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행태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9054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025.25 판사항(5)

      • DDC

        025.52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90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73-7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s have affected the service of libraries, and such environmental changes have accelerated the growth of e-journals.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e-journals thanks to the benefits of e-journal such as superb accessibility and offer of up-to-date information, and user need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in line with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and user behaviors of e-journals in an effort to seek the ways of revitalizing the use of e-journals.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survey questionaires and interviews of students who took a general education course 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offered in D University.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regarding use, user behaviors, service quality, library user education and advertisement of e-journal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library website and interviewed libraria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 of using e-journals was lower amo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no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mpari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former mostly made use of domestic e-journals, whereas the latter made even use of domestic and foreign e-journals. Regarding the prior purpose of using e-journals both students used them to perform their study tasks. As for barriers to the use of e-journal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replied that there weren't materials they wanted, and that it wasn't easy to find which databases included the information they wanted. In other h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nswered that it's hard to choose relevant materials from the materials they retrieved. As for the quality of services about e-journals provided by the library, they viewed it satisfactory in general while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there were several problems with e-journals:
      First,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knew about e-journals through their professors or leaflets,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ccurately learned and practiced how to use e-journals when they took major cours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way of knowing about e-journals. Second, the students preferred to use Internet portal sites, which seemed to imply that they were more fond of the quantity of information than its quality. Third, simple keyword searching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select materials, and they took a passive attitude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any problems. Fourth, some of the students took a little negative view of the library since the library didn't possess materials they wanted or since they had some grievance about the library fac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we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oost the use of e-journals for college students.
      First, professors should encourage their students to make use of e-journals by assigning tasks requiring the use of e-journals. Second, library user education should provide users search methods both simple search and advanced search of e-journals. Third, a wide variety of P.R. activities regarding e-journals should be conducted by utilizing posters or SN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Fourth, the environments of the library should be improved to attract both users and non-users. Finally, the college should fully b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for librarians and offer full-fledged assistance for that.
      번역하기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s have affected the service of libraries, and such environmental changes have accelerated the growth of e-journals.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e-journals thanks to the benefits of e-journal such as s...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s have affected the service of libraries, and such environmental changes have accelerated the growth of e-journals.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e-journals thanks to the benefits of e-journal such as superb accessibility and offer of up-to-date information, and user need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in line with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and user behaviors of e-journals in an effort to seek the ways of revitalizing the use of e-journals.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survey questionaires and interviews of students who took a general education course 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offered in D University.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regarding use, user behaviors, service quality, library user education and advertisement of e-journal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library website and interviewed libraria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 of using e-journals was lower amo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no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mpari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former mostly made use of domestic e-journals, whereas the latter made even use of domestic and foreign e-journals. Regarding the prior purpose of using e-journals both students used them to perform their study tasks. As for barriers to the use of e-journal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replied that there weren't materials they wanted, and that it wasn't easy to find which databases included the information they wanted. In other h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nswered that it's hard to choose relevant materials from the materials they retrieved. As for the quality of services about e-journals provided by the library, they viewed it satisfactory in general while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there were several problems with e-journals:
      First,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knew about e-journals through their professors or leaflets,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ccurately learned and practiced how to use e-journals when they took major cours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way of knowing about e-journals. Second, the students preferred to use Internet portal sites, which seemed to imply that they were more fond of the quantity of information than its quality. Third, simple keyword searching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select materials, and they took a passive attitude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any problems. Fourth, some of the students took a little negative view of the library since the library didn't possess materials they wanted or since they had some grievance about the library fac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we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oost the use of e-journals for college students.
      First, professors should encourage their students to make use of e-journals by assigning tasks requiring the use of e-journals. Second, library user education should provide users search methods both simple search and advanced search of e-journals. Third, a wide variety of P.R. activities regarding e-journals should be conducted by utilizing posters or SN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Fourth, the environments of the library should be improved to attract both users and non-users. Finally, the college should fully b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for librarians and offer full-fledged assistance for tha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환경의 변화는 도서관 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전자저널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전자저널은 접근의 용이성 및 최신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에 입각하여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요구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현황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전자저널 이용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일반학생과 전자저널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설문조사방법으로 일반대학생 81명,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131명, 총 212명을 대상으로 전자저널 이용행태를 측정하였다. 둘째, 이용자 면담조사 방법으로 인문대학 및 사회과학대학 학생 4명과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3명 총 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셋째, D대학교 도서관의 전자정보원 담당사서 2명과 그룹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전자저널을 제공하고 서비스하는데 있어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일반학생은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에 비해 전자저널 이용률은 낮았으며, 일반학생은 국내 전자저널에 비중을 두어 이용한데 비해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해외전자저널까지 고루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제작성”을 위해 전자저널을 이용하였으며, 장애요인으로 일반학생은 “원하는 자료의 부재” 및 “원하는 정보가 어느 DB에 속해 있는지 선택이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검색결과에서의 자료선정의 어려움”으로 조사되었다. D대학교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전자저널 서비스품질의 만족정도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일반학생에 비하여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은 전자저널에 대하여 교수님의 시연 혹은 인쇄물을 통하여 숙지하였고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전공시간을 통하여 실습과 병행하여 정확한 이용방법을 숙지함에 따라 인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인터넷포털사이트 사용을 선호하며 이는 정보의 질 보다는 양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간단한 키워드 검색으로 인해 자료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문제해결 방식에 있어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넷째,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소장 자료의 부족함 혹은 도서관 시설에 대한 불만 등으로 도서관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생의 전자저널 이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전자저널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담당교수는 학생들이 전자저널을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과제를 교과과정에 포함하여 전자저널 사용을 독려한다. 둘째, 선호하는 이용자교육과 함께 간략검색 및 상세검색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홍보의 다양화로 포스터 및 SNS 등을 활용한 지속적인 노출 및 학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이는 도서관만의 노력이 아니라 학생들의 참여와 관심 또한 필요하다. 넷째, 도서관의 이용환경 조성으로 도서관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는 사서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담당사서의 재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번역하기

