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의 관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89309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대구대학교 대학원 , 산업복지학과 , 201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7.268 판사항(5)

      • DDC

        378.19425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i, 72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57-6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dministered by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job seeking efficacy. universities in Korea conducts variety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ut it in the students on a specific analysis of the effects is lacking.
      In order to evaluate these effects, the following statistical question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First, Does personal characteristics affect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Second, Doe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ffect job seeking efficacy?
      Third, Doe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Fourth, Does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Fifth, Does satisfac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By questioning through 853 students of 3 grade and 4 grade of four years course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applying statistical methods, five results are found:
      First, no differences are found on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y gender of students. however, student’s grade level, major series, major satisfaction affect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Second,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s higher the students who non-participated in it.
      Third,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Fourth,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Fifth, the job searching camp'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arch target. the job searching exhibition’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arch skill. the job searching lecture'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the job searching course’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skill. finally, the job searching club’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skill.
      In order to increase job seeking efficacy of students, universities need to publiciz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n addition, universities ne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finally, universities need to invent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hich supplement the insufficient par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dministered by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job seeking efficacy. universities in Korea conducts variety of job search support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dministered by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job seeking efficacy. universities in Korea conducts variety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ut it in the students on a specific analysis of the effects is lacking.
      In order to evaluate these effects, the following statistical question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First, Does personal characteristics affect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Second, Doe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affect job seeking efficacy?
      Third, Doe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Fourth, Does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Fifth, Does satisfac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ith job seeking efficacy have a relationship?

      By questioning through 853 students of 3 grade and 4 grade of four years course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nd applying statistical methods, five results are found:
      First, no differences are found on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by gender of students. however, student’s grade level, major series, major satisfaction affects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Second,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s higher the students who non-participated in it.
      Third, participation of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Fourth, fiv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Fifth, the job searching camp'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arch target. the job searching exhibition’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arch skill. the job searching lecture'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intensity, job search skill. the job searching course’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target,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skill. finally, the job searching club’s satisfaction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arch motive, job search skill.
      In order to increase job seeking efficacy of students, universities need to publicize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in addition, universities ne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finally, universities need to invent job search supporting programs which supplement the insufficient p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청년실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학에서는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이 4년제 대학교 재학생에게 미치는 구체적인 효과에 대한 보고나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에 따른 구직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등을 연구문제로 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ㆍ경북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ㆍ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5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김병숙 등(2009)이 개발하여 사용한 구직효능감 측정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년, 전공계열, 전공만족도는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자가 취업지원프로그램 비참여자에 비해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캠프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하위요인 중 구직목표와 정(+)의 관계가 있으며, 취업박람회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하위요인 중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내 취업특강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학기별 취업강좌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동아리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 참여 횟수, 만족도가 구직효능감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권장과 홍보가 필요하며, 대학생이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통합된 형태로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청년실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학에서는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구직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청년실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대학에서는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대학에서 실시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이 4년제 대학교 재학생에게 미치는 구체적인 효과에 대한 보고나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에 따른 구직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취업지원프로그램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등을 연구문제로 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ㆍ경북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ㆍ4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53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김병숙 등(2009)이 개발하여 사용한 구직효능감 측정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년, 전공계열, 전공만족도는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자가 취업지원프로그램 비참여자에 비해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캠프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하위요인 중 구직목표와 정(+)의 관계가 있으며, 취업박람회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하위요인 중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내 취업특강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강도,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으며, 학기별 취업강좌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목표, 구직동기,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동아리의 만족도는 구직효능감 총점 및 구직효능감 하위요인인 구직동기, 구직기술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의 참여, 참여 횟수, 만족도가 구직효능감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권장과 홍보가 필요하며, 대학생이 다양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취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통합된 형태로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취업지원프로그램 5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취업지원프로그램 5
      • 2. 구직효능감 12
      • 3. 선행연구 분석 17
      • Ⅲ. 연구방법 21
      • 1. 연구모형 21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22
      • 3. 변수의 정의 및 측정 23
      • 4. 자료처리 25
      • Ⅳ. 연구결과 26
      • 1. 연구대상자의 특성 26
      • 2. 연구문제 검증 33
      • Ⅴ. 결론 51
      • 1. 연구결과 및 논의 51
      •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56
      • 참고문헌 57
      • 영문초록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