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지난 시기의 ‘공공미술’의 흐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수잔 레이시(Suzanne Lacy)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을 주장한 이후 우리나라의‘공공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79711
서울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예술기획 전공 , 2017.8
2017
한국어
700.103 판사항(22)
서울
A proposa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aegu Bangchun Market as a public art
iv, 74장 : 삽화 ; 26 cm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김이순
참고문헌: 장 54-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지난 시기의 ‘공공미술’의 흐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수잔 레이시(Suzanne Lacy)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을 주장한 이후 우리나라의‘공공미...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지난 시기의 ‘공공미술’의 흐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수잔 레이시(Suzanne Lacy)가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을 주장한 이후 우리나라의‘공공미술’도 서구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변모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속에서 최근‘공공미술’의 흐름은 지역이 지닌 ‘고유한 향토성’을 몸소 체득하고 있는 지역 주민들과 관람객과의 상호소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공공미술’의 방법 또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는 국내외 방문객들 사이에 주목을 받고 있는 대구의 방천시장 ‘공공미술’ 사례를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미술’의 지형을 파악해 보았다. 나아가 앞으로의 발전적인 방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대구광역시의 경우 지난 2009년 대구광역시 중구청에서‘공공미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공공미술’을 통한 도시 재발견의 장을 키워갔다. 그리고 이제 대구광역시는 중구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을 전면에 내세우며 새로운 도시 재생의 모범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그간 침체되어 있던 대구광역시의 문화 정체성에 활력을 불어넣은 ‘방천시장의 공공미술 사례’를 조명해 봄으로써 이러한 유형의 공공미술이 현재 어디까지 왔으며 앞으로 지속성을 어떻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해 보았다. 문화 개선 사업으로 이루어진‘문전성시 사업’의 한 코너에 불과하였던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성공 사례를 통해 향후 공공미술의 방향과 장기적으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공공미술’의 개념을 살펴보았고, 대구광역시의 사례가 ‘공공미술’의 흐름 속에서 어느 위치에 서있는지 고찰하였다. 그 출발점으로 도시와 공공미술의 관계를 조명해 보았으며 도시에서 공공미술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여러 도시들의 공공미술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그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구 방천시장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사례와 유사한 구조를 지닌 광주 대인예술시장의 여러 다양한 공공미술을 분석하였는데, 이는 향후 대구 방천시장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였다.
결국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새로운 흐름의 공공미술은 그 지역의 고유한 지역성을 담아내고 있는 현지 지역주민들이 주체가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들이 공공미술의 현장에서 주도적인 위치에 서 있을 때 그 공간의 진정성은 더욱 커지며 꾸준한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역 주민들과 예술가 집단, 지원 관청, 그리고 프로젝트 진행자들 간의 열린 소통의 장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공공미술에 대해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적절한 멘토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꾸준히 채워나갈 때 그 장소만의 고유한 의미를 지닌 공공미술로 변해갈 수 있다. 결국 그 지역 향토사의 산 증인인 지역 주민들이 중심이 되는 방향으로 공공미술이 전개되어야 비로소 지속 가능한 발전이 이뤄질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000s, many changes occurred in the flow of 'public art'. Suzanne Lacy has been summarized in the name of 'New Genre Public Art', but 'Public Art' of Korea has been rapidly transformed by the strong influence of the West in line with the rapid ...
In the 2000s, many changes occurred in the flow of 'public art'. Suzanne Lacy has been summarized in the name of 'New Genre Public Art', but 'Public Art' of Korea has been rapidly transformed by the strong influence of the West in line with the rapid change of Korea. In line with the new era, the recent trend of 'public art' is moving toward the importance of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who are acquainted with the 'unique locality' and method of ‘public art’ in the area. I will try to understand the topography of Korea 's public art, centering on the case of public art in Daegu, which is poisonous in the flood of many public arts around the country.
In Daegu, the past footsteps that were forgotten by a civic group gathered in 2007 were newly illuminated. In conjunction with this period, the Jung-gu Office of Daegu Metropolitan Cit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ublic art' and made a venue for rediscovering the city through 'public art' with a positive attitude. Over the past decade, Daegu metropolitan city has stood at the forefront of culture and arts around Jung – gu, and shows good examples of new urban change.
Therefore, I will focus on the public art project of the Bangchun Market, which has revitalized the cultural identity of Daegu Metropolitan City, a city that has been in a recession for a while. Now, I will find out where is located and how to bring sustainability to the future. We will examine the case of 'Kim Kwang-seok's redrawng road' of the 'Munjunsungsi project', which was a culture improvement project in the old market.
For this purpose, I will first look at the fundamental concept of 'public art' and try to explore where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stands in the global trend of 'public art'. As a starting point, I inte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public art, and examine the position of public art in the city. Based on this, I will try to identify the current trends, pros and cons by examining various public arts in various cities inside and outside of Korea. In addition, I will examine future direction of the public art project of Daegu Bangchun Market by specially focusing on various cas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is comparable to the case of public art in Daegu City.
In the end, the public art of the new flow should go in the direction of becoming the subject of the local residents who contain the history of the area. When they stand as subjects in the field of public art, the artistic power of the space doubles and guarantees continuity. In the end, open communic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rtist groups, support bureaus and project facilitators is essential. In particular, public art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al residents who are living witnesses of local history. This leads to the fact that we can have persistenc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