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1공화국 시기 민주당의 내각책임제 개헌 정책과 ‘민주주의 정당’ 위상의 획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8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55년 창당한 민주당은 창당 과정부터 내각책임제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정했고, 이를 이승만 정권과의 가장 큰 차별 요소로 내세웠다. 민주당의 내각책임제 개헌주장은 민주당을 대표하는 정책이었다.
      민주당은 내각책임제 개헌을 정책으로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개헌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고 실행 의지도 뚜렷하지 않았다. 당의 간판으로 내각책임제를 내걸 때도 있었지만, 철저히 숨기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민주당 내의 분파인 신파와 구파는 내각책임제를 대하는 태도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민주당은 독재의 근원을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 대통령중심제’에서 찾았고, 독재를 막기 위해서는 내각책임제 개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즉 사람이 아닌 제도에서 문제를 찾고 있었다. 민주당에서는 내각책임제는 민주적 제도이며, 그 대척점에 있는 이승만 정권의 대통령중심제는 반민주적인 제도라고 선전했다. 내각책임제 개헌을 통해 민주주의를 회복할 것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내각책임제는 그들의 구호처럼 민주주의 달성을 위한 유일한 정치적 제도가 아니었다. 또한 민주당에게 있어 내각책임제로의 개헌 정책은 집권을 위해서는 버릴수도 있는 선전적 성격이 강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당의 내각책임제 정책은 그 구체적인 내용이 수시로 달라졌고, 개헌에 대한 태도도 일정하지 않았다. 민주당의 내각책임제 정책은 내부를 결속하고 반독재를 외치는 구호적 성격이 강했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야당으로서의 투쟁 활동과 함께 내각책임제 개헌을 당의 대표 정책이자 공약으로 내세웠고, 그 과정에서 점차 ‘민주주의 정당’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1955년 창당한 민주당은 창당 과정부터 내각책임제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정했고, 이를 이승만 정권과의 가장 큰 차별 요소로 내세웠다. 민주당의 내각책임제 개헌주장은 민주당을 대표하...

      1955년 창당한 민주당은 창당 과정부터 내각책임제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정했고, 이를 이승만 정권과의 가장 큰 차별 요소로 내세웠다. 민주당의 내각책임제 개헌주장은 민주당을 대표하는 정책이었다.
      민주당은 내각책임제 개헌을 정책으로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개헌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고 실행 의지도 뚜렷하지 않았다. 당의 간판으로 내각책임제를 내걸 때도 있었지만, 철저히 숨기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민주당 내의 분파인 신파와 구파는 내각책임제를 대하는 태도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민주당은 독재의 근원을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 대통령중심제’에서 찾았고, 독재를 막기 위해서는 내각책임제 개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즉 사람이 아닌 제도에서 문제를 찾고 있었다. 민주당에서는 내각책임제는 민주적 제도이며, 그 대척점에 있는 이승만 정권의 대통령중심제는 반민주적인 제도라고 선전했다. 내각책임제 개헌을 통해 민주주의를 회복할 것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내각책임제는 그들의 구호처럼 민주주의 달성을 위한 유일한 정치적 제도가 아니었다. 또한 민주당에게 있어 내각책임제로의 개헌 정책은 집권을 위해서는 버릴수도 있는 선전적 성격이 강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당의 내각책임제 정책은 그 구체적인 내용이 수시로 달라졌고, 개헌에 대한 태도도 일정하지 않았다. 민주당의 내각책임제 정책은 내부를 결속하고 반독재를 외치는 구호적 성격이 강했다. 그럼에도 민주당은 야당으로서의 투쟁 활동과 함께 내각책임제 개헌을 당의 대표 정책이자 공약으로 내세웠고, 그 과정에서 점차 ‘민주주의 정당’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mocratic Party, which was founded in 1955, has set the Cabinet responsibility system as the most important policy from the start of its founding, and has put it up as the biggest difference from the Rhee administration. The DP’s call for a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was a policy that represented the DP.
      The Democratic Party advocated a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s a policy, but in reality it did not provide a specific proposal for a constitutional revision and it did not have a clear will to implement it. There have been times when the party proposed a cabinet responsibility system as a front of the party, but there have been cases where it has been completely hidden. In particular, the New Faction and the Old Faction within the DP differed greatly in their attitude toward the cabinet system.
      The Democratic Party claimed that it found the source of dictatorship in a “presidential-centered system that does not fit our situation,” and that a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responsibility system is necessary to prevent dictatorship. In other words, they were looking for problems in the system, not in people. But the Cabinet-responsibility system was not the only political system for achieving “democracy,” the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responsibility system was a highly propaganda policy that could be abandoned for the sake of power. That is why the DP’s policy on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has changed its specifics from time to time. The DP’s Cabinet-responsibility policy was strong in its slogan of “uniting the inside and calling for anti-dictatorship.” In this process, the DP was able to acquire its status as a “democratic party” by insisting on a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responsibility system.
      번역하기

      The Democratic Party, which was founded in 1955, has set the Cabinet responsibility system as the most important policy from the start of its founding, and has put it up as the biggest difference from the Rhee administration. The DP’s call for a con...

