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소송과정에서 나타난 쟁점 연구: K대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권 소송을 중심으로 = Issues Study on Ensuring the Rights to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y Revealed in Legal Proceeding : Focused on Lawsuit of the Rights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K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2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 차례에 걸쳐 장애학생으로부터 교육차별 소송을 받았던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과 장애학생의 대립된 입장에서 나타나는 쟁점을 고찰함으로써, 교육차별을 정당화하는...

      본 연구는 세 차례에 걸쳐 장애학생으로부터 교육차별 소송을 받았던 K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과 장애학생의 대립된 입장에서 나타나는 쟁점을 고찰함으로써, 교육차별을 정당화하는 논리에 대해 논의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2007년부터 2014년까지 K대학의 장애학생 학습권 침해에 관한 소송(진정)을 실제로 제기한 K대학 사회복지학과 소속 장애학생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쟁점분석을 위해 양측의 재판기록과 판결문, 인권위원회 결정문, 언론보도 자료, 그 외 장애학생의 동의를 얻어 확보한 관련 문서와 인터뷰자료 등을 심층 분석하였다.
      학교와 장애학생의 각 입장에 속한 사례들을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가치의 차이(효용성 VS 평등), 실익의 차이(다수의 손해 VS 전체의 실익), 책임의 차이(전가 VS 의무), 정의의 차이(좋음 VS 옳음), 소통의 차이(일방 VS 불통)라는 다섯 가지의 쟁점과 열 가지의 주제들이 생성되었다.
      교육차별의 정당화 논리는 주로 공리주의 관점에 입각한 것으로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미명 하에 장애학생의 희생을 정당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discrimination lawsuits between K university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over thre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ssues appearing in the opposition claims between university's justifyi...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discrimination lawsuits between K university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over thre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ssues appearing in the opposition claims between university's justifying logic and student discrimination claims.
      For research, we selected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they were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K university, and filed a lawsuit on educational rights violations against university. We analyzed data not only the court records and judgments from 2007 to 2014, decision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press releases, but also documents owned by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for students.
      As a result, through qualitative study using case study, there were identified for 5 domains and 10 concepts; (1) value: effectiveness vs equality, (2) practical benefit: majority's damage vs benefit of the entire, (3) responsibility: imputation vs duty, (4) justice: good vs rightness, (5) communication: one-way vs blocked.
      Due to on the basis of Utilitarianism perspective and 'The Greatest Happiness' princip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been suffered from discrimination and sacrifice by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한진,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학지사 2014

      2 "피고(K대학교) 준비서면. (2014. 8.). 2014가단3125"

      3 "피고(K대학교) 답변서. (2014. 4.). 2014가단3125"

      4 "피고(K대학교) 답변서. (2007. 6.). 2007가단27413"

      5 "판결문. (2014. 9. 26). 2014가단3125 손해배상(기)"

      6 "판결문. (2008. 4. 23). 2007가단27413 손해배상(기)"

      7 에이블뉴스, "장애학생들 편의시설 미흡… 소송"

      8 "장애학생B의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서. (2013. 11.). 13-진정-0876000"

      9 이익섭, "장애자 인식에 있어서의 재문제와 그 전환" 한국사회복지협의회 88 : 97-, 1988

      10 이선우, "장애인 차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차별행위자의 일반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 : 37-60, 2005

      1 조한진,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학지사 2014

      2 "피고(K대학교) 준비서면. (2014. 8.). 2014가단3125"

      3 "피고(K대학교) 답변서. (2014. 4.). 2014가단3125"

      4 "피고(K대학교) 답변서. (2007. 6.). 2007가단27413"

      5 "판결문. (2014. 9. 26). 2014가단3125 손해배상(기)"

      6 "판결문. (2008. 4. 23). 2007가단27413 손해배상(기)"

      7 에이블뉴스, "장애학생들 편의시설 미흡… 소송"

      8 "장애학생B의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서. (2013. 11.). 13-진정-0876000"

      9 이익섭, "장애자 인식에 있어서의 재문제와 그 전환" 한국사회복지협의회 88 : 97-, 1988

      10 이선우, "장애인 차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차별행위자의 일반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 : 37-60, 2005

      11 김명수, "장애인 기본권의 헌법적 보장에 관한 연구 : 법제의 분석과 개선방안을 포함하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12 오시진, "장애인 교육권의 재해석" 한국장애인재단 2 : 5-63, 2011

      13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 "장애대학생 교육복지 지원 우수사례집" 127-137, 2015

      14 "원고(장애학생C) 준비서면. (2007. 8.). 2007가단27413"

      15 원고(장애학생C)소장, "원고(장애학생C) 소장. (2007. 4.). 2007가단27413"

      16 "원고(장애학생A‧B) 소장. (2014. 3.). 2014가단3125"

      17 "원고(장애학생A) 준비서면. (2014. 5.). 2014가단3125"

      18 김혜숙,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91-104, 2007

      19 박동섭, "어느 장애인 청강생을 차별·배제하는 상식적 카테고리화 과정 해독"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137-163, 2011

      20 오마이뉴스, "상아탑, 부실공사로 무너지다"

      21 강석주, "사회지도층의 장애인 인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07

      22 Tony Fitzpatrick, "사회복지사를 위한 정치사회학" 나눔의집 2001

      23 "법제처 홈페이지"

      24 허병기, "롤스(J. Rawls)의 정의론에 기초한 교육정의 탐구" 한국도덕교육학회 26 (26): 191-213, 2014

      25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26 김창엽,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 삼인 167-, 2003

      27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문. (2015. 2. 17). 13-진정-0876000 결정"

      28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1995

      29 손준종, "교육기회의 평등에 대한 고찰 : J.Rawls와 R. Nozick을 중심으로" 7 : 161-178, 1995

      30 나달숙, "교육권을 둘러싼 법적 논의와 한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23-41, 2013

      31 김항규, "공리주의와 롤즈 정의론의 복지정책관 비교 연구" 6 : 181-198, 1995

      32 배용준, "공리주의에 관한 연구 ―복지사회 실천 윤리로서 가능성에 관하여" 인문과학연구소 38 (38): 273-308, 2011

      33 김석수, "공리주의, 합리성 그리고 한국 사회"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 : 117-144, 2002

      34 조태원, "‘자유롭게 교육을 받을 권리’로서의 학습권의 범위와 한계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6 (6): 109-131, 2013

      35 경남도민일보, "[사설]장애학생 배려없는 지성의 산실"

      36 Bok, Derek, "Universities and the Future of America" Duke University Press 1990

      37 Oliver, Michael, "The politics of disablement: A sociological approach" St. MaAlbrechtrtin's Press 1990

      38 "HRD 용어사전" (주)중앙경제 2010

      39 국가인권위원회, "2015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 7주년 기념 토론회 자료집" 국가인권위원회 89-, 2015

      40 통계청, "2014 한국의 사회지표"

      41 통계청, "2013 사회조사 결과"

      42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도 장애대학생 교육복지 지원실태 평가결과"

      43 김성희, "2011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44 통계청, "2009 사회조사보고서"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6 1.2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