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활력 회복을 위하여 공공의 역할과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도시의 자생적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경쟁력을 제고하며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활력 회복을 위하여 공공의 역할과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도시의 자생적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경쟁력을 제고하며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는 �...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활력 회복을 위하여 공공의 역할과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도시의 자생적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경쟁력을 제고하며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는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고 관련 시책의 수립·추진과 도시재생전략 수립, 그리고 도시재생활성화를 위한 관련 정보 및 통계를 개발·검증·관리하는 등 도시재생종합정보체계를 구축하도록 한다.
문재인 정부는 매년 10조원씩 총 50조원을 투입해 구도심과 노후 주거지를 재생하겠다는 정책을 세우고 있다. 즉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동네마다 아파트 수준의 마을주차장과 어린이집, 무인 택배센터 등을 설치한다는 것이다. 아무튼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저층 노후 주거지를 살만한 주거지로 바꾸겠다는 것이며, 지역민 전반을 위한 환경개선과 주거복지에 중점을 둔 사업이다. 도시재생 사업방식은 일부 전면 철거 방식과 역세권 개발, 공공청사 등 공유재산을 활용한 다양한 방법이 접목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주거공간은 물론 문화공간, 업무공간, 상업공간, 혁신공간 등을 조성해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하고 세입자·영세상인(젠트리피케이션) 등도 함께 보호한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현실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사업성이 저조할 우려가 있다. 도시재생사업에 있어서는 높은 지가와 사업비 등으로 인하여 공공부문이 독자적으로 관련 사업을 진행하기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재정적 부담이 문제될 수 있다. 도시재생 사업의 예산은 주로 국고보조금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국고보조금은 매년 예산을 반영해야 하고 배분공식도 특정되지 않아 예산확보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셋째, 일자리 창출 문제이다. 도시재생 사업은 건설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건설산업은 건설기능인력의 부족현상이 가중되고 있으며 현재 건설업은 장년층의 비중이 증가하여 고령화가 진행되고 또 건설현장의 열악성과 현장에서 터득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현장 숙련 기술을 전수할 기회조차 감소한다는 것이다. 결국 건설업에서 청년층 유입이 낮고 인력의 수요와 공급 불일치로 일자리 창출이 부진할 수밖에 없다.
넷째,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가 문제될 수 있다. 도시재생 사업은 해당지역의 부동산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작용이 예상되는데, 즉 저소득층의 경우 주거비용의 한계로 인하여 거주지 선택의 제약이 따르고 때로는 무주택자로 전락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다섯째, 투기 문제가 우려된다. 우선 도시재생 사업의 후보지로 선정되면 투기세력이 먼저 진입해 땅값을 올려놓을 가능성이 있고 정부가 투기를 단속하려 해도 부동산시장 안정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오히려 거래가 음성적으로 이루어져 위법자를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재생지구에는 투기 세력의 침투로 원주민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여 사업의 취지 자체가 훼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도시재생 사업의 문제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효율적인 도시재생 사업의 제고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사업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도시재생의 공공성 개념의 확대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의 발전으로 사업을 전개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aimed at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such as expanding the self-sustaining growth basis of a city,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restoring local communities by strengthening the public's r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aimed at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such as expanding the self-sustaining growth basis of a city,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restoring local communities by strengthening the public's role and support for the restoration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itality of a city.
Moon Jae In Government has set a policy of regenerating old downtown areas and old-age residential areas by inputting a total of 50 trillion won that is 10 trillion won each year. Urban regeneration project methods are expected to be combined with various methods that utilize partial overall pulling down method, subway station area development, and public property such as public office.
However,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in reality.
First, there is concern that business value may be poor.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re may be a realistic limit for the public sector to autonomously conduct the related projects due to the high land value and business expenses.
Second, the financial burden may be a problem. The budget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mainly consist of government subsidies. However, it is expected to have a difficulty to secure the budget because the government subsidies should reflect the budget every year and the allocation formula is not specified.
Third, job creation is a problem.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undergoing a shortage of construction skilled manpower, 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citizens is increas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aging process is progressing. Also, since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based on the inferiority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skills learned in the site. even the opportunity to transfer on-the-job skills is decreasing.
Fourth, consideration for vulnerable classes may be a problem.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expected to have side effects from rising real estate prices in the corresponding region.
Fifth, the speculation problem is concerned. First of all, if an area is selected as a candidate for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and prices will rise by speculator's advancement beforehand and even if the government regulates speculation, there may be a limit to stabilizing the real estate market. Rather, transactions can be made in a negative way, resulting in the mass production of the law breakers.
Regarding the problem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ike these, it is required to hav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follows.
First, the business value should be improved. the projects should be unfolded with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cit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concern of urban regeneration.
