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이 대학생의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companion dog-assisted phototherapy activity on the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4794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원광대학교 대학원 , 농학과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20 판사항(6)

      • DDC

        63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xiii, 120장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옥진
        권말부록: 회기별 프로그램(1~12회기) 등
        참고문헌: 장 80-8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college student groups, depression is a negative result of various stress situations, which can be reduced when interacting with a medium that can share emotions and to which can naturally project their feelings on the medium without burden. As a necessary medium for this purpose, the recent interest lies in animal assisted programs. In this way, counseling programs that use animals as medium are called animal-intervention mediation.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in which animals are mediated,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those who need counselling can naturally project their emotions in stressful situations in that the animal itself is naturally very friendly to humans and thus relatively less burdensome to mediate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pands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s to help reduce depression by reducing stress in college student groups, and it contributes to the main effect of college student group depression by developing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with companion dogs, especially dogs and photos. A total of 12 photo sessions (80 minutes) per week were carried out from April 2017 to June 2017, using photos of dogs. 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9 othe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main experiment were made up of a control group.
      In this study, Beck's degree of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study subjects using the BDI tool. The research method was developed through individual consultation along with a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where college students in the study took advantage of photos of dogs. The impact of the program was compared with the photo medium and the companion photo medium in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by conducting a pre- and post-examination. In addition, the impact of photo-taking activities among those who need counselling and those involving dogs was also compar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0.0 to compare pre-test homogeneity tests for subjects and to determine changes between the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that does not assume normal distribution of data, was conducted for the variation ratio of test groups and control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within-subject effect analysi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in mean by the varia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st group's depression averaged 13.88 in pre-test and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 = -2.67, p = .007). The depression score of the control group averaged 10.6 in pre-test and the post-test was reduced to 9.8,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mea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Z=-.776, p = .438). On the other hand, a one-way analysis of repeated measurements within the subjects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effect of the photo-care program using dogs’ pictur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duction of the depression levels of the subjects. This method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pplication by rotation of the subjects (pre- and post-test). As a result, the main effects at the time of appl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 (2,67) = 6.82, p < 0.001). The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 which utilizes pictures of dogs measured in partial eta squared, had a very high effect size of .819. Based on this,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using dog pictur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relatively effective and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vari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Post-hoc was performed using the Bonferroni method to determine the main effects of changes in the subjects’ depression sca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rop in the depression in post-testing compared to pre-test (p = .020).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were not significant (F(2)=1.62, p >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hototherapy activity using companion dogs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secondly, phototherapy activity with dogs is effective in psychotherapy, and combination of the use of phototherapy activities an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can result in various types of similar programs.
      번역하기

      For college student groups, depression is a negative result of various stress situations, which can be reduced when interacting with a medium that can share emotions and to which can naturally project their feelings on the medium without burden. As a ...