      정보환경의 변화는 도서관 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전자저널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전자저널은 접근의 용이성 및 최신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에 입각하여 빠...

      정보환경의 변화는 도서관 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전자저널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전자저널은 접근의 용이성 및 최신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에 입각하여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요구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현황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전자저널 이용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일반학생과 전자저널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설문조사방법으로 일반대학생 81명,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131명, 총 212명을 대상으로 전자저널 이용행태를 측정하였다. 둘째, 이용자 면담조사 방법으로 인문대학 및 사회과학대학 학생 4명과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3명 총 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셋째, D대학교 도서관의 전자정보원 담당사서 2명과 그룹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전자저널을 제공하고 서비스하는데 있어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일반학생은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에 비해 전자저널 이용률은 낮았으며, 일반학생은 국내 전자저널에 비중을 두어 이용한데 비해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해외전자저널까지 고루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제작성”을 위해 전자저널을 이용하였으며, 장애요인으로 일반학생은 “원하는 자료의 부재” 및 “원하는 정보가 어느 DB에 속해 있는지 선택이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검색결과에서의 자료선정의 어려움”으로 조사되었다. D대학교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전자저널 서비스품질의 만족정도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일반학생에 비하여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은 전자저널에 대하여 교수님의 시연 혹은 인쇄물을 통하여 숙지하였고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전공시간을 통하여 실습과 병행하여 정확한 이용방법을 숙지함에 따라 인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인터넷포털사이트 사용을 선호하며 이는 정보의 질 보다는 양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간단한 키워드 검색으로 인해 자료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문제해결 방식에 있어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넷째,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소장 자료의 부족함 혹은 도서관 시설에 대한 불만 등으로 도서관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생의 전자저널 이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전자저널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담당교수는 학생들이 전자저널을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과제를 교과과정에 포함하여 전자저널 사용을 독려한다. 둘째, 선호하는 이용자교육과 함께 간략검색 및 상세검색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홍보의 다양화로 포스터 및 SNS 등을 활용한 지속적인 노출 및 학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이는 도서관만의 노력이 아니라 학생들의 참여와 관심 또한 필요하다. 넷째, 도서관의 이용환경 조성으로 도서관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는 사서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담당사서의 재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의 목적 3
      • 1.3 연구 방법 4
      • 2. 이론적 배경 5
      • 1.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의 목적 3
      • 1.3 연구 방법 4
      • 2. 이론적 배경 5
      • 2.1 전자저널의 개념 및 정의 5
      • 2.2 전자저널 서비스 특성 6
      • 2.3 전자저널 이용행태 8
      • 3. 선행연구 10
      • 3.1 전자저널 이용자 서비스에 관한 연구 10
      • 3.2 전자저널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13
      • 3.3 전자저널 만족도에 관한 연구 16
      • 4. D대학교 도서관 전자저널 서비스 개관 21
      • 4.1 D대학교 도서관 웹사이트 구성 21
      • 4.2 D대학교 도서관 전자저널 구독 현황 23
      • 4.3 D대학교 도서관 서비스 현황 및 이용자교육 25
      • 5. 연구 설계 28
      • 5.1 이용자 설문조사 28
      • 5.2 이용자 면담조사 32
      • 5.3 사서 면담조사 34
      • 6. 연구 분석결과 35
      • 6.1 이용자 설문조사 분석결과 35
      • 6.2 이용자 면담조사 분석결과 55
      • 6.3 사서 면담조사 분석결과 63
      • 7. 연구 결론 및 제언 67
      • 참 고 문 헌 73
      • 부 록 77
      • ABSTRACT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