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청년실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학에서는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청년실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학에서는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이 4년제 대학교 재학생에게 미치는 구체적인 효과에 대한 보고나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에 따른 구직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등을 연구문제로 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ㆍ경북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ㆍ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5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김병숙 등(2009)이 개발하여 사용한 구직효능감 측정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년, 전공계열, 전공만족도는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자가 취업지원프로그램 비참여자에 비해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캠프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하위요인 중 구직목표와 정(+)의 관계가 있으며, 취업박람회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하위요인 중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내 취업특강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학기별 취업강좌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동아리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 참여 횟수, 만족도가 구직효능감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권장과 홍보가 필요하며, 대학생이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통합된 형태로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