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 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최 인 화 가출청소년쉼터의 운영 목적을 성공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98263
서울 :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16. 8
2016
한국어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 ; 소진 ; 사회적지지 ; 이직의도
362 판사항(22)
서울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shelter workers
v, 52 p. ; 30cm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인화
권말에 설문지 수록
참고문헌 : p. 38-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 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최 인 화 가출청소년쉼터의 운영 목적을 성공적...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 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최 인 화
가출청소년쉼터의 운영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는 낮은 보수, 빈번한 야간숙직, 초과근무 등 열악한 업무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높은 이직률을 보이고 있음에도 그에 대한 우리 사회의 지원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에 따라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감정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결여,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소재한 가출청소년쉼터 119개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65개의 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1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 따른 이직의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지만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이직의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혼여부에 따른 이직의도는 미혼보다 기혼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급여가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인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고, ‘20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인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급여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는 중장기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일시쉼터와 단기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무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현재 근무 중인 쉼터유형을 통제하였을 때,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과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진의 하위요인 중 감정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결여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진의 하위요인 중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와 사회적지지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감정적 고갈 수준이 높아지고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중 감정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들이 장기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수립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 소진, 사회적지지, 이직의도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shelter workers Hanaro Cho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visor: Professor In-Hwa Choi To run a runaway youth shel...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shelter workers
Hanaro Cho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visor: Professor In-Hwa Choi
To run a runaway youth shelter successfully, the role of youth shelter workers is critical. However, employees providing services at youth centers tend to receive low pay and are exposed to poor work conditions such as frequent night shifts and overtime work. Despite the resulting high turnover rate, societal support to rectify this situation is extremely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worker characteristics, and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differ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gender, age, marital status, pay, shelter type)?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depersonalization)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119 runaway youth shelters acorss Korea were reques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Of them, 65 shelters agreed to participate and a total of 113 worker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on the data collected via the SPSS 19.0 software program.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pay, and shelter type. Specifically, turnover intention appeared greater among male workers than female worker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seemed to increase according to age, but this, to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gle workers showed high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than married worker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was the greatest among workers who were paid ‘3,000,000 ~ 4,000,000 won’, and was the smallest among workers who were paid ‘2,000,000 ~ 3,000,000 won’. but the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pay was not significantly significant. Workers at medium- and long-term shelters expressed greater turnover intention than those at temporary shelters and short-term shelters, but this difference according to shelter type was also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was examin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were controlled for. As a result, two burnout subdomains,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However, another subdomain of burnout called depersonalization as well as social support appeared to have in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with high level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tend to have an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Importantly, the study found that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experienced by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when formulating effective policies that promote long-term satisfactory work environment for workers at runaway youth shelters.
keyword : burnout, social support, turnover intention, youthshelter worke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