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젠더화 된 공간 : 초등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에 대한 비판적 문화기술지 = Exploring Gendered School Space : Critical Ethnograph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roadcating Dance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08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의 형성과정을 살피고, 이를 사회문화적 담론과 연결 지어서 비판적 으로 해석해보는데 있다. 연구자들은 희망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방송...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의 형성과정을 살피고, 이를 사회문화적 담론과 연결 지어서 비판적 으로 해석해보는데 있다. 연구자들은 희망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를 비판적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희망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9년 6월부터 11월까지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를 위한 주요 제보자는 6학년 여학생 9명과 남학생 2명이었다. 수집된 자 료는 Fiske의 일상적 문화실천의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비추어 볼 때, 초등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경로로 방송댄스 문화에 입문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또래 놀이 문화로 정착되는 과정을 거친다. 특히, 학교 교육 과정이나 학급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공연’의 기회는 방송댄스 문화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공연을 중심으로 노래선정, 팀구성, 역할배정, 준비 및 연습, 공연, 팀 해체와 새 로운 팀 구성의 순환적 과정을 거치면서 그들의 문화를 형성해나가고 있었다. 그들이 생성된 문화는 상징적 또래 문화를 형성하면서 다른 집단과 그들이 구별될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남학생들은 배제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는 스포츠 양육의 장으로도 읽을 수 있는데, 방송댄스라는 주제는 아버지가 ‘스포츠를 통한 양육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한다고 분석했다. 방송댄스는 지배적인 학교 문화의 하위문화적 성격을 갖게 되는데, 전통적인 학생상이 최근 들어 ‘자기주도적인 학생’으로 변모되는 과정에서 교육적 이미지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가 ‘아이돌 문화’에 종속적 위치에 있지만, 한편으 로는 그들 나름대로의 문화적 실천 과정을 거치며 ‘브리콜라주’적 특성을 가진다. 방송댄스 문화는 젠더 투쟁의 양 상을 보이는데, 남성성과 여성성의 대결적 구도와 함께 남학생들은 새로운 남성성을 구축하는 경험을 갖게 되는 것 으로 분석했다. 결론에서는 비판적 페다고지를 통한 무용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roadcasting dance culture and to interpret it critically by connecting it with socio-cultural discourse. To do this, a quali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roadcasting dance culture and to interpret it critically by connecting it with socio-cultural discourse. To do this, a quali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he researchers explored the broadcasting dance culture of the 6th grade students of Hope Elementary School using critical ethnograph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llected data through nine formal research participants and two informal research participants, and collected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framework of Fiske s(1992) theory. The findiing of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tered the broadcasting dance culture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in the process, they settle into peer play culture. In particular, i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class curriculum, the opportunity for the performance given to the students contributed to revitalizing the broadcasting dance culture. Participants were forming their culture through the cycle of song selection, team formation, role assignment, preparation and practice, performance, team breakup and new team formation. The culture they created served as a mechanism by which they could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groups, forming a symbolic peer culture, and especially boys were excluded from the process. The broadcasting dance cul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also be read as a ‘sport parenting’. As a sport parenting the broadcasting dance is expected to limit the participation of father raising through sports. Broadcast dances have a subcultural character of the dominant student culture, because the norm for student awards has an educational image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self-directed student” award in recent years. The broadcasting dance cul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subordinate to the existing idol culture,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a characteristic of bicolage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its own culture. The broadcasting dance culture shows gender struggles, with male and female confrontational structure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masculinity. The conclusion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dance education through critical dance pedag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초등학생 방송댄스 문화의 형성 과정 Ⅳ.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 다시 이야기하기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초등학생 방송댄스 문화의 형성 과정 Ⅳ. 초등학교 학생들의 방송댄스 문화 다시 이야기하기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숙, "힙합댄스를 하는 청소년 문화연구: 인천지역 I고, H고, J고 '댄서'들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김수아, "흠집과 결함의 남성성:〈무한도전〉이 표상하는 남성성의 사회문화적 의미" 한국언론학회 58 (58): 42-69, 2014

      3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4 정진성, "한국사회 부성의 구조: 딸들이 기억하는 아버지" 한국여성연구소 9 (9): 79-111, 2009

      5 이수현, "한국 아이돌 팬덤과 문화소비-한국 아이돌 팬덤의 지형 확장과 문화소비의 의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6 김호영,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돌(idol) 시스템 작동방식: 아이돌문화 생산·소비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13 (13): 45-82, 2012

      7 엄훈, "학교 속의 문맹자들" 우리교육 2012

      8 곽한영, "학교 내 또래문화의 형성과 전파" 이담북스 2013

      9 강주선, "초등학생 신체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K-pop 댄스 활용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11-23, 2017

      10 이강순, "초등학교 표현 활동(무용) 지도에 필요한 교사의 역량"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45-56, 2016

