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살 위험 병사들의 심리특성 연구 =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ldiers at Suicide Ris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10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attempts taken in this study are as followed, subjected to high-risk suicidal soldiers (115 participants): (1) to assess the risk of suicide and seek its relationship with the suicidal variable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2) to verify t...

      The main attempts taken in this study are as followed, subjected to high-risk suicidal soldiers (115 participants): (1) to assess the risk of suicide and seek its relationship with the suicidal variable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2)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identifying the suicide risk of each group given that the participants are classified into groups of A, B, and C; (3)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variables highly related to suicide are able to discriminantly predict the high-risk groups. Accordingl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ldiers were analyzed employing the survey whose construct is based on stress in the army, depression, hopelessnes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problem-solving focused coping style. The three major findings are conveyed in the study. First, the risk-group who have considered or attempted suicide was higher on stress, depression and hopelessness levels and lower 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levels compared to the non-risk group. Second, within the three risk-groups, not only group A, but also B and C groups were found to have soldiers who have considered or attempted suicide, which implicates the gravity of the need to supplement the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 Third, in a discriminant analysis conducted to comprehend the discriminant factor of suicide risk through the division of soldiers into the suicide attempted group and non-attempted group, discriminant function consisting of stress, depression, hopelessness, self-esteem, and problem-solving focused coping style, was found to have 77.4% of discriminant probability in differentiating between risk and non-risk groups.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the future directions a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군대에서 고 위험 군에 속하는 병사들(115명)을 대상으로 (1)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병사들이 그렇지 않은 병사들에 비해 여러 자살 관련 변인들의 점수에서 유...

      본 연구의 목적은 군대에서 고 위험 군에 속하는 병사들(115명)을 대상으로 (1)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병사들이 그렇지 않은 병사들에 비해 여러 자살 관련 변인들의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2) 군의 관심병사 분류등급(A, B, C급)으로 분류했을 때 각 집단의 자살위험정도를 조사하여 현 분류 체계의 타당성을 확인하며, (3) 자살행동과 관련이 높은 변인들이 자살시도 집단을 판별․예측하는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군 스트레스, 우울, 절망, 자존감, 사회적 지지, 대처양식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병사들의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고 위험 병사 중, 실제로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 우울과 절망감이 높았으며, 자존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 수준이 낮았고, 부적응적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등급 집단간 자살위험성 평가에 있어 A급 집단 이외 B급과 C급 집단에서도 자살생각이나 시도 경험이 있는 병사들이 나타났는데, 이는 현 분류 체계의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자살시도병사(24명), 시도하지 않은 병사(91명)를 2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자살위험군의 판별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 스트레스, 우울, 절망, 자존감, 문제중심 대처양식 등으로 구성된 판별함수 값이 자살시도 집단과 미시도 집단을 구분해주는 전체 판별적중률이 77.4%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호, "현역 지원병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에 관한 연구-교류분석(TA)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8 (8): 181-197, 2007

      2 정혜경,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07-126, 2003

      3 이정숙,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 16 (16): 337-347, 2007

      4 김현순,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01-219, 2008

      5 육성필, "자살관련변인의 탐색과 치료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2002

      6 유성은,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16 : 67-84, 1997

      7 손희락, "신세대 장병의 스트레스가 부대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관리 과학대학원 2000

      8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육군 oo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4 (24): 64-93, 2006

      9 전지아, "산후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1990

      10 한국 생산성본부, "산업인력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의 측정변수에 대한 타당성 평가" 한국생산성본부 1993

      1 김종호, "현역 지원병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에 관한 연구-교류분석(TA)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8 (8): 181-197, 2007

      2 정혜경,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07-126, 2003

      3 이정숙,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 16 (16): 337-347, 2007

      4 김현순,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01-219, 2008

      5 육성필, "자살관련변인의 탐색과 치료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2002

      6 유성은,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16 : 67-84, 1997

      7 손희락, "신세대 장병의 스트레스가 부대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관리 과학대학원 2000

      8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육군 oo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4 (24): 64-93, 2006

      9 전지아, "산후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1990

      10 한국 생산성본부, "산업인력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의 측정변수에 대한 타당성 평가" 한국생산성본부 1993

