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천주교 목판본 교리서에 나타난 표기의 특징과 의미- 『신명초힝』을 중심으로 - = Characteristics of Orthography of Manuscript Catechism of a Block Book Published by Korean Cathoic Church in the Late 19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Catholic notation of Korean and its meaning as displayed in the Shinmyeongchohaeng(신명초), a 19th-century Catholic woodcut catechism. The Korean Catholic Church published 13 woodblock cate...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Catholic notation of Korean and its meaning as displayed in the Shinmyeongchohaeng(신명초), a 19th-century Catholic woodcut catechism. The Korean Catholic Church published 13 woodblock catechisms in 1864-1865. The Shinmyeongchohaeng us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catechisms published at that time.
      We examine four orthographic aspects of the Shinmyeongchohaeng.
      First, in the Shinmyeongchohaeng root morphemes were written consistently in the same shape. The use of irregular forms and vowel alternations represented the real pronunciation.
      Second, initial reinforced(glottalized) sounds were written as compound writing of the same letters(各字竝書), not according to the convention that compound writing of different letter(合用竝書) be written historically. There are earlier examples of 各字竝書 used for reinforced(glottalized) sounds, but such use was limited. However, the Shinmyeongchohaeng used 各字竝書 for all initial reinforced(glottalized) sounds, and this notation was followed in printed Catholic books.
      Third, the ㆍ vowel and diphthongs writings in the Shinmyeongchohaeng almost match the conventions of Middle Korean writings. The notation whereby ㅡ changed to ㆍ under central consonants is largely followed only in 18th century Choseon Dynasty literature.
      Fourth, Sino-Korean readings were written based on the 『전운옥편』. In the Shinmyeongchohaeng, the Sino-Koreanㆍvowel, diphthongs, and palatal consonants are written based on the Sino-Korean readings of the 『전운옥편』, but the Sino-Korean readings of ㄹ and ㄴ were written to indicate the contemporary pronunciation.
      Examination of the Shinmyeongchohaeng shows that there was a certain orthographic standard that was strictly maintained in almost all instances, suggesting that there was an established, normative not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among Catholic writers. During times of persecution the catechism, which is crucial in maintaining the faith of believers and teaching doctrine, required normative not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활판본 셩경직(활판본)"

      2 이돈주, "한자음운학의 이해" 탑출판사 1995

      3 "한불뎐(활판본)"

      4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下)" 한국교회사연구소 1987

      5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上)" 한국교회사연구소 1987

      6 송 민, "프랑스 선교사의 한국어 연구과정" 5 : 133-148, 1987

      7 박순란, "표기와 음운현상을 통해 본 『셩경직 광익』 이본 간 선후 관계" 반교어문학회 (35) : 193-224, 2013

      8 서정수, "초기 한글 성경과 독립신문-표기법을 중심으로" 기독교문사 97-137, 1987

      9 이숭녕, "천주교신부의 한국어 연구에 대하여" 8 (8): 207-217, 1965

      10 유흥렬, "증보 천주교회사" 가톨릭출판사 1962

      1 "활판본 셩경직(활판본)"

      2 이돈주, "한자음운학의 이해" 탑출판사 1995

      3 "한불뎐(활판본)"

      4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下)" 한국교회사연구소 1987

      5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上)" 한국교회사연구소 1987

      6 송 민, "프랑스 선교사의 한국어 연구과정" 5 : 133-148, 1987

      7 박순란, "표기와 음운현상을 통해 본 『셩경직 광익』 이본 간 선후 관계" 반교어문학회 (35) : 193-224, 2013

      8 서정수, "초기 한글 성경과 독립신문-표기법을 중심으로" 기독교문사 97-137, 1987

      9 이숭녕, "천주교신부의 한국어 연구에 대하여" 8 (8): 207-217, 1965

      10 유흥렬, "증보 천주교회사" 가톨릭출판사 1962

      11 송철의, "주시경의 언어이론과 표기법"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12 조광,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89

      13 "전운옥편 (활판본)"

      14 "신명초(목판본)"

      15 "신명초 (활판본)"

      16 "셩경직 광익(필사본)"

      17 "불한사전 (필사본)"

      18 이준환, "근대국어 한자음의 체계와 변화 : 성모의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19 이기문,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한국연구원 1963

      20 김주필, "국어의 음운현상과 음운변화 연구" 역락 373-407, 2011

      21 이익섭, "국어 표기법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22 조광, "朝鮮後期 西學書의 受容과 普及" 민족문화연구원 (44) : 199-235, 2006

      23 박순란, "≪셩경직≫의 형성 과정과 텍스트 수정 양상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24 강이연, "19세기 후반 조선에 파견된 파리 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의 불한사전(Dictionnaire Français-Coréen)연구" 22 : 173-211,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