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명시적?암시적 어휘 학습이 중학교 수준별 영어학습자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 Middle School Learners’ English Lexical Compet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3672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2016. 8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4.7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82p. : 삽화, 도표 ; 26cm.

      • 일반주기명

        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 Middle School Learners’ English Lexical Competence
        지도교수:임자연
        참고문헌 :59-65 p.

      • 소장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 the level differentiated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It also focuses on their attitude towards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e-hundre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A(explicit-high level group), Group B(implicit-high level group), Group C(explicit-low level group), and Group D(implicit -low level group). They learned target words after watching three animation movies in English. Explicit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choosing the target word represented by the picture’, ‘matching the meaning with the target word’, ‘writing the target word for Korean meaning’. Implicit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matching a movie character with his words’, ‘ordering what happened’, ‘filling in the blanks of summary of the movie’, ‘finding the statement according to the movie.’ Learners’ learning was measured through a post lexical knowledge test. Their attitude was examined through a survey after the experi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in both proficiency levels. Both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did not show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learner’s lexical competence.
      Secon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ype. Specifically, high level learners showed differences in productive knowledge but not in receptive knowledge. But vocabulary learning method had no effect on learner’s lexic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ype. Non-context evaluation yielded better results in measur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an context-offered evaluation type. Also, the context offered in Korean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than the context offered in English. Significantly, high level learners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context-offered in English evaluation type. It means that high level learners used English context to improve their lexical competence effectively.
      Third, pre-survey and post-survey measuring an effect on learner’s attitude in vocabulary learning found that most of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in terms of interest, motivation, confidence but high level learners’ confidence showed a minor decline. It seems that high level learners, already accustomed to the vocabulary learning method, failed to adjust to the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can be made.
      First,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erefore, appropriate use of both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needs to be incorporated in enhanc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Secon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re differently affected by evaluation types. Specifically, learners in the high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when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was measured and English-contexts were provided. Thus, we need to consider the types of evaluation in teaching vocabulary so as to appropriately measure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ird, it is desirable to use animation movies as an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to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corporate animation movies into vocabulary instruction which uses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 the level differentiated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It also focuses on their attitude towards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 the level differentiated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It also focuses on their attitude towards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e-hundre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A(explicit-high level group), Group B(implicit-high level group), Group C(explicit-low level group), and Group D(implicit -low level group). They learned target words after watching three animation movies in English. Explicit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choosing the target word represented by the picture’, ‘matching the meaning with the target word’, ‘writing the target word for Korean meaning’. Implicit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matching a movie character with his words’, ‘ordering what happened’, ‘filling in the blanks of summary of the movie’, ‘finding the statement according to the movie.’ Learners’ learning was measured through a post lexical knowledge test. Their attitude was examined through a survey after the experi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in both proficiency levels. Both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did not show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learner’s lexical competence.
      Secon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ype. Specifically, high level learners showed differences in productive knowledge but not in receptive knowledge. But vocabulary learning method had no effect on learner’s lexic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ype. Non-context evaluation yielded better results in measur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an context-offered evaluation type. Also, the context offered in Korean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than the context offered in English. Significantly, high level learners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context-offered in English evaluation type. It means that high level learners used English context to improve their lexical competence effectively.
      Third, pre-survey and post-survey measuring an effect on learner’s attitude in vocabulary learning found that most of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in terms of interest, motivation, confidence but high level learners’ confidence showed a minor decline. It seems that high level learners, already accustomed to the vocabulary learning method, failed to adjust to the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can be made.
