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청년의 창업교육 참여가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Young People s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 Verification of Intermediate Effects of Self-efficacy Compon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268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청년을 대상으로 한 창업 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창업 교육이 자기효능감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가 창업교육과 기업가정신을 각각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창업 교육을 통해 기업가정신이 만들어지는 경로에서 창업 교육의 유형(정규교과 및 비교과 창업교육프로그램) 및 참여 횟수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와 기업가정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창업 교육의 참여는 기업가정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은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업도전감은 창업 교육 참여 횟수와 기업가정신을 매개한다. 정규교과창업교육과 비교과창업프로그램 횟수의 증가에 따라 기업가정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비교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은 기업가정신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창업 교육의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와 개인의 교육 참여 계획을 통해 창업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청년을 대상으로 한 창업 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창업 교육이 자기효능감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가 창...

      청년을 대상으로 한 창업 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창업 교육이 자기효능감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자기효능감의 구성 요소가 창업교육과 기업가정신을 각각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창업 교육을 통해 기업가정신이 만들어지는 경로에서 창업 교육의 유형(정규교과 및 비교과 창업교육프로그램) 및 참여 횟수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와 기업가정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창업 교육의 참여는 기업가정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은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업도전감은 창업 교육 참여 횟수와 기업가정신을 매개한다. 정규교과창업교육과 비교과창업프로그램 횟수의 증가에 따라 기업가정신,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업도전감에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비교과 창업교육프로그램은 기업가정신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창업 교육의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와 개인의 교육 참여 계획을 통해 창업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analyz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self-efficacy on young people under 39, we studied how entrepreneurship affects self-efficacy and how components of self-efficacy mediates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respectively. The types of start-up education were divided into regular lectures, comparisons, and start-up programs to study whether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significantly increase with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affected entrepreneurship,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task challenge preference, self-regulation effectiveness, and task preference. In addition, the sense of self-regulation and task challenge mediates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gular curriculum start-up education and comparison and start-up programs ha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entrepreneurship, confidence, self-regulation, and task advancement. Especially comparison and start-up programs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tart-up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of curriculum which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start-up education and individual education participation plans.
      번역하기

      By analyz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self-efficacy on young people under 39, we studied how entrepreneurship affects self-efficacy and how components of self-efficacy mediates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respectively. The types ...

      By analyz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self-efficacy on young people under 39, we studied how entrepreneurship affects self-efficacy and how components of self-efficacy mediates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respectively. The types of start-up education were divided into regular lectures, comparisons, and start-up programs to study whether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significantly increase with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affected entrepreneurship,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task challenge preference, self-regulation effectiveness, and task preference. In addition, the sense of self-regulation and task challenge mediates participation in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gular curriculum start-up education and comparison and start-up programs ha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entrepreneurship, confidence, self-regulation, and task advancement. Especially comparison and start-up programs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tart-up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of curriculum which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start-up education and individual education participation pl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학업능력 집단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학업동기유형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43-562, 2012

      2 김용태,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비교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49-58, 2018

      3 박채춘, "창업행동 세미나" 한경사 2021

      4 김택수,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와 사업실패부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6

      5 송영수, "지식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기업가정신" 자유기업원 2010

      6 원상필, "정부와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기술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과 4차 산업혁명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창업학회 13 (13): 145-172, 2018

      7 홍현경, "자기효능감이 직무 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구성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8 배귀희, "사회적 기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 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구조방정식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5 (15): 199-227, 2011

      9 윤종록, "벤처기업의 창업가특성과 차별화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2 (22): 3693-3721, 2009

      10 목영두, "대학의 창업교육 체계화를 위한 창업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대한경영학회 25 (25): 833-857, 2012

      1 김아영, "학업능력 집단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학업동기유형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543-562, 2012

      2 김용태, "체험형 창업강좌와 이론형 창업강좌 학습자간의창업동기,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 비교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49-58, 2018

      3 박채춘, "창업행동 세미나" 한경사 2021

      4 김택수,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자기유능감의 매개효과와 사업실패부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6

      5 송영수, "지식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기업가정신" 자유기업원 2010

      6 원상필, "정부와 대학의 창업지원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기술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기업가정신과 4차 산업혁명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창업학회 13 (13): 145-172, 2018

      7 홍현경, "자기효능감이 직무 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구성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8 배귀희, "사회적 기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 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구조방정식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5 (15): 199-227, 2011

      9 윤종록, "벤처기업의 창업가특성과 차별화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2 (22): 3693-3721, 2009

      10 목영두, "대학의 창업교육 체계화를 위한 창업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대한경영학회 25 (25): 833-857, 2012

      11 윤백중, "대학생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2

      12 안태욱, "대학 창업교육의 창의성 역량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2017

      13 박찬희, "대학 소자본 창업체험교육이 대학생의 창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7

      14 김성식, "기업가정신이 과업도전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Baron & Kenny와 Hayes의 검증 방법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15 (15): 54-74, 2021

      15 이춘우, "기업가정신의 이해" 중소기업청,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2014

      16 양준환, "기업가정신교육이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창업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65-77, 2014

      17 김성미,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자본이 대학생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글로벌벤처창업대학원 2020

      18 이춘우,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과 기업가(Entrepreneur)의 정의의 통합모형: 직무관점 및 역량모델 관점의 적용" 한국중소기업학회 41 (41): 97-129, 2019

      19 남정민, "기업가정신 온라인교육의 효과성 검증: 플립러닝 및 PBL 기반 기업가정신교육 적용 사례"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31-40, 2017

      20 한경석, "기업가정신 및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업실패부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21 Isenberg, D.,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strategy as a new paradigm for economy policy: principles for cultivating entrepreneurship" Babson Entrepreneurship Ecosystem Project, Babson College 2011

      22 Ronstadt, R., "The educated entrepreneurs : A new era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is beginning" 10 (10): 7-23, 1985

      23 Mark Sherer,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51): 663-671, 1982

      24 Nancy G. Boy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Actions" 18 (18): 63-77, 1994

      25 Miller, D.,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29 (29): 770-791, 1983

      26 Gary P. Latham, "Self-regulation through goal setting" 50 (50): 212-247, 1991

      27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H. Freeman and Company 1997

      28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26): 207-231, 1991

      29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30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28): 117-148, 1993

      31 Drucker, P. F., "Innovation & Enterpreneurship. Practice & Principles" Harper 1985

      32 Covin, J. G.,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Babson College 1986

      33 Newman Alexand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its theoretical foundations, measurement, antecedents, and outcomes, and an agenda for future research" 40 : 3-419, 2019

      34 Vesper, K. H., "Enc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Prentice-Hall 1982

      35 Bandura, A., "Effect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regulation of complex decision making" 56 (56): 805-814, 1989

      36 Covin, J. G.,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3 : 5-28, 1991

      37 박재성, "4차 산업혁명시대 창업교육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창업교육의 유형별 중심" 한국창업학회 13 (13): 40-67, 2018

      38 중소벤처기업부, "2018년 대학 창업 인프라 실태조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