Second,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prepared. To efficiently utilize the limited public resources, it is desirable to resolve the problem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benefits and burdens of financial support by installing and operating special accounts for urban regeneration.
Third, job creation should be improv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be preceded by economy-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hich create economic bases through public pre-investment to create jobs.
Fourth, support for vulnerable classes should be enhanc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must satisfy the needs of the vulnerable classes such as income, housing, medical care, and so forth so that housing life becomes stable.
Fifth, measures to prevent speculation should be prepar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nt restriction regulations to prevent the side effects of surging house prices and rents due to urban re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eradicate speculative factors through measures for restraining real estate speculation, development profit redemption system, transfer income tax r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129-, 2010
2 홍정선, "행정법원론(하)(제23판)" 박영사 844-, 2015
3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807-808, 2015
4 황희연, "한국형 도시재생 모델 확립하려면 ‘도시재생 통합예산’ 제도 도입해야, ISSUE, 도시 새로운 길을 묻다"
5 "투기 잡는 방법은 세제 강화뿐이다"
6 임숙녀,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복지차원에서의 공공임대주택공급․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7 한국건설산업연구원(CERIK), "차기 정부의 건설 및 주택 정책 과제 – 방향 잃은 건설산업, 어떻게 해야 하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41-76, 2017
8 기정훈, "지역발전사업의 일자리창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297-334, 2013
9 구정서, "지역건설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10 이창균, "지방재정 투명성 제고에 관한 연구" 13 (13): 59-, 2015
1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129-, 2010
2 홍정선, "행정법원론(하)(제23판)" 박영사 844-, 2015
3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807-808, 2015
4 황희연, "한국형 도시재생 모델 확립하려면 ‘도시재생 통합예산’ 제도 도입해야, ISSUE, 도시 새로운 길을 묻다"
5 "투기 잡는 방법은 세제 강화뿐이다"
6 임숙녀,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복지차원에서의 공공임대주택공급․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7 한국건설산업연구원(CERIK), "차기 정부의 건설 및 주택 정책 과제 – 방향 잃은 건설산업, 어떻게 해야 하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41-76, 2017
8 기정훈, "지역발전사업의 일자리창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297-334, 2013
9 구정서, "지역건설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10 이창균, "지방재정 투명성 제고에 관한 연구" 13 (13): 59-, 2015
11 염철호, "주택정책과 복지정책의 접점으로서의 주거복지" 대한건축학회 56 (56): 45-, 2012
12 류동길, "주민참여를 통한 항만형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 방안 - 부산 북항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지리학회 13 (13): 381-397, 2010
13 "조영철 고려대 경제학과 초빙교수, 도시재생 뉴딜사업, 재정융자 방식 바람직"
14 "제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정책공약집"
15 권혁신, "정부-시장의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재생을 위한 금융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4-, 2016
16 서순탁, "저성장기의 개발이익환수제도 개편방향과 정책과제" 한국토지공법학회 73 (73): 65-81, 2016
17 장재일, "재개발사업의 사업성 지표에 대한 해석- 조합원 입장에서의 사업성 판단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143-154, 2013
18 경인일보, "인천시 ‘특별회계’ 설치 추진… 재원 확보방안 관건] 문재인 대표공약 ‘뉴딜사업’대비… ‘도시재생 지역’ 확대 청사진"
19 "이슈점검-도시재정비촉진특별법, 서울시도시계획조례 발표 이후, 재건축, 재개발 사업성 희비 엇갈려"
20 국제신문, "양보다는 질… ‘도시재생 뉴딜’ 추진"
21 이지철, "서울시 재건축, 재개발 및 뉴타운 사업에 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22 최병현, "서울시 도심부 재개발 공동주택의 젠트리피케이션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3
23 "새정부 100일 과제, 이것부터 풀어라 도시재생 뉴딜 이렇게 해야 성공한다"
24 매일일보, "새 정부 ‘도시재생 뉴딜’… 리모델링 활성화 기대 솔솔"
25 헤럴드경제, "새 대통령 노후주택 개발 핵심과제"
26 경신원, "사회취약계층의 자립성 향상을 위한 미국 도시재생정책의 성과와 한계: 미국의 사회서비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74 : 233-248, 2012
