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 = Perception on ethical issues of occupational physician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60384

      • 저자
      • 발행사항

        김해시: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인제대학교대학원 , 의학과 인문의학전공 , 2010.0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0.6952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ⅴ, 44 p.: 도표;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이종태
        부록:산업의학과 의사의 윤리인식 설문지 수록
        참고문헌:p.37-38

      • 소장기관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Perception on ethical issues of occupational physicians in Korea

      Min Kim
      (Director: Prof. Jong Tae Lee)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In medical fields, ethical conflicts are very important part. Many doctors encounter these problems every day. So many countries make an effort to resolve it. As a part of these effort,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ethical codes for medical physician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have a distinct character in comparison with other medicine. So its ethical conflicts have different characters. This study investigate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ethical perception in Korea.

      Methods: To understan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ethical perception in Korea, I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s consist of three parts. In first part, I questioned about general ethical perception. In second part, I questioned about favorable ethical codes between 10 ethical codes. In final part, I questioned about four cases relation with practical ethical conflicts. To analysis this survey, I distinguished residents and specialists. Also to compare specialists, I distinguished work period, work place, their assignments. To statistical analysis, I used χ²-test and Fisher exact test by using SPSS 17K version.

      Results: In this study, I found that many Korea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have ethical conflicts. The questions about ethical conflicts in works and necessity of ethical education distinguish between residents and specialists. In these two questions, specialists prefered to negative trend. The opinions of specialists are distinguished from work period.

      Conclusions: In Korea, many doctors have ethical conflict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y want to train in education of ethics. And they want to have ethical codes. The most important ethical codes are neutrality, consideration of worker's safety and health, expertise, independence as doctor.

      Key word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ethical perception, ethical code, ethics
      번역하기

      Abstract Perception on ethical issues of occupational physicians in Korea Min Kim (Director: Prof. Jong Tae Lee)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In medical fields, ethical conflicts are very important ...

      Abstract

      Perception on ethical issues of occupational physicians in Korea

      Min Kim
      (Director: Prof. Jong Tae Lee)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In medical fields, ethical conflicts are very important part. Many doctors encounter these problems every day. So many countries make an effort to resolve it. As a part of these effort,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ethical codes for medical physician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have a distinct character in comparison with other medicine. So its ethical conflicts have different characters. This study investigate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ethical perception in Korea.

      Methods: To understan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ethical perception in Korea, I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s consist of three parts. In first part, I questioned about general ethical perception. In second part, I questioned about favorable ethical codes between 10 ethical codes. In final part, I questioned about four cases relation with practical ethical conflicts. To analysis this survey, I distinguished residents and specialists. Also to compare specialists, I distinguished work period, work place, their assignments. To statistical analysis, I used χ²-test and Fisher exact test by using SPSS 17K version.

      Results: In this study, I found that many Korea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al doctors have ethical conflicts. The questions about ethical conflicts in works and necessity of ethical education distinguish between residents and specialists. In these two questions, specialists prefered to negative trend. The opinions of specialists are distinguished from work period.

      Conclusions: In Korea, many doctors have ethical conflict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y want to train in education of ethics. And they want to have ethical codes. The most important ethical codes are neutrality, consideration of worker's safety and health, expertise, independence as doctor.

      Key word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ethical perception, ethical code, eth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김 민
      (지도교수 :이 종 태)