      11 손정남,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에 대한 판별분석" 정신간호학회 16 (16): 267-275, 2007

      12 하정희, "대학생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스트레스, 대처방식, 완벽주의, 우울, 충동성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149-1171, 2008

      13 이동귀, "대처양식 집단에 따른 꾸물거림 및 정신건강의 차이"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43-57, 2009

      14 박해웅,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존감, EAPs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2 : 1-22, 2005

      15 이영호,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1993

      16 박현철,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17 진석범,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18 김성식, "군 병사들의 불안 및 그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3

      19 통계청, "국방부조사본부(헌병속보 및 통계보고)" 2010

      20 박광배,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10 (10): 298-314, 1990

      21 신민섭,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 9 (9): 1-19, 1990

      22 송경재, "개별성-관계성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8 (8): 1-12, 2007

      23 전지경, "軍 내 배척병사와 선호병사 및 일반병사의 성격특성 연구 - KMPI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8 (8): 47-62, 2007

      24 Heeringen, "Understanding suicidal behavior: The suicidal process approach to research, treatment and prevention" John Wiley & Sons 2001

      25 Beck, A. T.,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42 : 861-865, 1974

      26 McIntosh, J. L., "Survivors of suicide: A comprehensive bibliography update, 1986-1995" 33 (33): 147-175, 1996

      27 Metha, A., "Suicide ideation, depression, and stressful life events among gifted adolescents" 20 : 284-304, 1997

      28 Baumeister, R. F., "Suicide as escape from self" 97 (97): 90-113, 1990

      29 Harwood, D., "Suicidal behavior among the elderly, In The international handbook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John Wiely & Sons 2000

      30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1 Peck, M. L., "Social psychological correlates of adolescent and youthful suicide" 22 : 863-878, 1987

      32 전병재,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11 : 107-129, 1974

      33 Beck, A. T., "Risk factors for suicide in psychiatric outpatients: A 20-year prospective study" 68 : 371-377, 2000

      34 Beck, A. T., "Relationship between hopelessness and ultimate suicide: A replication with psychiatric outpatients" 147 : 190-195, 1990

      35 Heppner, P. P., "Progress in resolving problems: A problem-focused style of coping" 42 : 279-293, 1995

      36 Dixon, W. A., "Problem-solving appraisal, stress,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38 : 51-56, 1991

      37 Wilson, K. G., "Problem solving, stress, and coping in adolescent suicide attempts" 25 : 241-252, 1995

      38 Shaver, P. R., "Measures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In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Academic Press 195-289, 1990

      39 Blascovich, J., "Measure of Self-esteem, In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Academic Press 115-160, 1991

      40 Felner, R. D., "Issues of design, implement, feasibility,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 In Suicide prevention toward the year 2000" Guilford press 1995

      41 Beck, A. T., "Hopelessn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23 : 139-145, 1993

      42 Beck, A. T., "Hopelessness and eventual suicide: A 10-year prospective study of patients hospitalized with suicidal ideation" 142 : 559-563, 1985

      43 Abbey, A., "Effects of different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on emotional well-being" 6 : 111-129, 1985

      44 Asarnow, J. R., "Coping strategies, self-perception, hopelesness, and perceived family funtioning in depressed and suicidal children" 55 : 361-366, 1987

      45 Bonner, R. L., "Concurrent validity of a stress-vulnerability model of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17 (17): 265-270, 1987

      46 Beck, A. T.,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Guilford 1979

      47 Rotheram-Borus, M. J., "Cognitive style and pleasant activities among female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58 : 554-561, 1990

      48 Goldston, D., "Cognitive risk factors and suicide attempts among formerly hospitalized adolescent" 40 : 91-99, 2001

      49 Ellis, T. 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uicidal and non-suicidal psychiatric inpatients" 10 (10): 625-634, 1986

      50 Kienhorst, W.,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Dutch adolescent" 156 : 243-248, 1990

      51 Rudd, M. D., "An integrative model suicide ideation" 20 : 16-30, 1990

      52 Lester, D., "A subculture theory of teenage suicide" 22 : 317-320, 1987

      53 Lynch, T. R., "A model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and hopelessness in depressed older adults: the impact of emotion inhibition and affect intensity" 8 (8): 486-497,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