      1 이진숙, "힙합댄스를 하는 청소년 문화연구: 인천지역 I고, H고, J고 '댄서'들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김수아, "흠집과 결함의 남성성:〈무한도전〉이 표상하는 남성성의 사회문화적 의미" 한국언론학회 58 (58): 42-69, 2014

      3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4 정진성, "한국사회 부성의 구조: 딸들이 기억하는 아버지" 한국여성연구소 9 (9): 79-111, 2009

      5 이수현, "한국 아이돌 팬덤과 문화소비-한국 아이돌 팬덤의 지형 확장과 문화소비의 의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6 김호영,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돌(idol) 시스템 작동방식: 아이돌문화 생산·소비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13 (13): 45-82, 2012

      7 엄훈, "학교 속의 문맹자들" 우리교육 2012

      8 곽한영, "학교 내 또래문화의 형성과 전파" 이담북스 2013

      9 강주선, "초등학생 신체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K-pop 댄스 활용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11-23, 2017

      10 이강순, "초등학교 표현 활동(무용) 지도에 필요한 교사의 역량"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45-56, 2016

      11 박수영, "초등학교 남교사가 겪는 표현 활동(무용) 수업 지도의 어려움"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55-67, 2016

      12 서재철, "초등체육(연구)의 전문성 확장을 위한 제언: ‘초등체육적인 것’, ‘유소년 스포츠/여가’, ‘아버지 역할하기’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21-33, 2016

      13 황숙영, "초등교사가 겪는 표현활동수업 실천의 어려움"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7

      14 박지영, "초국가적 미디어 생산물 소비의 즐거움과 전 지구화시대의 젠더 정치학" 7 : 79-127, 2007

      15 장윤창, "초·중학생 방과후학교 커버댄스 참가자의 참여만족이 참여지속의사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1 (21): 327-339, 2012

      16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17 지학사, "체육6 지도서" 지학사 2019

      18 조성남, "청소년의 하위문화와 정체성-또래집단, 가족, 학교를 중심으로-" 집문당 2002

      19 김주연, "청소년의 댄스동아리 참여가 무용의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0 안찬용, "청소년의 K-POP댄스 선호이유와 참여활동에 관한 질적연구" 15 (15): 49-58, 2015

      21 박진규, "청소년문화(3판)" 학지사 2015

      22 최유리, "청소년들의 방송댄스 프로그램 재미요인이 몰입과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 76 (76): 269-286, 2018

      23 염두승, "청소년 후기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사회적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24 정현주, "청소년 팬덤문화에 관한 연구 - 문화적 실천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163-175, 2016

      25 궁선영, "청소년 패션 스타일의 하위문화적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6 김숙영, "청소년 댄스의 하위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39 (39): 105-115, 2000

      27 김현정,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8 Spradley, J.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9

      2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아카데미프레스 2013

      3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10

      31 마경희, "지배적 남성성의 균열과 변화하는 남성의 삶 : 남성들 내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32 박명진, "즐거움, 저항, 이데올로기" 13 (13): 67-95, 1991

      33 강미선, "중?고등학생의 무용활동 참가와 사회적 지위" 한국체육학회 42 (42): 143-150, 2003

      34 김한석, "유튜브를 활용한 대중음악 홍보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 주요 음악 관련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한국대중음악학회 23 : 129-167, 2019

      35 남용진, "유소년요트클럽의 하위문화 특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1 (31): 21-41, 2018

      36 서재철, "유소년스포츠문화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초등체육학회 21 (21): 137-152, 2015

      37 엄주영, "유소년 인라인롤러 참가자의 사회화 경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8 (28): 65-85, 2015

      38 조성식, "영화에서 나타난 춤의 사회저항적 담론 분석 - <빌리 엘리어트>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0 (50): 129-137, 2011

      39 박승배, "열린교육의 등장과 퇴조에 대한 정치·경제·사회·교직 문화적 분석" 18 (18): 251-268, 2000

      40 김동식, "여학생 체육활성화 담론의 전개 과정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2 (22): 1-19, 2015

      41 황혜미, "여자 중학생의 화장 행위: 경험과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9) : 179-211, 2011

      42 Halberstam, J., "여성의 남성성" 이매진 2015

      43 치즈코, 우에코, "여성을 협오한다" 은행나무 2012

      44 조성식, "여고생의 체육수업 참여 갈등요인과 여성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한국체육학회 53 (53): 127-137, 2014

      45 원영신, "어린이들의 스포츠 사회화에 관한 연구" 1 (1): 14-26, 1993

      46 이동연, "아이돌 -H.O.T에서 소녀시대까지, 아이돌 문화 보고서-" 이매진 2011

      47 나성은,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내재한 젠더 위계와 ‘신 도구적’ 부성의 구성 : 맞벌이 중간 계층 아버지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6 (26): 1-39, 2014

