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하여 경험한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 An Analysis of the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eaching Demonstrations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31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통하여 경험하게 되는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고, 그러한 실천적 지식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rotty(1998)의 분류법에 따라 구성주의(constructionism)관점의 인식론 하에 해석주의(interpretivism)의 이론적 틀의 관점에서 연구 방법론으로 실
      행 연구(action research)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A 대학교 사범대학 중등특수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 23명이었다. 이들은 교원 양성
      대학의 정규 교과목 중의 하나인 ‘중등 특수교육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에서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이 경험한 실천적
      지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시연 장면 전사 자료, 반성적 저널쓰기 자료, 면담 자료, 수업시연 지도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Nvivo 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귀납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수업 계획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 ‘수업 실행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에 대한 경험을 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 및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근거한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통하여 경험하게 되는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고, 그러한 실천적 지식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

      이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통하여 경험하게 되는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고, 그러한 실천적 지식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rotty(1998)의 분류법에 따라 구성주의(constructionism)관점의 인식론 하에 해석주의(interpretivism)의 이론적 틀의 관점에서 연구 방법론으로 실
      행 연구(action research)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A 대학교 사범대학 중등특수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 23명이었다. 이들은 교원 양성
      대학의 정규 교과목 중의 하나인 ‘중등 특수교육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에서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이 경험한 실천적
      지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시연 장면 전사 자료, 반성적 저널쓰기 자료, 면담 자료, 수업시연 지도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Nvivo 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귀납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수업 계획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 ‘수업 실행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에 대한 경험을 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 및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근거한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gathered through teaching demonstrations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 well as examine the meaning of such practical knowledge.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employed action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interpretivism under the epistemology of constructivism according to Crotty(1998) classification method. The subjects were 23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ir third year at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of A University. They demonstrated classes and wrote reflective journals in “Method to Study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nd Teaching Skills”, one of the regular courses provided by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wards this end, the study collected microteaching scripts, as well as data from reflective journal writings, interviews, and teaching guidelines. Indu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Nvivo 9 program,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have made experiences in the categories of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class planning”,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class progression”, and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teachers themselv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to enhance class expertise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gathered through teaching demonstrations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 well as examine the meaning of such practical knowledge. To achieve 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gathered through teaching demonstrations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 well as examine the meaning of such practical knowledge.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employed action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interpretivism under the epistemology of constructivism according to Crotty(1998) classification method. The subjects were 23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ir third year at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of A University. They demonstrated classes and wrote reflective journals in “Method to Study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nd Teaching Skills”, one of the regular courses provided by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wards this end, the study collected microteaching scripts, as well as data from reflective journal writings, interviews, and teaching guidelines. Indu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Nvivo 9 program,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have made experiences in the categories of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class planning”,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class progression”, and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teachers themselv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to enhance class expertise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2
      • Ⅱ. 연구 방법 4
      • Ⅲ. 연구 결과 11
      • Ⅳ. 결론 및 제언 21
      • Ⅰ. 서론 2
      • Ⅱ. 연구 방법 4
      • Ⅲ. 연구 결과 11
      • Ⅳ. 결론 및 제언 2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심, "현장교육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22, 2007

      2 최의창,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 연구자, 그리고 현장 개선 연구, In 교육에서의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559-585, 1998

      3 박계신,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55-74, 2011

      4 홍재영, "체육수업에서 긍정적 경험의 축적 및 확장 :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생태학적 평가기반 수업"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5 박계신, "체계적인 수업실연과 분석 활동을 통한 예비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 기술의 변화"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23, 2011

      6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한국교육학회 42 (42): 285-315, 2004

      7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63-80, 2010

      8 이지현,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수업 프로그램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33, 2009

      9 허영주,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의 도입을 통한 현직교사 교육프로그램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07-228, 2007

      10 김은주,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7-46, 2010

      1 강영심, "현장교육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22, 2007

      2 최의창,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 연구자, 그리고 현장 개선 연구, In 교육에서의질적 연구 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559-585, 1998

