from the Samguk period to the Goryeo period and Joseon Dynasty of Korean, particularly the 『Samguk Sagi(三國史記)』 and 『Samguk Yusa(三國遺事)』. And the pre-Qin period and the Han Dynasty, the Wei-Jin Dynasty, the Tang and Song Dynasty, and the Ming and Qing Dynasties of China. It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and cause of the fox culture’s evolution in each period.
The third chapter summarized the types and contents of Korean-Chinese fox tale. Foxes appearing in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and China, are divided into good foxes, devil foxes, and neutral foxes, which have ambiguous limits between the two,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devil. And last, in the fourth chapter we studied the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xes represented in ancient Korean and Chinese folk tal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