      First,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erefore, appropriate use of both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needs to be incorporated in enhanc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Secon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re differently affected by evaluation types. Specifically, learners in the high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when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was measured and English-contexts were provided. Thus, we need to consider the types of evaluation in teaching vocabulary so as to appropriately measure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ird, it is desirable to use animation movies as an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to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corporate animation movies into vocabulary instruction which uses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이 수준별 학습자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동시에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어휘학습 방법과 수준별 학습이 학습자의 태도와 정의적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2학년 학습자 100명을 대상으로 45분씩 3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은 네 실험집단(명시적 상위집단, 암시적 상위집단, 명시적 하위집단, 암시적 하위집단)으로 구성되어 애니메이션 영화 3편을 시청한 후 목표어휘를 학습하였다. 명시적 집단은 ‘그림이 나타내는 목표어휘 찾기’, ‘우리말 뜻에 해당하는 목표어휘 쓰기’, ‘단어목록에서 품사와 뜻을 완성하기’의 활동으로 학습하였다. 암시적 집단은 ‘영화 속 등장인물과 그의 대사를 연결하기’, ‘영화 속 내용과 일치하는 진술 찾기’, ‘영화 속 일어난 일의 순서 정하기’, ‘영화를 요약한 글의 빈칸에 목표어휘 넣기’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실시 후 사후 어휘지식평가와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어휘능력과 어휘학습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수준에 따른 명시적 어휘학습 방법과 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은 학습자의 어휘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모두 어휘학습 방법이 학습자들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고 불 수 있다.
      둘째, 사후 어휘 지식 평가 유형별로 실험집단의 어휘능력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수용적 지식 평가 유형에서는 어휘학습 방법과 학습자의 수준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적 지식 평가 유형에서는 어휘학습 방법이 학습자의 어휘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학습자의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습자의 어휘학습 태도와 정의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사후 설문 결과, 학습자들의 대부분은 어휘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동기가 향상되었으나 상위집단의 자신감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영어 어휘수업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이 어휘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없었으므로 어느 특정한 어휘학습 방법을 고수하기 보다는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 둘 다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어휘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 보았듯이 상위집단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휘 평가 유형이 있으므로 어휘 평가의 유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어휘능력을 높일 수 있겠다.
      셋째, 어휘수업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영화처럼 효과적인 어휘학습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어휘학습 방법 즉, 교사가 명시적으로 제시해주는 어휘수업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학습도구를 가지고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이 수준별 학습자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동시에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어휘학습 방법과 수준...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이 수준별 학습자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동시에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어휘학습 방법과 수준별 학습이 학습자의 태도와 정의적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2학년 학습자 100명을 대상으로 45분씩 3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은 네 실험집단(명시적 상위집단, 암시적 상위집단, 명시적 하위집단, 암시적 하위집단)으로 구성되어 애니메이션 영화 3편을 시청한 후 목표어휘를 학습하였다. 명시적 집단은 ‘그림이 나타내는 목표어휘 찾기’, ‘우리말 뜻에 해당하는 목표어휘 쓰기’, ‘단어목록에서 품사와 뜻을 완성하기’의 활동으로 학습하였다. 암시적 집단은 ‘영화 속 등장인물과 그의 대사를 연결하기’, ‘영화 속 내용과 일치하는 진술 찾기’, ‘영화 속 일어난 일의 순서 정하기’, ‘영화를 요약한 글의 빈칸에 목표어휘 넣기’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실시 후 사후 어휘지식평가와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어휘능력과 어휘학습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수준에 따른 명시적 어휘학습 방법과 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은 학습자의 어휘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모두 어휘학습 방법이 학습자들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고 불 수 있다.
      둘째, 사후 어휘 지식 평가 유형별로 실험집단의 어휘능력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수용적 지식 평가 유형에서는 어휘학습 방법과 학습자의 수준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적 지식 평가 유형에서는 어휘학습 방법이 학습자의 어휘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학습자의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습자의 어휘학습 태도와 정의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사후 설문 결과, 학습자들의 대부분은 어휘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동기가 향상되었으나 상위집단의 자신감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영어 어휘수업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이 어휘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없었으므로 어느 특정한 어휘학습 방법을 고수하기 보다는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 둘 다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어휘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 보았듯이 상위집단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휘 평가 유형이 있으므로 어휘 평가의 유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어휘능력을 높일 수 있겠다.
      셋째, 어휘수업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영화처럼 효과적인 어휘학습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어휘학습 방법 즉, 교사가 명시적으로 제시해주는 어휘수업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학습도구를 가지고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어휘능력 5
      • 제2절 어휘학습 방법 7
      • 1. 명시적 어휘학습 방법 8
      • 제1장 서론 1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어휘능력 5
      • 제2절 어휘학습 방법 7
      • 1. 명시적 어휘학습 방법 8
      • 2. 암시적 어휘학습 방법 10
      • 제3절 영화를 활용한 영어 학습 12
      • 1. 영화를 활용한 어휘학습 13
      • 제4절 선행연구 15
      • 1. 명시적 어휘학습과 암시적 어휘학습 간의 비교 연구 15
      • 2. 영화를 활용한 어휘학습에 관한 연구 19
      • 3. 수준별 학습자에 따른 어휘학습 연구 21
      • 제3장 연구방법 및 절차 24
      • 제1절 연구 문제 24
      • 제2절 참여 대상 25
      • 제3절 연구 자료 26
      • 1. 애니메이션 영화 26
      • 2. 목표어휘 27
      • 3. 어휘학습 활동지 29
      • 4. 사후 어휘지식 평가지 31
      • 5. 사전․사후 설문지 33
      • 제4절 연구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35
      • 1. 실험 이전 절차 35
      • 1) 수준별 집단 선정 35
      • 2) 사전 설문 35
      • 2. 실험수업의 절차 및 활동 36
      • 3. 실험 이후 절차 40
      • 4. 자료 분석 방법 40
      • 제5절 연구의 제한점 41
      • 제4장 연구결과 및 논의 42
      • 제1절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어휘학습 방법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 42
      • 제2절 평가유형별 실험집단의 어휘능력 측정 결과 43
      • 1. 수용적 지식평가와 생산직 지식평가 결과 비교 43
      • 2. 문맥 비제공 평가와 문맥 제공 평가 결과 비교 46
      • 3. 우리말문맥 제공 평가와 영어문맥 제공 평가 결과 비교 48
      • 4. 영어문맥 제공 평가 유형에서의 의미적 오류와 형태적 오류 비교 50
      • 제3절 애니메이션 영화 활용 수업에 따른 학습자의 태도 및 정의적 반응 52
      • 1. 설문 영역별 사전․사후 반응 비교 52
      • 2. 어휘수업 만족도 54
      • 제5장 결론 및 제언 55
      • 참고문헌 59
      • 부록 66
      • ABSTRACT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