      연구목적: 의학의 전문분과로서의 산업의학은 다른 의료분야와는 또 다른 차원의 윤리적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산업의학이 의사와 환자라는 전통적인 의료 환경 아래에서의 관계뿐 만 아니라 의사, 근로자, 사업주, 정부 등의 다양한 사회집단들과의 관계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집단이 맞물려있는 산업의학에서 발생하는 윤리문제 또한 의학의 다른 분야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서구 사회에서는 일찍이 이러한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해서 연구하고 산업의학 전문가를 위한 다양한 윤리헌장의 제정을 통하여 이러한 갈등상황을 해결하기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세기동안 한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산업의학도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발전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의학의 윤리문제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또한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를 위한 의사윤리헌장의 제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의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이를 통해 산업의학과 의사윤리강령 제정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기준 대한산업의학회 주소록에 등록된 회원 414명(전문의 341명, 전공의 73명)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2009년 12월 1일부터 설문지를 발송하여 2009년 12월 31일까지 회신된 설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산업의학과 직무수행 중의 직업윤리 문제에 대해 4가지 질문을 하였고, 세계 각국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산업의학 관련 윤리헌장과 선언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을 하였다. 산업의학과 직무 수행 중에 윤리문제가 빈발하는 분야와 윤리적 갈등 대상에 대해서도 질문하였다. 다음으로 산업보건국제위원회, 미국산업환경의학회, 영국산업의학회, 미국산업위생사협회의 윤리헌장을 비교하여 이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윤리항목 10가지를 선정하여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윤리항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업의학 업무수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가상적인 상황을 만들어서 실제 직무 수행 중에 윤리문제에 부딪혔을 때 산업의학과 의사들의 대응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은 전공의군과 전문의군을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문의들 사이에 비교를 위하여 대학과 산업의학 관련 연구기관 의사군과 종합병원과 개인의원 의사군을 비교하였으며, 건강검진, 보건대행, 기업체 보건의 의사 군과 예방의학, 개업의, 연구기관 의사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근무연한에 따른 차이를 보기위해 10년 이하 근무군과 10년 초과 근무군을 비교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각각의 응답에 대한 비율을 구하였고, 평균비교 및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각각의 그룹간의 응답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의학분야 전문의와 전공의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전문의는 66명, 전공의는 44명으로 응답률은 전문의가 19.1%, 전공의가 60.3%로 전체 26.3%였다. 이중에 설문응답이 부적절한 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서 제외하여 최종 107부의 설문지로 분석을 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42.03세였으며, 남자가 89명(83.2%), 여자가 18명(16.8%)를 차지하였다. 이들 중 전문의는 63명, 전공의는 44명이었다. 일반적인 윤리인식에 대한 질문에서 전공의와 전문의 간에 업무 중 윤리적 문제로 고민여부(p=0.044)와 윤리교육의 필요성(p=0.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의들은 근무연한에 따라 윤리교육의 필요성(p=0.047)과 다른 임상과 보다 높은 윤리의식이 필요하다(p=0.018)는 질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윤리헌장의 인지여부에 대해서는 전공의와 전문의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2), 전문의들 간에는 근무 장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4)를 보였다. 윤리문제로 가장 고민하는 분야는 근로자 특수건강 진단이었으며(47.7%), 윤리적 갈등의 대상은 근로자가 가장 많았다(54.2%). 복막투석환자의 오지출장근무 요청사례에서는 부서전환을 통해 업무를 수행토록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흡연자의 석면노출 작업장 근무 사례에서는 응답자의 64.5%가 금연 후 취업허용이 가장 많았다.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의 노출사례에서는 당국에 즉시 고발을 한다가 가장 많은 의견을 보였다. 업무적합성평가의 윤리적 정당성사례에서는 응답자의 43%가 의학 고유의 활동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결 론: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들은 업무수행 중에 높은 직업윤리적 갈등상황을 경험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의사들이 업무수행중의 직업윤리적 갈등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업의학과 전문가 윤리헌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의사들은 업무수행중의 중립성, 산업의학과 전문의로서의 전문성 확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고려, 전문가적 독립성의 유지 등의 덕목을 중요한 직업윤리덕목으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향후 윤리문제 연구 시 이러한 덕목에 대한 연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산업의학, 직업윤리인식, 윤리헌장
      번역하기

      국문초록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김 민 (지도교수 :이 종 태) 연구목적: 의학의 전문분과로서의 산업의학은 다른 의료분야와는 또 ...

      국문초록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김 민
      (지도교수 :이 종 태)


