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변 조선족 청소년들의 단모음 발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An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n the Pronunciation of Monophthongs by Yanbian Korean Chinese Teenag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4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scribes patterns of the monophthong pronunciations of the teenagers in Yanbian, China. Until now,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Korean pronunciation in Yanbian area.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experiment can be part of the supplimental study on pronunciation in Yanbian.
      We conducted a monophthong pronunciation experiment to the teenagers according to their actual pronunciation data based on the 8-vowel syst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0 middle school students and 30 high school students. The average monophthong Formant value was revealed based on the real-world pronunciation status of each grade.
      One notable result on the pronouncing patterns of the teenagers in the Yanbian region is that the monophthong “-eu(ㅡ)” is located in the position of middle vowels. Although they pronounce “-e(ㅔ)” and “-ae(ㅐ)” discriminately, the positional distribution of the two monophthongs is close. In addition, the tongue positions of “-u(ㅜ)”, “-o(ㅗ)” are located similarly. This pattern seems to have occurred due to a certain degree of influence and interference from the Chinese Putonghua
      번역하기

      This study describes patterns of the monophthong pronunciations of the teenagers in Yanbian, China. Until now,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Korean pronunciation in Yanbian area.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experiment can be part of the supplimental...

      This study describes patterns of the monophthong pronunciations of the teenagers in Yanbian, China. Until now,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Korean pronunciation in Yanbian area.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experiment can be part of the supplimental study on pronunciation in Yanbian.
      We conducted a monophthong pronunciation experiment to the teenagers according to their actual pronunciation data based on the 8-vowel syst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60 middle school students and 30 high school students. The average monophthong Formant value was revealed based on the real-world pronunciation status of each grade.
      One notable result on the pronouncing patterns of the teenagers in the Yanbian region is that the monophthong “-eu(ㅡ)” is located in the position of middle vowels. Although they pronounce “-e(ㅔ)” and “-ae(ㅐ)” discriminately, the positional distribution of the two monophthongs is close. In addition, the tongue positions of “-u(ㅜ)”, “-o(ㅗ)” are located similarly. This pattern seems to have occurred due to a certain degree of influence and interference from the Chinese Putonghu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2 김광수, "해방전 중국에서 조선어의 변화 발전 연구" 역락 2009

      3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박이정 2017

      4 이향원, "한국어 후설 고·중모음에 대한 사회음성학적 연구" 한국음성학회 9 (9): 39-51, 2017

      5 권성미,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일본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조아라, "중국인학습자의 한국어 발음교육방안 모색" 길림성 민족사무위원회 2 : 50-63, 2019

      7 김지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발달 단계 연구 -단모음의 발음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5, 2012

      8 김은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의 정확성 분석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16) : 315-337, 2018

      9 웬신,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 연구 - L1 영향으로 인한 단모음 조음 위치 변화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4) : 211-240, 2019

      10 이 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ㅓ/와 /ㅗ/ 발음 양상과 교육 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2 김광수, "해방전 중국에서 조선어의 변화 발전 연구" 역락 2009

      3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박이정 2017

      4 이향원, "한국어 후설 고·중모음에 대한 사회음성학적 연구" 한국음성학회 9 (9): 39-51, 2017

      5 권성미,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일본어권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조아라, "중국인학습자의 한국어 발음교육방안 모색" 길림성 민족사무위원회 2 : 50-63, 2019

      7 김지형,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의 발달 단계 연구 -단모음의 발음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5, 2012

      8 김은경,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의 정확성 분석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16) : 315-337, 2018

      9 웬신,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 연구 - L1 영향으로 인한 단모음 조음 위치 변화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4) : 211-240, 2019

      10 이 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ㅓ/와 /ㅗ/ 발음 양상과 교육 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1 유창,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ㅓ/, /ㅗ/와 /ㅡ/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중국어 /e/[ɤ]발음의 영향을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6 : 235-264, 2020

      12 김은경, "중국인 남성 화자의 한국어 단모음 [어]와 [오]의 발음 오류 분석" 한글학회 (289) : 179-200, 2010

      13 노채환,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관한 연구" 한중인문학회 (55) : 229-250, 2017

      14 허진, "중국 연변조선어 단모음 /ㅐ/와 /ㅔ/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방언학회 (30) : 119-143, 2019

      15 전학석, "조선어방언학" 연변대학출판사 1996

      16 김철준, "조선어문법" 연변대학출판사 2008

      17 김철준, "조선어 운률적 특징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민족출판사 2006

      18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조선말규범집" 연변교육출판사 2016

      19 김현기, "연변 조선족 방언 음성의 실험적 연구" 한국음성학회 1 (1): 47-52, 2009

      20 하영우, "아나운서의 단모음 실현 양상과 특징" 한국음운론학회 23 (23): 55-94, 2017

      21 장혜진, "서울 방언 단모음의 연령별 실현 양상" 한국음운론학회 21 (21): 341-358, 2015

      22 장혜진, "베트남인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어학회 80 : 211-234, 2018

      23 류창, "문장 유형별 연변 지역어와 표준 한국어의 낭독체 억양구 비교 연구" 국어학회 (97) : 525-558, 2021

      24 정성훈, "대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국어를 전공하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55-180, 2018

      25 장혜진, "대구 방언 20대 화자의 단모음 실현 양상에 나타난 표준어 지향성의 성별적 차이" 한국어학회 36 : 289-314, 2007

      26 黄伯荣, "現代漢語" 高等敎育出版社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언어정보개발연구원 -> 언어정보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Development -> 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8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