      48 Bourdieu, P., "실천이성" 동문선 2005

      49 이영자, "신자유주의 시대의 문화자본주의"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6 (36): 83-110, 2012

      50 고은하, "스포츠문화의 문화적 전환과 여성스포츠" 2016 (2016): 37-42, 2016

      51 남상우, "스포츠 하위문화 연구의 종합적 이해"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1 (31): 81-105, 2018

      52 김석기, "스포츠 팬덤문화의 여성화" 한국체육철학회 19 (19): 61-75, 2011

      53 김정효, "스포츠 실천의 아비투스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철학회 20 (20): 1-16, 2012

      54 김영경, "새터민 동료상담자의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981-1009, 2009

      55 장용규, "비판적 페다고지에 근거한 초등체육 연구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원 27 (27): 433-456, 2016

      56 한슬기, "비판적 문화기술지: 여성 승마 선수로 살아가기" 한국체육학회 52 (52): 41-55, 2013

      57 허창수, "브리콜라주로서 질적 연구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78-287, 2017

      58 구희영, "부모의 스포츠 양육 과정과 의미 탐색-발레, 수영, 축구클럽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59 정미경, "방과 후 방송댄스가 초등학생의 건강체력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0 강신규, "문화적 수행으로서의 e스포츠 팬덤에 관한 연구: 팬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8) : 5-39, 2011

      61 Williams, R., "문화사회학" 까치 1984

      62 이윤미, "레이먼드 윌리엄즈의 노동계급 교육사상 - 공적 페다고지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사상학회 30 (30): 207-230, 2016

      63 배상미, "대형마트 여성 노동자 투쟁의 재현과 군사주의―드라마 <송곳>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60) : 109-138, 2018

      64 김미숙, "대학생 방송댄스 동아리의 하위문화 특성 및 기능" 대한무용학회 76 (76): 1-22, 2018

      65 이영자, "남성성의 사회적 구성과 성의 정치" 5 : 79-103, 2001

      66 김진옥, "『헝거게임』시리즈 속 젠더와 관련한 여주인공의 허구적 주체성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원 58 (58): 75-108, 2019

      67 남채봉, "“우리도 이야기할 수 있다”: 청소년 참여 실행 연구(Yout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가 다문화 시대 비판 시민 교육에 지니는 의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5 (45): 31-65, 2013

      68 조서연, "‘진짜 사나이’와 ‘여자 군인’, 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화된 군사주의" 83 : 122-141, 2015

      69 허라금, "‘남성성’에 관하여" 2 : 94-113, 2000

      70 Holt, N. L., "Yoyuth Sport Parenting and Practice" 31 (31): 37-59, 2009

      71 Blackman, S., "Youth Subcultural Theory: A Critical Engagement with the Concept, its Origins and Politics, from the Chicago School to Postmodernism" 8 (8): 1-20, 2007

      72 Coakley, J., "Youth Sports: What Counts as "Positive Development?"" 35 : 306-324, 2011

      73 Messner, M. A., "Where are the Kids?" 31 : 102-122, 2014

      74 Stinson, S. W., "The Hidden Curriculum of Gender in Dance Eduation" 5 (5): 51-57, 2005

      75 Coakley, J. J., "The Good Father: Parental Expectations and Youth Sports" 25 (25): 153-163, 2006

      76 Simons, J., "The Cambridge Companion to Children’s Literature" Cambridge UP 2009

      77 Fiske, J., "The Adoring Audiences: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Routledge 1992

      78 Jarvinen, M., "Teeanage drinking, symbolic capital and distinction" 10 (10): 55-71, 2007

      79 오주연, "TV 광고 춤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gender image)연구" 무용역사기록학회 19 : 29-45, 2010

      80 Risner, D., "Rehearsing masculinity: challenging the ‘boy code’ in dance education" 8 (8): 139-153, 2007

      81 Shapiro, S. B., "Pedagogy and the Politics of the Body: a critical praxis" Garland 1999

      82 Trussell, D. E., "Organized Youth Sport and Parenting in Public and Private Spaces" 34 (34): 377-394, 2012

      83 Connell, R., "Masculinity construction and sports in boys’ education: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the issue" 13 (13): 131-145, 2008

      84 Sandlin, J. A., "Handbook of public pedadogy: education and learning beyond schooling" Routledge 2010

      85 Blume, L. B., "Embodied [by] Dance: Adolescent de/constructions of body, sex and gender in physical education" 3 (3): 95-103, 2003

      86 Madison, D. S., "Critical Ethnography" SAGE Publications, Ins 2005

      87 Messner, M., "Boyhood, organized sports, and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ies" 18 (18): 416-444, 1990

      88 Myerhoff, B., "A Crack in the mirror" Philadelphia University Press 1-39,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4-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3-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 1.37 1.644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