      For college student groups, depression is a negative result of various stress situations, which can be reduced when interacting with a medium that can share emotions and to which can naturally project their feelings on the medium without burden. As a necessary medium for this purpose, the recent interest lies in animal assisted programs. In this way, counseling programs that use animals as medium are called animal-intervention mediation.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in which animals are mediated,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those who need counselling can naturally project their emotions in stressful situations in that the animal itself is naturally very friendly to humans and thus relatively less burdensome to mediated college students.
      This study expands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s to help reduce depression by reducing stress in college student groups, and it contributes to the main effect of college student group depression by developing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with companion dogs, especially dogs and photos. A total of 12 photo sessions (80 minutes) per week were carried out from April 2017 to June 2017, using photos of dogs. 9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9 othe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main experiment were made up of a control group.
      In this study, Beck's degree of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study subjects using the BDI tool. The research method was developed through individual consultation along with a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where college students in the study took advantage of photos of dogs. The impact of the program was compared with the photo medium and the companion photo medium in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by conducting a pre- and post-examination. In addition, the impact of photo-taking activities among those who need counselling and those involving dogs was also compar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0.0 to compare pre-test homogeneity tests for subjects and to determine changes between the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that does not assume normal distribution of data, was conducted for the variation ratio of test groups and control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within-subject effect analysi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ifference in mean by the varia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est group's depression averaged 13.88 in pre-test and the post-test showed tha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Z = -2.67, p = .007). The depression score of the control group averaged 10.6 in pre-test and the post-test was reduced to 9.8,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mea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Z=-.776, p = .438). On the other hand, a one-way analysis of repeated measurements within the subjects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 effect of the photo-care program using dogs’ pictur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duction of the depression levels of the subjects. This method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pplication by rotation of the subjects (pre- and post-test). As a result, the main effects at the time of appl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 (2,67) = 6.82, p < 0.001). The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 which utilizes pictures of dogs measured in partial eta squared, had a very high effect size of .819. Based on this, phototherapy activity programs using dog pictur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relatively effective and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vari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Post-hoc was performed using the Bonferroni method to determine the main effects of changes in the subjects’ depression sca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rop in the depression in post-testing compared to pre-test (p = .020).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were not significant (F(2)=1.62, p >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hototherapy activity using companion dogs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nd secondly, phototherapy activity with dogs is effective in psychotherapy, and combination of the use of phototherapy activities an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can result in various types of similar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생 집단에게 있어 우울감이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의 부정적 결과라고 할 때 이러한 스트레스는 대학생 자신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매개체와 상호작용할 때 감소될 수 있으며 그 매개체에 자신의 감정을 부담감 없이 자연스럽게 투사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에 필요한 매개대상으로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동물매개이며 이렇게 동물을 매개체로 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일컬어 동물매개중재라고 한다. 사람이 아닌 동물이 매개가 되는 동물매개중재는 동물자체가 인간에게 천성적으로 매우 친화적이고 따라서 중재대상 대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 되는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투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의 우울감 감소를 위하여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반려동물, 그 중에서도 특히 반려견과 사진을 합목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대학생 집단의 우울감 감소 효과에 기여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보고된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은 2017년 4월부터 6월까지 주 1회(80분)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녀 대학생 9명이었다. 본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또 다른 남녀 대학생 9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론벡의 우울척도(BDI : 자기진단 검사 Beck Depression Inventory)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우울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방법은 피 연구대상 대학생들이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설문지와 개별상담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울척도 검사를 사전·사후로 진행하여 본 프로그램이 연구대상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반려견 사진이 아닌 사진매체와 반려견 사진매체를 사용하여 그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내담자들끼리 사진촬영 활동을 하는 것과 반려견이 개입된 사진촬영 활동의 영향 또한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V.20.0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처리로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의 정규분포를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통계방법인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변화비교를 위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회 차에 따른 평균의 차이가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체 내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우울감은 사전검사에서 평균 13.88이었으며 사후검사에서 6.44로 감소하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2.67, p = .007). 통제집단의 우울감은 사전검사에서 평균 10.6이었으며 사후검사에서 9.8로 감소하였으나 이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Z=-.776, p = .438).
      한편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가 피험자들의 우울척도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체 내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피험자 내(사전, 사후) 회차에 따른 프로그램 적용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용시점의 주 효과(main effects)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2,67) = 6.82, p < 0.001). 부분 에타 자승(Partial eta squared)으로 측정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크기(effect size)는 .819로 매우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본 실험에 사용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매우 컸으며 피험자들의 우울척도는 프로그램의 적용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음을 나타낸다. 피험자들의 우울척도 변화의 주 효과가 어떤 대조에서 발생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페로니 (Bonferroni) 방법을 적용한 사후 검정(post-hoc)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에서 우울척도의 유의한 하락이 있었다(p = .020). 프로그램 적용과 성별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F(2)=1.62, p > 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첫째,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이 대학생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고, 둘째, 반려견과의 사진치료 활동이 심리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셋째, 동물매개중재에 사진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으므로, 동물매개중재와 사진치료 활동을 접목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대학생 집단에게 있어 우울감이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의 부정적 결과라고 할 때 이러한 스트레스는 대학생 자신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매개체와 상호작용할 때 감소될 수 있으며 그 ...

