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 및미래지향적인 핵심역량 중요도 =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and Importance of Future-oriented Core Competenc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 수준과 미래지향적인 핵심역량 중요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양국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부산과 중국 사천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총 5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핵심역량에 대해 한국대학생이 중국대학생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특히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서 양국 대학생 간 인식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미래지향적 핵심역량의 중요도에서도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종합적 사고력, 정보자원기술 활용능력, 글로벌역량, 자기관리능력의 중요도에서는 한국대학생과 중국대학생이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 수준과 미래지향적인 핵심역량 중요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양국 대학생의 핵심역...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 수준과 미래지향적인 핵심역량 중요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양국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부산과 중국 사천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총 5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핵심역량에 대해 한국대학생이 중국대학생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특히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서 양국 대학생 간 인식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미래지향적 핵심역량의 중요도에서도 동일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종합적 사고력, 정보자원기술 활용능력, 글로벌역량, 자기관리능력의 중요도에서는 한국대학생과 중국대학생이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and importance of future-oriented core competenc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to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in Pusan, Korea and those in Sichuan, China. It utilized the survey questions adopted from Korean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The research variables include gender, years of study, major of 565 college students. The 6 competencies were high-order thinking competency, resources-information-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global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On the who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ies level is higher than Chinese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college students of two countries wer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this main difference showed in the future-oriented core competencies as well. In additio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have similar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in high-order thinking competency, global competency, self- management and resources-information-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y.
      번역하기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and importance of future-oriented core competenc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to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in Pusan, Korea ...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level of core competencies and importance of future-oriented core competenci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to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in Pusan, Korea and those in Sichuan, China. It utilized the survey questions adopted from Korean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The research variables include gender, years of study, major of 565 college students. The 6 competencies were high-order thinking competency, resources-information-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global competenc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On the who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ies level is higher than Chinese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college students of two countries wer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this main difference showed in the future-oriented core competencies as well. In additio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have similar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in high-order thinking competency, global competency, self- management and resources-information-technology utilization competen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분석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분석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 고 문 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창균, "핵심직업능력시스템의 구축" 2 (2): 5-20, 2012

      2 권상순,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중학교 수학 수업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 2013

      3 김창환, "한국의 교육지표, 지수 개발연구(Ⅲ): 대학생역량지수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4 최홍규, "한국기업의 대중국교역 실태 분석 및 대책" 15 : 273-296, 2004

      5 대려민,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비교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6 강경옥,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갈등관리 유형간의 관계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03-127, 2013

      7 임은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차이," 2 (2): 43-68, 2011

      8 소경희,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39-59, 2006

      9 홍후조, "초, 중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4-58, 2008

      10 조원경,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의 과제" 32 (32): 1-21, 2001

      1 채창균, "핵심직업능력시스템의 구축" 2 (2): 5-20, 2012

      2 권상순,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중학교 수학 수업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고려대학교 2013

      3 김창환, "한국의 교육지표, 지수 개발연구(Ⅲ): 대학생역량지수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4 최홍규, "한국기업의 대중국교역 실태 분석 및 대책" 15 : 273-296, 2004

      5 대려민,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비교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6 강경옥,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갈등관리 유형간의 관계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03-127, 2013

      7 임은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차이," 2 (2): 43-68, 2011

      8 소경희,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39-59, 2006

      9 홍후조, "초, 중등학교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역량에 대한 토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4-58, 2008

      10 조원경,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의 과제" 32 (32): 1-21, 2001

      11 태평무, "중한 언어문화의 차이로부터 본 양국 간의 의사소통의 특징" 3 (3): 2006

      12 박종배, "중국대학교육개혁의 동향과 전망"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50) : 66-75, 2007

      13 송영주, "전문대학생의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321-342, 2010

      14 이성, "자기관리와 미래준비" 경문사 5-, 2011

      15 윤정일,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16 박영숙 외, "유엔미래보고서 2040" 교보문고 2013

      17 이재분, "유비쿼터스 사회에서의 평생학습 활성화 정책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8 교육부, "외국인유학생 유치, 지원 확대를 위한 정책연구" 교육부(국립국제교육원) 2014

      19 박보영, "역량기반 치의학교육의 개념과 교육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ADEA의 역량 규정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215-235, 2008

      20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05-127, 2013

      21 김안나, "생애능력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고등교육체제의 질 관리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2

      22 조대연, "사회적 자본을 통한 국가수준의 역량개발 가능성 탐색: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중심으로" 9 (9): 2007

      23 박재윤, "미래교육비전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24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비전 연구Ⅱ :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5 윤현진,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6 박동열,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직업기초능력 모형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349-385, 2010

      27 김연희,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과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20, 2010

      28 이장익,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227-246, 2012

      29 장욱희, "대학생의 역량과 구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3 (33): 31-59, 2009

      30 김성남,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에 대한 요구 분석 - 대학생, 대학교 취업담당관, 기업체 인사담당자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91-113, 2012

      31 김안나,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개인 및 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0 (30): 367-392, 2003

      32 진미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461-486, 2011

      33 백평구,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349-387, 2013

      34 정진곤, "대학교육체제 개혁 방안"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2000

      35 김혜정, "대학교육 질 향상을 위한 핵심역량과 효능감 간의 상호관련성: 프로젝트 참여수업을 중심으로" 2009

      36 김동일,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0 (10): 195-214, 2009

      37 서민원, "다층모형의 논리적 구조와 적용:대학교육의 효과 측정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16 (16): 43-63, 2003

      38 이병식,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학교육 과정과 대학 특성 변인의 영향"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43-266, 2008

      39 강순희, "노동시장 및 직무요건의 변화에 따른 핵심역량의 변화" 한국교육개발원 2002

      40 윤여각, "국민 기초교육 단계에서의 생애능력 형성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2

      41 김안나, "국가수준의 생애능력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3

      42 유현숙 외,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2002

      43 유현숙,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44 백경선,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 분석과 반영 체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45 홍후조, "교육과정의 운영의 원리와 실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8 (8): 161-188, 2002

      46 강명희, "고등학생의 미래핵심역량, 행동조절능력, 국어성취도 간의 관계" 교과교육연구소 16 (16): 1143-1166, 2012

      47 유현숙, "고등교육 미래비전 2040 수립을 위한 정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48 辛涛, "基于学生核心素养的课程体系建构" (1) : 5-11, 2014

      49 裴新宁, "为21世纪重建教育--欧盟 “核心素养” 框架的确立" (12) : 89-102, 2013

      50 Delamare Le Deist, F., "What is competence?" 8 (8): 27-46, 2005

      51 DeSeCo,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52 Young, M. F. D.,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From the ‘New sociology of Education’ to a Critical Theory of Learning" Falmer Press 1998

      53 최정윤, "OECD 고등교육 학습성과 평가사업 연구(I): OECD AHELO 사업 참여를 위한 실천 전략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2009

      54 Bernhardt, R., "Curriculum leadership: Rethinking schools For the 21st century" Hampton Press. Inc 1998

      55 Weinert, F. E., "Concept of Competence: A Conceptual Clarification" 2001

      56 현영섭, "Competency-based Curriculum(CBC)를 적용한 고객응대역량 모델링 및 CS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 H社의 판매 및 정비직을 대상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0 (10): 195-222, 2008

      57 McClelland, D. C., "Competence at work" John Wiley & Sons Inc 1993

      58 Ewell, P., "Assessment: What’s It All About?" 17 (17): 32-36, 1985

      59 박영숙, "2020미래교육보고서" 경향미디어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