27 국제뉴스, "사회적 기업 (주)안테나" 2015
28 권혁삼, "빈집의 활용 정책현황 및 특례법 제정동향" 103 : 4-5, 2016
29 김대영, "바람직한 지방세제 개편 방향" 한국지방세연구원 2016
30 "민주당 정책 브레인의 쓴소리..도시재생 사업 ‘투기판’ 될 수도"
31 이정형, "민간주도형 도시재생수법으로서 입체도시계획제도개선방안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8 (18): 35-50, 2017
32 "문재인표 도시재생 ‘투기성’ 재개발·재건축 큰 틀 바꾸나"
33 e시티뉴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분석"
34 "문재인 대통령 대선공약…도시재생 뉴딜정책 파헤치기<1편>, 부동산은"
35 "문재인 대통령 뉴딜정책의 발표글"
36 이동수, "도시정비사업의 추진전략과 법적 과제" 한국토지공법학회 66 : 173-201, 2014
37 오석건, "도시정비사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 의사결정요인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38 박진수, "도시정비사업의 갈등요인을 통해서 본 도시재생의 공공성 증진방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39 박채운, "도시재정비사업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성남시 수정·중원지역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40 윤혜정, "도시재정비 촉진사업과 주민의 주거안정 문제" 경기원구원 9 (9): 9-, 2007
41 감정기, "도시재생의 동향에 대한 사회복지 관점에서의 조명" 208-, 2010
42 "도시재생에 투기세력 침투, 실태와 대안은"
43 남진,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공공의 사업비용 조달방법 연구 -미국 TIF의 운용과 분쟁 실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47-65, 2010
44 장철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공공관리제도 기대효과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45 정성규,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의 주민참여 실태 조사연구 - 부산광역시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지구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31-39, 2015
46 한국재정학회, "도시재생사업 조세지원제도 도입 방안" 한국재정학회 2016
47 박소영, "도시재생사업 재정지원체계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30-, 2015
48 한슬기, "도시재생사업 내 민간 비즈니스 참여와 역할 - 영국 도시재생 거버넌스와 주도적 디벨로퍼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7 (17): 25-44, 2016
49 권대중, "도시재생과 정비사업" 부연사 269-, 2017
50 김정호, "도시재생과 일자리 창출" 한국건설관리학회 14 (14): 19-20, 2013
51 이승우, "도시재생, 공공주도·소규모·점진적 개량으로 도시개발- 특별법 제정에 이어 예산과 사업 대상지 확대, 건설기업에 새로운 가능성 제공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4-25, 2016
52 에너지경제, "도시재생 뉴딜정책에 대한 조언"
53 "도시재생 뉴딜 ③'문재인표’ 도시재생 어떻게 추진되나"
54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재생" 보성각 2015
55 노춘희, "도시미래와 재생" 형설출판사 6-8, 2017
56 김주진, "도시경제기반형 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민자사업의 착안점과 공공의 역할: 핵심사업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86 : 89-105, 2015
57 에너지경제, "도시경제 뉴딜정책에 대한 조언"
58 강현호, "뉴타운 건설과 관련된 법적 쟁점" 한국토지공법학회 41 : 23-54, 2008
59 KBS 뉴스, "뉴스테이 공공성 강화…초기 임대료 규제·입주자격 제한"
60 데일리안, "김현미 국토부 장관 내정... ‘뉴딜정책’ 재원마련 조정자 역할 하나"
61 박소영, "국토정책 Brief, 615호"
62 이재삼,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법률적 체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52 : 183-214, 2011
63 하기주, "국내 건설기능인력의 수급 현황 및 운영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37 (37): 923-, 2017
64 김선천, "구도심 재생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루원시티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65 김상영, "공공교육기관 설립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10
66 김덕호, "건설현장 내국인 고용 증대방안"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67 박용석, "건설투자 활성화 및 고용 여건 개선을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8-10, 2010
68 "文정부 도시재생 사업 거주민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해야 전문가들, 용적 이전제도, 조세담보금융제도 등 제안"
69 조명래, "〔도시재생〕도시재생으로서의 서울역 고가도로 공원화 사업 검토,-재생 방법론의 관점에서-" 56 : 12-, 2015
70 "[도시재생 투기세력 침투] 실태와 대안은, ‘뜨는 동네’ 부지 실거래가, 공시지가의 3배 훌쩍"
71 "SH공사, 만성부채에 미분양시프트…해결 ‘깜깜’-월소득 기준 완화 미분양 털고자 고소득자에게 혜택"
72 news1, "50조 투입 도시재생 투기수요, 대상지 선정부터 사전 차단"
73 조선경제, "30년간 정권 따라 춤춘 임대주택.. 뉴스테이·행복주택 운명은"
74 "2017년 고용전망"
75 강민정, "2015-2020 건설 산업 수요 전" 한국고용정보원 11-12, 2016
미국대통령제에 관한 연구 - 지위와 권한을 중심으로 -
공법상 제한을 받는 토지에 대한 손실보상 - 대법원 판례의 동향을 중심으로 -
오리건 주의 토지이용규제와 입법투쟁 - 오리건 주의 주민투표 법안 37과 49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9 | 0.687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