      대학생 집단에게 있어 우울감이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의 부정적 결과라고 할 때 이러한 스트레스는 대학생 자신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매개체와 상호작용할 때 감소될 수 있으며 그 매개체에 자신의 감정을 부담감 없이 자연스럽게 투사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에 필요한 매개대상으로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 동물매개이며 이렇게 동물을 매개체로 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일컬어 동물매개중재라고 한다. 사람이 아닌 동물이 매개가 되는 동물매개중재는 동물자체가 인간에게 천성적으로 매우 친화적이고 따라서 중재대상 대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 되는 상황에서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투사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의 우울감 감소를 위하여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확장하여 반려동물, 그 중에서도 특히 반려견과 사진을 합목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대학생 집단의 우울감 감소 효과에 기여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보고된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은 2017년 4월부터 6월까지 주 1회(80분)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녀 대학생 9명이었다. 본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또 다른 남녀 대학생 9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론벡의 우울척도(BDI : 자기진단 검사 Beck Depression Inventory)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우울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방법은 피 연구대상 대학생들이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설문지와 개별상담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울척도 검사를 사전·사후로 진행하여 본 프로그램이 연구대상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반려견 사진이 아닌 사진매체와 반려견 사진매체를 사용하여 그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내담자들끼리 사진촬영 활동을 하는 것과 반려견이 개입된 사진촬영 활동의 영향 또한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V.20.0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처리로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료의 정규분포를 가정하지 않는 비모수적 통계방법인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내 변화비교를 위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회 차에 따른 평균의 차이가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체 내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우울감은 사전검사에서 평균 13.88이었으며 사후검사에서 6.44로 감소하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 = -2.67, p = .007). 통제집단의 우울감은 사전검사에서 평균 10.6이었으며 사후검사에서 9.8로 감소하였으나 이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Z=-.776, p = .438).
      한편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가 피험자들의 우울척도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체 내 반복측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방법은 피험자 내(사전, 사후) 회차에 따른 프로그램 적용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용시점의 주 효과(main effects)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2,67) = 6.82, p < 0.001). 부분 에타 자승(Partial eta squared)으로 측정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크기(effect size)는 .819로 매우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할 때 본 실험에 사용한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매우 컸으며 피험자들의 우울척도는 프로그램의 적용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음을 나타낸다. 피험자들의 우울척도 변화의 주 효과가 어떤 대조에서 발생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페로니 (Bonferroni) 방법을 적용한 사후 검정(post-hoc)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에서 우울척도의 유의한 하락이 있었다(p = .020). 프로그램 적용과 성별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F(2)=1.62, p > 0.05).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첫째,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활동이 대학생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고, 둘째, 반려견과의 사진치료 활동이 심리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셋째, 동물매개중재에 사진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으므로, 동물매개중재와 사진치료 활동을 접목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3.1. 반려견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3.1. 반려견 4
      • 3.2. 사진과 사진치료 5
      • 3.3. 우울감 6
      • 3.4. 심리치료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심리치료 8
      • 1.1. 심리치료의 정의 8
      • 1.2. 심리치료와 상담 9
      • 1.3. MBTI 상담치료 10
      • 2. 사진과 사진치료 14
      • 2.1. 사진 14
      • 2.2. 사진치료 16
      • 2.3. 사진치료의 장점 및 상담에서의 활용 19
      • 3. 반려견 사진을 활용한 사진치료 21
      • Ⅲ. 연구방법 23
      • 1. 아론 벡의 우울척도(BDI) 23
      • 1.1. BDI 실시방법 24
      • 1.2. BDI 채점 방법과 우울정도 평가 24
      • 2. 연구 대상자 25
      • 2.1.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1 (A) 27
      • 2.2.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2 (B) 27
      • 2.3.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3 (S) 28
      • 2.4.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4 (C) 28
      • 2.5.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5 (E) 29
      • 2.6.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6 (R) 29
      • 2.7.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7 (G) 29
      • 2.8.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8 (H) 30
      • 2.9. 실험집단 연구 대상자 9 (K) 30
      • 3.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 설계 31
      • 3.1. 프로그램 절차 33
      • 3.2. 프로그램 구성 34
      • 4.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8
      • 4.1. 프로그램 진행 과정 38
      • 4.2. 연구과정 40
      • Ⅳ. 연구결과 43
      • 1. 반려견과 함께하는 사진치료 활동 프로그램 효과 분석 43
      • 1.1. 프로그램 효과 분석 43
      • 1.2. 성별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 분석 46
      • 1.3. 사진치료 자아개념 척도 분석 49
      • 1.4. 사진치료 자아존중감 척도 분석 51
      • 2. 개별 사례분석 54
      • 2.1. 연구 대상자 1 (A) 55
      • 2.2. 연구 대상자 2 (B) 57
      • 2.3. 연구 대상자 3 (S) 59
      • 2.4. 연구 대상자 4 (C) 61
      • 2.5. 연구 대상자 5 (E) 63
      • 2.6. 연구 대상자 6 (R) 65
      • 2.7. 연구 대상자 7 (G) 67
      • 2.8. 연구 참여자 8 (H) 69
      • 2.9. 연구 참여자 9 (K) 71
      • 3. 프로그램 만족도 72
      • Ⅴ. 논의 및 결론 74
      • 1. 논의 74
      • 2. 결론 78
      • 3. 연구 제한점 및 제언 7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진, 배병우, 성낙인, 서울: 미진사, , 1988

