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2 김광수, "해방전 중국에서 조선어의 변화 발전 연구" 역락 2009
3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박이정 2017
4 이향원, "한국어 후설 고·중모음에 대한 사회음성학적 연구" 한국음성학회 9 (9): 39-51, 2017
5 권성미,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일본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조아라, "중국인학습자의 한국어 발음교육방안 모색" 길림성 민족사무위원회 2 : 50-63, 2019
7 김지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발달 단계 연구 -단모음의 발음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5, 2012
8 김은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의 정확성 분석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16) : 315-337, 2018
9 웬신,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 연구 - L1 영향으로 인한 단모음 조음 위치 변화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4) : 211-240, 2019
10 이 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ㅓ/와 /ㅗ/ 발음 양상과 교육 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2 김광수, "해방전 중국에서 조선어의 변화 발전 연구" 역락 2009
3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박이정 2017
4 이향원, "한국어 후설 고·중모음에 대한 사회음성학적 연구" 한국음성학회 9 (9): 39-51, 2017
5 권성미,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일본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조아라, "중국인학습자의 한국어 발음교육방안 모색" 길림성 민족사무위원회 2 : 50-63, 2019
7 김지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발달 단계 연구 -단모음의 발음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5, 2012
8 김은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의 정확성 분석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16) : 315-337, 2018
9 웬신,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 연구 - L1 영향으로 인한 단모음 조음 위치 변화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4) : 211-240, 2019
10 이 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ㅓ/와 /ㅗ/ 발음 양상과 교육 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1 유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ㅓ/, /ㅗ/와 /ㅡ/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중국어 /e/[ɤ]발음의 영향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6 : 235-264, 2020
12 김은경, "중국인 남성 화자의 한국어 단모음 [어]와 [오]의 발음 오류 분석" 한글학회 (289) : 179-200, 2010
13 노채환,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55) : 229-250, 2017
14 허진, "중국 연변조선어 단모음 /ㅐ/와 /ㅔ/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방언학회 (30) : 119-143, 2019
15 전학석, "조선어방언학" 연변대학출판사 1996
16 김철준, "조선어문법" 연변대학출판사 2008
17 김철준, "조선어 운률적 특징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민족출판사 2006
18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조선말규범집" 연변교육출판사 2016
19 김현기, "연변 조선족 방언 음성의 실험적 연구" 한국음성학회 1 (1): 47-52, 2009
20 하영우, "아나운서의 단모음 실현 양상과 특징" 한국음운론학회 23 (23): 55-94, 2017
21 장혜진, "서울 방언 단모음의 연령별 실현 양상" 한국음운론학회 21 (21): 341-358, 2015
22 장혜진,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어학회 80 : 211-234, 2018
23 류창, "문장 유형별 연변 지역어와 표준 한국어의 낭독체 억양구 비교 연구" 국어학회 (97) : 525-558, 2021
24 정성훈, "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어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55-180, 2018
25 장혜진, "대구 방언 20대 화자의 단모음 실현 양상에 나타난 표준어 지향성의 성별적 차이" 한국어학회 36 : 289-314, 2007
26 黄伯荣, "現代漢語" 高等敎育出版社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