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부모의 유머스타일이 유아의 정서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0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or styles used by parents toward their children on the latter’s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and the role of parents warm parenting style in their relationships.
      Methods: The parents humor style and warm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were measured in 153 children aged 5-6 years,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long with their parents, totaling to 459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with SPSS 21.0 program.
      Results: First, if the father used more social humor, or if the mother used more social and selfenhancing humor, the child was more likely to have high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Second, the parents using more social and self-enhancing humors and mothers using more aggressive humor were more likely to show warm parenting behavior. Third, the warm parenting behavior of the mother mediates the positive effect of her social and self-enhancing humor on her childs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Conclusions: The frequent use of social and self-enhancing humor by parents means that they express their own emotion after regulating it positively. The infants adaptively regulate their own emotions by learning the regulated emotions of their parents. In addi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re more influential on the childs development than fathers parenting behaviors, despite womens active advancement into society and change in values of child-rearing.
      번역하기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or styles used by parents toward their children on the latter’s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and the role of parents warm parenting style in their relationships. Methods: The parents humor style and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or styles used by parents toward their children on the latter’s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and the role of parents warm parenting style in their relationships.
      Methods: The parents humor style and warm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were measured in 153 children aged 5-6 years,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long with their parents, totaling to 459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with SPSS 21.0 program.
      Results: First, if the father used more social humor, or if the mother used more social and selfenhancing humor, the child was more likely to have high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Second, the parents using more social and self-enhancing humors and mothers using more aggressive humor were more likely to show warm parenting behavior. Third, the warm parenting behavior of the mother mediates the positive effect of her social and self-enhancing humor on her childs emotion regulation competence.
      Conclusions: The frequent use of social and self-enhancing humor by parents means that they express their own emotion after regulating it positively. The infants adaptively regulate their own emotions by learning the regulated emotions of their parents. In addi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re more influential on the childs development than fathers parenting behaviors, despite womens active advancement into society and change in values of child-rear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 Introduction
      •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You, A.,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90

      2 김재엽, "취업모의 음주행태와 우울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23 (23): 93-125, 2011

      3 이재택, "초등학생 부모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68-685, 2016

      4 최혜진,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45-168, 2017

      5 김유화, "유아의 유머 특성 및 또래 관계 속 유머를 둘러싼 맥락적 요소와 의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151-174, 2009

      6 김지윤,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7 여은진,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75-295, 2009

      8 김진영, "유아들의 유머와 친구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13-133, 2004

      9 김지연,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한국생애학회 3 (3): 59-77, 2013

      10 허영주,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교사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9-49, 2010

      1 You, A., "한국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90

      2 김재엽, "취업모의 음주행태와 우울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23 (23): 93-125, 2011

      3 이재택, "초등학생 부모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68-685, 2016

      4 최혜진,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45-168, 2017

      5 김유화, "유아의 유머 특성 및 또래 관계 속 유머를 둘러싼 맥락적 요소와 의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151-174, 2009

      6 김지윤,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7 여은진,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75-295, 2009

      8 김진영, "유아들의 유머와 친구 관계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13-133, 2004

      9 김지연,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 한국생애학회 3 (3): 59-77, 2013

      10 허영주, "예비교사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교사교육에 요구하는 변화"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9-49, 2010

      11 조형숙,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추구하는 아버지상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39-264, 2008

      12 이진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과 자아탄력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6576-6586, 2014

      13 박서정,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및 정서조절 능력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14 이순원,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283-305, 2012

      15 임연진,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0 (40): 113-124, 2002

      16 손영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간의 관계: 성격의 중재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25-144, 2011

      17 임희수,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3 (23): 37-54, 2002

      18 Lee, Y., "아버지 양육참여 실태 및 역량 강화 방안" KICCE 2016

      19 임연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 18 (18): 329-348, 2015

      20 박주희,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1 신봉자,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16 (16): 35-43, 2010

      22 김혜민, "분노 조절 프로그램이 사회복귀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의 분노, 대인관계기술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1 (21): 109-119, 2013

      23 박잎새, "부부공동양육, 아버지 양육참여 및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8 (28): 135-153, 2015

      24 백미애, "부모의 정서표현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감정조절능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5 이종욱, "부모양육방식과 자녀발달특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1 (21): 275-296, 2012

      26 하승수,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성격 강점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263-284, 2011

      27 Eisenberg, N., "The relations of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with quality of Indonesian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1 (1): 116-136, 2001

      28 Freud, S., "The pelican Freud library: Vol. 6. Jokes and their relation to the unconscious" Penguin 1976

      29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0 Dodge, K. A.,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2, 1991

      31 Amanda Sheffield Morris, "The Role of the Family 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Wiley 16 (16): 361-388, 2007

      32 Jay Belsky,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JSTOR 55 (55): 83-, 1984

      33 Grazyna Kochanska, "Temperament,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Receptive Cooperation With Their Par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41 (41): 648-660, 2005

      34 Rod A. Martin, "Sense of humor and physical health: Theoretical issues, recent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Walter de Gruyter GmbH 17 (17): 1-19, 2004

      35 Park, H. R., "Psychological structures of experience of humor appeal advertising by humor-formation mechanisms" 12 (12): 37-72, 2001

      36 Alberto Alegre,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hat do We Know?" SAGE Publications 19 (19): 56-62, 2010

      37 Baumrind, 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ume 7"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46, 1973

      38 Marjorie A. Pett, "Maternal Employment and Perceived Stress: Their Impact on Children's Adjustmen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in Young Divorced and Married Families" JSTOR 43 (43): 151-, 1994

      39 Rod A. Martin, "Individual differences in uses of humor and their rel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Development of the Humor Styles Questionnaire" Elsevier BV 37 (37): 48-75, 2003

      40 Teti, D. M., "Handbook of parenting: Volume 4 social conditions and applied parenting" Psychology Press 149-180, 2005

      41 Ross D. Parke, "Father involvement: A development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nforma UK Limited 29 (29): 43-58, 2000

      42 John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onstruction and regulation of feelings" Elsevier BV 4 (4): 197-208, 1995

      43 Ross A. Thompson,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JSTOR 59 (59): 25-, 1994

      44 Ann Shields,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33 (33): 906-916, 1997

      45 Kim, M. J.,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on children’s aggression" 2006

      46 Cho, B. H., "Dimensions and assessment of Korean parenting style" 37 (37): 123-133, 1999

      47 David L. Causey, "Development of a Self-Report Coping Measu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forma UK Limited 21 (21): 47-59, 1992

      48 Paul E. McGhee, "Children's Appreciation of Humor: A Test of the Cognitive Congruency Principle" JSTOR 47 (47): 420-, 1976

      49 Jeon, H. J., "Childhood experience,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 Relationship to parenting behaviors" 20 (20): 153-169,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1.77 2.21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