      3 박계신, "특수교사의 교과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용교수지식 계발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55-74, 2011

      4 홍재영, "체육수업에서 긍정적 경험의 축적 및 확장 :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생태학적 평가기반 수업"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5 박계신, "체계적인 수업실연과 분석 활동을 통한 예비특수교육교사들의 교수 기술의 변화"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23, 2011

      6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한국교육학회 42 (42): 285-315, 2004

      7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63-80, 2010

      8 이지현,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수업 프로그램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33, 2009

      9 허영주,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의 도입을 통한 현직교사 교육프로그램의 변화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07-228, 2007

      10 김은주,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7-46, 2010

      11 남윤석, "수학 수업시연에서 나타나는 예비특수교사의 학습 경험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41-264, 2011

      12 김인옥, "수업시연과 영작테스트에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교실영어 오류 분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3 (13): 5-32, 2007

      13 홍재영, "생태학적 평가기반 체육수업을 통한 시각중복장애학생의 신체활동 변화에 대한 실행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201-236, 2009

      14 최승숙, "반성적 저널쓰기를 활용한 특수학급 현장실습이 예비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1 (11): 107-130, 2012

      15 박계신, "반성적 수업시연과 분석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유아특수교육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11 (11): 215-240, 2012

      16 최지훈, "반성적 사고 교육이 예비특수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수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23-40, 2010

      17 박정준, "반성적 마이크로티칭에 나타난 예비 체육교사의 실천적 지식 내용과 수준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1 (21): 1595-1614, 2010

      18 서경혜,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85-310, 2005

      19 강영심, "모의수업을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유형과 수준" 교육연구소 5 (5): 55-80, 2004

      20 이혁규, "교육학연구프리즘: 교육 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 연구 방법" 25 : 196-213, 2005

      21 남도희,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교육학적 내용지식 변화에 관한 실행연구 -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47-70, 2011

      22 정애란,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관심 실행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893-906, 2007

      23 강창숙, "교육실습생의 실천적 지식 구성에 대한 관찰 - 지리 수업조직을 사례로 -" 대한지리학회 44 (44): 577-603, 2009

      24 김두정,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혼합적 연구 방법을 통한교사의 실천적지식의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7-157, 2009

      25 이유리,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1-47, 2011

      26 강창숙, "교생의 지리 수업 경험에서 나타나는 실천적 지식의 내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5 (15): 323-343, 2007

      27 소경희, "교사학습(teacher learning) 이해를 위한 이론적 기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07-126, 2009

      28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 수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29 김자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77-96, 2003

      30 이정선,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한국교육인류학회 8 (8): 211-239, 2005

      31 이선경,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7-57, 2009

      32 김혜숙, "고등학교 초임과 경력지리교사의 실천적 지식 비교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5 (45): 91-113, 2006

      33 Freeman, D., "To make the tacit explicit: Teacher education, emerging discourse, and conceptions of teaching" 7 (7): 439-454, 1991

      34 Crotty, M., "The foundations of social research: Meaning and perspective in the research process" SAGE 1998

      35 Elbaz, F.,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1, 1981

      36 Lincoln, Y. S.,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 SAGE 191-215, 2005

      37 Cook, T.,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ithin developmental evaluation: Learning to see or the road to myopia" 12 (12): 418-436, 2006

      38 Poonamallee, L., "Building grounded theory in action research through the interplay of subjective ontology and objective epistemology" 7 (7): 69-83, 2009

      39 Cassell, C., "Action research: Explaining the diversity" 5 (5): 783-814, 2006

      40 Mills, G. E., "Action research: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er (3rd ed.)" Pearson Education INC 2007

      41 Golombek, P., "A study of language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32 (32): 447-464, 1998

      42 Johnson, A. P., "A short guide to action research (3rd ed.)" Pearson Education INC 2008

      43 Hiebert, J., "A knowledge bas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hat would it look like and how can we get one?" 31 (31): 3-15, 2002

      44 양미경, "'내용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 및 과제" 한국교육원리학회 14 (14): 45-64,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