      연구목적: 의학의 전문분과로서의 산업의학은 다른 의료분야와는 또 다른 차원의 윤리적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산업의학이 의사와 환자라는 전통적인 의료 환경 아래에서의 관계뿐 만 아니라 의사, 근로자, 사업주, 정부 등의 다양한 사회집단들과의 관계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집단이 맞물려있는 산업의학에서 발생하는 윤리문제 또한 의학의 다른 분야와는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서구 사회에서는 일찍이 이러한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해서 연구하고 산업의학 전문가를 위한 다양한 윤리헌장의 제정을 통하여 이러한 갈등상황을 해결하기위해 노력해왔다. 지난 세기동안 한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산업의학도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발전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의학의 윤리문제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또한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를 위한 의사윤리헌장의 제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의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이를 통해 산업의학과 의사윤리강령 제정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기준 대한산업의학회 주소록에 등록된 회원 414명(전문의 341명, 전공의 73명)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2009년 12월 1일부터 설문지를 발송하여 2009년 12월 31일까지 회신된 설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산업의학과 의사의 직업윤리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산업의학과 직무수행 중의 직업윤리 문제에 대해 4가지 질문을 하였고, 세계 각국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산업의학 관련 윤리헌장과 선언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을 하였다. 산업의학과 직무 수행 중에 윤리문제가 빈발하는 분야와 윤리적 갈등 대상에 대해서도 질문하였다. 다음으로 산업보건국제위원회, 미국산업환경의학회, 영국산업의학회, 미국산업위생사협회의 윤리헌장을 비교하여 이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윤리항목 10가지를 선정하여 한국 산업의학과 의사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윤리항목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업의학 업무수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가상적인 상황을 만들어서 실제 직무 수행 중에 윤리문제에 부딪혔을 때 산업의학과 의사들의 대응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은 전공의군과 전문의군을 나누어 분석하였고, 전문의들 사이에 비교를 위하여 대학과 산업의학 관련 연구기관 의사군과 종합병원과 개인의원 의사군을 비교하였으며, 건강검진, 보건대행, 기업체 보건의 의사 군과 예방의학, 개업의, 연구기관 의사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근무연한에 따른 차이를 보기위해 10년 이하 근무군과 10년 초과 근무군을 비교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각각의 응답에 대한 비율을 구하였고, 평균비교 및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각각의 그룹간의 응답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의학분야 전문의와 전공의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에 응답한 전문의는 66명, 전공의는 44명으로 응답률은 전문의가 19.1%, 전공의가 60.3%로 전체 26.3%였다. 이중에 설문응답이 부적절한 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서 제외하여 최종 107부의 설문지로 분석을 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평균연령은 42.03세였으며, 남자가 89명(83.2%), 여자가 18명(16.8%)를 차지하였다. 이들 중 전문의는 63명, 전공의는 44명이었다. 일반적인 윤리인식에 대한 질문에서 전공의와 전문의 간에 업무 중 윤리적 문제로 고민여부(p=0.044)와 윤리교육의 필요성(p=0.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의들은 근무연한에 따라 윤리교육의 필요성(p=0.047)과 다른 임상과 보다 높은 윤리의식이 필요하다(p=0.018)는 질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윤리헌장의 인지여부에 대해서는 전공의와 전문의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2), 전문의들 간에는 근무 장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4)를 보였다. 윤리문제로 가장 고민하는 분야는 근로자 특수건강 진단이었으며(47.7%), 윤리적 갈등의 대상은 근로자가 가장 많았다(54.2%). 복막투석환자의 오지출장근무 요청사례에서는 부서전환을 통해 업무를 수행토록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흡연자의 석면노출 작업장 근무 사례에서는 응답자의 64.5%가 금연 후 취업허용이 가장 많았다. 업무상 알게 된 비밀의 노출사례에서는 당국에 즉시 고발을 한다가 가장 많은 의견을 보였다. 업무적합성평가의 윤리적 정당성사례에서는 응답자의 43%가 의학 고유의 활동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결 론:
      우리나라 산업의학과 의사들은 업무수행 중에 높은 직업윤리적 갈등상황을 경험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의사들이 업무수행중의 직업윤리적 갈등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업의학과 전문가 윤리헌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의사들은 업무수행중의 중립성, 산업의학과 전문의로서의 전문성 확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고려, 전문가적 독립성의 유지 등의 덕목을 중요한 직업윤리덕목으로 생각하고 있으므로 향후 윤리문제 연구 시 이러한 덕목에 대한 연구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산업의학, 직업윤리인식, 윤리헌장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List of tables
      • 국문초록 ⅰ
      • 목 차
      • List of tables
      • 국문초록 ⅰ
      • 영문초록 ⅳ
      • 본 문
      • I. 서 론 1
      • II. 연구목적 4
      • III. 연구대상 및 방법 5
      • 가. 연구대상 및 기간 5
      • 나. 연구방법 5
      • IV. 연구결과 7
      • 가. 설문응답자의 일반적인 분포 7
      • 나. 산업의학과 업무와 관련된 일반적인 윤리문제에 대한 인식정도 9
      • 다. 산업의학과의 10가지 주요 윤리항목의 중요도 19
      • 라. 가상적인 윤리 갈등사례에 대한 직업윤리적
      • 태도 21
      • V. 고찰 29
      • VI. 결론 36
      • 참고문헌 37
      • 부 록 3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