      The Democratic Party, which was founded in 1955, has set the Cabinet responsibility system as the most important policy from the start of its founding, and has put it up as the biggest difference from the Rhee administration. The DP’s call for a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was a policy that represented the DP.
      The Democratic Party advocated a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s a policy, but in reality it did not provide a specific proposal for a constitutional revision and it did not have a clear will to implement it. There have been times when the party proposed a cabinet responsibility system as a front of the party, but there have been cases where it has been completely hidden. In particular, the New Faction and the Old Faction within the DP differed greatly in their attitude toward the cabinet system.
      The Democratic Party claimed that it found the source of dictatorship in a “presidential-centered system that does not fit our situation,” and that a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responsibility system is necessary to prevent dictatorship. In other words, they were looking for problems in the system, not in people. But the Cabinet-responsibility system was not the only political system for achieving “democracy,” the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responsibility system was a highly propaganda policy that could be abandoned for the sake of power. That is why the DP’s policy on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has changed its specifics from time to time. The DP’s Cabinet-responsibility policy was strong in its slogan of “uniting the inside and calling for anti-dictatorship.” In this process, the DP was able to acquire its status as a “democratic party” by insisting on a constitutional revision of the parliamentary responsibility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정부수립 직후부터 지속된 야당의 내각책임제 개헌 시도
      • Ⅲ. 1955년 민주당의 창당과 내각책임제 개헌 정책의 의의
      • Ⅳ. 1956년 정부통령선거 이후 민주당 내각책임제 개헌 정책의 변화
      • 국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정부수립 직후부터 지속된 야당의 내각책임제 개헌 시도
      • Ⅲ. 1955년 민주당의 창당과 내각책임제 개헌 정책의 의의
      • Ⅳ. 1956년 정부통령선거 이후 민주당 내각책임제 개헌 정책의 변화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운석기념회,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張勉博士回顧錄" 운석기념회 1999

      2 김태일, "한국현대정치론 Ⅰ: 제1공화국의 국가형성 ․ 정치과정 ․ 정책" 오름 2000

      3 윤천주, "한국정치체계"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1

      4 마한, "한국정치의 총비판" 한국정치연구원 1959

      5 서중석, "한국정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6 신명순, "한국정치론" 법문사 1993

      7 최한수, "한국정당정치변동 Ⅰ" 세명서관 1999

      8 한태수, "한국정당사" 신태양사 1961

      9 이기하, "한국정당발달사" 의회정치사 1961

      10 "한국일보"

      1 운석기념회,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張勉博士回顧錄" 운석기념회 1999

      2 김태일, "한국현대정치론 Ⅰ: 제1공화국의 국가형성 ․ 정치과정 ․ 정책" 오름 2000

      3 윤천주, "한국정치체계"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1

      4 마한, "한국정치의 총비판" 한국정치연구원 1959

      5 서중석, "한국정치의 지배이데올로기와 대항이데올로기" 역사비평사 1994

      6 신명순, "한국정치론" 법문사 1993

      7 최한수, "한국정당정치변동 Ⅰ" 세명서관 1999

      8 한태수, "한국정당사" 신태양사 1961

      9 이기하, "한국정당발달사" 의회정치사 1961

      10 "한국일보"

      11 서병조, "주권자의 증언" 모음출판사 1963

      12 "조선일보"

      13 한승주, "제2공화국과 한국의 민주주의" 종로서적 1983

      14 송원영, "제2공화국" 샘터사 1990

      15 이혜영, "제1공화국기 자유당과 ‘이승만 이후’ 정치 구상" 이화여자대학교 2015

      16 김세중, "제1.2공화국 하에서의 민주당 –정치발전에 있어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54 : 1994

      17 金垠慶, "제 1,2共和國 時期 民主黨의 新·舊派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18 "자유세계"

      19 "인물계"

      20 서중석, "이승만과 제1공화국" 역사비평사 2007

      21 김진흠, "이기붕 체제 자유당의 정당정치 모색과 좌절 (1954-1960)" 성균관대학교 2020

      22 민주당, "우리黨의 主張은 이렇다"

      23 "신태양"

      24 "신세계"

      25 "서울신문"

      26 "새벽"

      27 "사상계"

      28 오유석, "민주당 내 신 ․ 구 파벌간 갈등에 관한 연구" 94 : 2000

      29 "동아일보"

      30 더불어민주당 창당 6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60년사" 푸른정원 2016

      3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정당사 제1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68

      32 민주당,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걸어갈 길 –나의 정치백서" 신태양사 1957

      33 조병옥, "나의 回顧錄" 민교사 1959

      34 金度演, "나의 人生白書: 常山回顧錄" 常山回顧錄 出版同志會 1967

      35 白南薰, "나의 一生" 해온 백남훈선생 기념사업회 1973

      36 김석영, "나는 대통령선거를 이렇게 본다" 남광문화사 1956

      37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국제연합한국통일부흥위원단 보고서 1954~1960" 1964

      38 "경향신문"

      39 이병국, "野慾에 굶주린 群像 –民主黨의 反民性을 中心으로" 행정신문사 1956

      40 金夕影, "申翼熙先生一代記" 早稻田大學同窓會出版部 1956

      41 柳致松, "海公 申翼熙 一代記 -民主韓國의 大道" 海公 申翼熙先生 紀念會 1984

      42 민주당, "民主黨의 當面政策"

      43 趙炳玉, "民主主義와 나" 永信文化社 1959

      44 정치철학연구회, "全國政見選集: 四代民議院議員立候補者" 흑인사 1958

      45 이관구, "5 ․ 15선거논설집" 경향신문사 1956

      46 김지형, "1955년 민주당 창당기 자유민주주의론의 배제 정치" 한국근현대사학회 (74) : 220-246, 2015

      47 백운선, "1950年代의 認識" 한길사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