      2. 인간과 동물, 김옥진, 서울: 동일출판사, , 2016

      3. 사진치료기법, 심영섭, 이명신, 김준형, 서울: 학지사, , 2014

      4. 학위논문작성법, 임정하, 정옥분, 서울: 시그마프레스, , 2013

      5. 동물매개치료입문, 김옥진, 서울: 동일출판사, , 2015

      6. 상담심리학의 기초, 정남운, 이장호, 조성호, 서울: 학지사, , 2013

      7. 사진치료의 기법과 실제, 유순덕, 김준형, 서울: 비커밍, , 2016

      8.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주영주, 이현주, 김나영, 조성남, 서울: 도서출판 그린, , 2011

      9. 동물매개치료이해와 적용, 김옥진, 서울: 문운당, , 2014

      10.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권석만, 서울: 학지사, , 2016

      1. 사진, 배병우, 성낙인, 서울: 미진사, , 1988

      2. 인간과 동물, 김옥진, 서울: 동일출판사, , 2016

      3. 사진치료기법, 심영섭, 이명신, 김준형, 서울: 학지사, , 2014

      4. 학위논문작성법, 임정하, 정옥분, 서울: 시그마프레스, , 2013

      5. 동물매개치료입문, 김옥진, 서울: 동일출판사, , 2015

      6. 상담심리학의 기초, 정남운, 이장호, 조성호, 서울: 학지사, , 2013

      7. 사진치료의 기법과 실제, 유순덕, 김준형, 서울: 비커밍, , 2016

      8.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주영주, 이현주, 김나영, 조성남, 서울: 도서출판 그린, , 2011

      9. 동물매개치료이해와 적용, 김옥진, 서울: 문운당, , 2014

      10.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권석만, 서울: 학지사, , 2016

      11. 초보자를 위한 학위논문 작성법, 여태철, 공윤정, 김혜숙, 황매향, 서울: 학지사, , 2017

      12. 대학생 취업스트레스와 영향요인, 전경숙, 조선희, 스트레스연구, 23(2), 79-89, , 2015

      13. 마음챙김 명상과 사회정서학습의 융합, 김철호, 경인교육대학교 중견연 구자지원사업회, , 2017

      14. 감성과 논리력을 키워주는 사진교육 PIE, 정경열, 서울: 웅진리빙하우 스, , 2009

      15. 투사적 기법을 중심으로 한 사진치료연구, 홍미선,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16. 진로장애 감소를 위한 집단진로지도 프로그램, 김수현, 사회과학연구, 25(2), 1-39, , 2008

      17.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관한 집단사진치료 연구, 김정화, 명지대학교 사 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18. 간접적 산림체험이 인체의 심리에 미치는 효과, 전진영, 신창섭, 한국환 경생태학회지, 31(4) 420-427, , 2017

