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무용에서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가능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72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무용의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소극적 적용을 반성하며, 적극적 의미의 다문화교육으로서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국가수...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무용의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소극적 적용을 반성하며, 적극적 의미의 다문화교육으로서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무용을 통한 문화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목표는 움직임 표현과정에서 인지, 정서, 감각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문화적 감수성을 기르고 문화적 공존을 실천하는 것이며 그에 따른 구체적 목표가 제시되었다. 교육내용의 선정은 2009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초등학교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이 적용되었다. 그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 표현을 통해 타인과 의사소통하고, 개성을 존중하고, 소통하는 무용의 기본 원리를 사용하여 다양성, 문화이해, 평등성, 반편견, 협력, 정체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제시되었다. 교수방법으로는 즉흥창작, 시각 자료의 활용, 토의 및 토론 학습 등이 사용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as a positively multicul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this, The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was suggested in base of Nation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as a positively multicul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this, The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was suggested in base of National Curriculum for fifth and sixth grades. Therefore the purpose and validity of the program were suggested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based on 2009 reform curriculum and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concepts. Improvisation, visual materials and discussion were suggested as a teaching methods. The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means the practice of positively multiculural education for both the minority and the majority. So far, the existing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were composed of the understanding about Korean culture or the experience of foreign dances. From now on, the Dance Program of culuraldiversity education will investigate the harmony with life as a common community through communication, concord, comprehension, reception and mutual reliance between diverse groups and cul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과 내용
      • Ⅲ. 무용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의미
      • Ⅳ. 무용을 통한 문화다양성 교육 설계
      • 국문초록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과 내용
      • Ⅲ. 무용교육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의미
      • Ⅳ. 무용을 통한 문화다양성 교육 설계
      • 1. 무용을 통한 문화다양성 교육의 목표
      • 2. 무용을 통한 문화다양성 교육의 내용 영역
      • Ⅴ.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민정, "한국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119-139, 2012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3 박윤경, "초등 사회과 다문화 교육과정 및 수업안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7-90, 2011

      4 양주연, "창작무용학습을 통한 다문화가정 어린이의 사회성 변화"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25-46, 2010

      5 김선아, "예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개발을 위한 미술교사교육의 실천적 방안 탐색" 55-, 2013

      6 Theresa M. Purcell, "어린이들을 위한 무용교육" 금광 14-, 2001

      7 백정진,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초등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165-, 2014

      8 서예원, "문화예술교육 교육 표준 개발 연구-무용"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9 강인애, "문화다양성을 고려한 수업 설계와 실행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41-43, 2014

      10 설규주,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및 매뉴얼 개발 연구" 24-, 2013

      1 박민정, "한국 다문화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119-139, 2012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3 박윤경, "초등 사회과 다문화 교육과정 및 수업안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7-90, 2011

      4 양주연, "창작무용학습을 통한 다문화가정 어린이의 사회성 변화"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25-46, 2010

      5 김선아, "예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개발을 위한 미술교사교육의 실천적 방안 탐색" 55-, 2013

      6 Theresa M. Purcell, "어린이들을 위한 무용교육" 금광 14-, 2001

      7 백정진,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초등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165-, 2014

      8 서예원, "문화예술교육 교육 표준 개발 연구-무용"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9 강인애, "문화다양성을 고려한 수업 설계와 실행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41-43, 2014

      10 설규주,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및 매뉴얼 개발 연구" 24-, 2013

      11 이동연,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 문화다양성 정책의 역할과 과제" 45-50, 2013

      12 부향숙, "다문화시민성 교육으로써의 문화다양성 정책" 32-, 2013

      13 안병주, "다문화시대에 따른 무용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37) : 69-80, 2009

      14 정의철,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참여적 다문화 미디어교육 사례" 국제비교한국학회 19 (19): 73-113, 2011

      15 박윤경,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16-, 2010

      16 Bennett,C,I,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17 정은영,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전통춤 교육방안" 한국체육철학회 18 (18): 199-217, 2010

      18 장현주,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지역문화시설의 무용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0

      19 정희자, "다문화 체험을 위한 무용 교수·학습프로그램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26 (26): 197-219, 2009

      20 유미희, "다문화 수업과 무용수업에 따른 미국대학 학생의 다문화 인식의 차이" 한국여성체육학회 26 (26): 67-79, 2012

      21 이정연, "다문화 사회 속의 초등무용교육: 변화를 위한 모색:포크댄스(Folk Dance)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81-192, 2008

      22 최윤영, "다문화 교육에 있어서 무용교육의 적용 방안 고찰" 대한무용학회 63 (63): 261-282, 2010

      23 나경아,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문화정체성 형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무용역사기록학회 24 : 19-38, 2012

      24 Hanna, L. Judith, "The Language of Dance" 72 (72): 10-22, 2001

      25 김영천, "2012 문화다양성 교육추진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58-89,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4-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al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1-03-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7 1.67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 1.37 1.644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