      19. 자기치유를 위한 7가지 기법: 매스미디어 테라 피, 김준형, 백지연, 문영애, 서울: 비커밍, , 2012

      20. 사진치료가 취약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노대겸, 대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21. SNS 프로필 사진을 활용한 자아표현 미술수업방안 연구, 안수현,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22. 시설치매노인의 기억력 회상을 위한 사진치료 사례연구, 이소영, 원광 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23. 사진치료의 이론과 실제: 가족사진을 통한 사진치료 연구, 박소현, 이화 여자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4

      24. 미술치료에서 사진 및 디지털이미지 활용에 관한 문헌 연구, 이가영, 김선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 2016

      25. 성격을 읽는 법 : 더 나은 인간관계를 위한 MBTI 성격의 심리 학, 강주헌, 서울: 더난출판, , 2016

      26.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와 실제(21세기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 한), 신재한, (창의융합교육학시리즈 2) 서울: 이모션북스, , 2017

      27. 전문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 일주기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 디지털 융복합연구, 15(7), 247-257, , 2017

      28. 국내 펫코노미(Pet+Economy) 시장의 현황과 시사점. (월 간)KIET산업경제, 박지혜, 통권226호, , 2017

      29. 완벽주의와 자아존중감이 자기구실 만들기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하정희, 상담학연구, 13(2) 705-724, , 2012

      30. 사진 활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최정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7

      31.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학생이 자기인식과 삶의 목적수 준에 미치는 효과, 김민화, 김준형, 인간발달연구, 20, , 2013

      32. 寫眞治療가 大學生의 自己效能感과 삶의 滿足度 精神健康에 미치는 效果, 조진호,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33.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우울에 관한 회상적용 사진미술치료 사례 연구, 조민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34. 사진치료를 통한 다문화사회의 상호문화소통에 대해. 철학과 문화 26. 77-96, 김종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 2013

      35. 통합의학적 연극치료기법 연구 - 국내 최초 대학병원 내원 우 울증 환자 대상, 김종현, 심리행동연구, 4(2), 115-145, , 2012

      36.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우울감이 대인커뮤니케이 션 능력에 미치는 효과, 권명진, 서가원,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6): 439-449, , 2017

      37.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안정 및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효과, 김다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8

      38. 인지치료와 정서장애: 인지치료 창시자 아론 벡이 저술한 인지 행동치료의 고전, 민병배, 서울: 학지사, , 2017

      39. . 사진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단일집단연구, 이정은,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40. 동물을 주제로 한 매체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 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재분,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 2014

      41. 사진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 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유순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3

      42. 사진치료에 참여한 중년여성가장의 정체성 변화에 대 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심리학회, 유현실, 백지연, 한국심리학회지: 여성21(3), , 2016

      43. 사진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긍정적 자기변화 경 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용수옥,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44. SNS 중독경향성 관련 대인관계 요인 비교분석 – 오스 트리아와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김성재, 서동백, 한국경영정보학회, , 2017

      45. 동물매개중재프로그램이 위축된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 및 사회 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마영남,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46. 작가미술관 건립과 운영에 관한 경험 연구: 공립 작가미술관의 홍보영상에 나타난 설득전략, 박인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7

      47. 중년기 여성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자화상 사진치료 프로그램 개발. 독서치료연구, 5(1) 89-103, 김준형, 한국독서치료학회, , 2013

      48.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아동복지연구, 강명희, 신근화, Asian journal of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 9(2). 85-111, , 2011

      49. 반려견 양육경험이 반려인의 우울감소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 는 영향 :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의 혼합, 김정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2017

      50.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가 우울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Agnew의 일반긴장이론의 논의에 기초하여, 윤우석, 한국치안행정논집, 13(1), 95-118, , 2016

      51. 발표불안 경향성이 있는 대학생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 지치료(MBCT)의 치료과정 변인과 치료 효과, 강성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2016

      52.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문제 음주 대학생의 우울, 충동성 및 문제음주 행동에 미치는 효과, 신정연, 손정락, 한국심 리학회, , 2011

      53. 사진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회상기능과 자아통합감 에 미치는 영향.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김영숙, 석사학위논문, , 2014

      54. 사진치료 기법을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정수, 단국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