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초기의 국어학 관련 연구자 중심의 분석을 바탕으로 남과 북에서 서술된 국어학사 내용을 검토하고 국어학 학문 영역의 통합의 일환으로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210828
2012
Korean
한국어 ; 조선어 ; 국어학 ; 조선어학 ; 국어학사 ; 조선어학사 ; 일제강점기 ; 해방 공간 ; 통합 국어학사 ; 어문민족주의 ; Korean language ; Korean language research ; Hangugeo ; Joseoneo ; unified Korean language research
KCI등재
학술저널
379-405(2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초기의 국어학 관련 연구자 중심의 분석을 바탕으로 남과 북에서 서술된 국어학사 내용을 검토하고 국어학 학문 영역의 통합의 일환으로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
이 글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초기의 국어학 관련 연구자 중심의 분석을 바탕으로 남과 북에서 서술된 국어학사 내용을 검토하고 국어학 학문 영역의 통합의 일환으로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필요성과 그 과제에 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우리의 국어학은 일제 강점기를 지나 해방이 된 후 1948년 남북이 분단되면서 국어학의 지향은 ‘(한)국어학’과 ‘조선어학’이라는 두 양상으로 균열과 분단의 길을 걷게 되었다. 해방 이후 그러한 균열과 분단은 서로의 업적과 내용을 덮거나 배제하는 반쪽의 ‘어학사’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통합 국어학사 서술이의 당위성이 제기된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 초기 조선 ‘국어학’의 현황 및 분화를 언급고 공시적인 조선어 문법을 주로 천착한 ‘조선인’ 연구자 그룹과 역사적 측면에서 ‘조선어’를 연구한 일본인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조선 ‘국어학’ 연구자의 학력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각 어떤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편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국어학사’ 연구성과가 조선 ‘국어학’ 연구자의 학력과 정치적 선택에 따라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남북 근현대 국어학사 기점 인식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남북 국어학사 서술에서 드러난 시대 구분과 쟁점, 남북 통합 국어학사 서술에서 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할 몇 문제를 개괄적으로 다루었으며, 남북 근현대 통합국어학사 서술의 당위성과 필요성 문제를 실증적 서술에 더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야 함을 추가로 언급하였다.
결국 이 논문에서는 남북 통합 국어학사를 지향한다는 목적에 맞게 선험적이거나 선언적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지향적으로 남북이 함께 이 논의에서 수용할 수 있는 서술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는 의도가 전제되었고 그것이 이 논문이 지향하고 있는 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diverse research conducted on the Korean language in South and North Korea between the early 20th century (the onset of the Japanese colonialis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late 1940s. It points out the necessity of unified ...
This article examines diverse research conducted on the Korean language in South and North Korea between the early 20th century (the onset of the Japanese colonialis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late 1940s. It points out the necessity of unified Korean language research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discusses the issues that may be raised in regard to producing a unified examination of the Korean language.
With this background information, we first demonstrate the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in the early 20th century. We then categorize the researchers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ethnicity and their focus in research. We also categorize the researchers during this perio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identify their research methods and preferences accordingly. For instance, we note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scholars of the two countries in identifying the periods of early modern and modern Korean. We point out that th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is type of issue, due to its relatively empirically justifiable nature. We believe that our claim is a desirable consideration, particularly because our focus is not on issues tha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based on different political viewpoi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봉, "金壽卿의 국어학 연구와 그 의의" 한국어학회 45 : 363-385, 2009
2 정광,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6
3 이상혁, "홍기문과 원본 訓民正音의 번역에 대하여" 한국학연구소 (23) : 235-253, 2005
4 金敏洙, "해암(金亨奎)의 삶" 서울대 국어교육과 2011
5 김동석, "해방기 어문 운동이 문학에 미친 영향" 민족어문학회 0 (0): 385-414, 2006
6 이상혁, "해방 후 초기 북쪽 국어학 연구의 경향" 민족어문학회 0 (0): 5-32, 2007
7 최경봉, "해방 이후 국어 정립을 위한 학술적․정책적 활동 양상"
8 최현배, "한글갈(正音學)" 정음문화사 1942
9 김완진, "한국어의 연구 동향과 과제, In 한국의 민족문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10 고영근, "통일시대의 語文問題" 도서출판 길벗 1995
1 최경봉, "金壽卿의 국어학 연구와 그 의의" 한국어학회 45 : 363-385, 2009
2 정광,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6
3 이상혁, "홍기문과 원본 訓民正音의 번역에 대하여" 한국학연구소 (23) : 235-253, 2005
4 金敏洙, "해암(金亨奎)의 삶" 서울대 국어교육과 2011
5 김동석, "해방기 어문 운동이 문학에 미친 영향" 민족어문학회 0 (0): 385-414, 2006
6 이상혁, "해방 후 초기 북쪽 국어학 연구의 경향" 민족어문학회 0 (0): 5-32, 2007
7 최경봉, "해방 이후 국어 정립을 위한 학술적․정책적 활동 양상"
8 최현배, "한글갈(正音學)" 정음문화사 1942
9 김완진, "한국어의 연구 동향과 과제, In 한국의 민족문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10 고영근, "통일시대의 語文問題" 도서출판 길벗 1995
11 김영황, "주체의 조선어연구 50년사" 김일성대 조선어문학부 1996
12 이상혁, "조선후기 훈민정음 연구의 역사적 변천" 역락 2004
13 김영황, "조선언어학사연구" 김일성종합대학 출판사 1996
14 안경상, "조선어학설사" 사회과학출판사 2005
15 김병제, "조선어학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4
16 박재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학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원 1999
17 최호철, "자료 발굴과 소개: 1950년대 말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서의조선 언어학 역사" 17 : 2002
18 최경봉, "일제 강점기 조선어 연구의 지향" 한국어학회 40 : 127-148, 2008
19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책과함께 2005
20 김석득, "우리말연구사" 정음문화사 1983
21 김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탑출판사 1985
22 박수영, "언어학의 사상사" 도서출판 이목 1992
23 김현권, "언어학사 기술과 인식론의 문제, In 언어학연구사" 서울대 출판부 1991
24 김윤경, "새로 지은 국어학사" 을유문화사 1963
25 이상혁, "새국어생활 문화 인물을 통해서 본 국어학사의 현재와 미래" 국립국어원 20 (20): 2010
26 金敏洙,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1~4)" 녹진 1991
27 이상혁, "북한의 언어정책사, In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2" 녹진 1991
28 고영근, "북한의 언어문화" 서울대 출판부 1999
29 북한언어연구회, "북한의 어학혁명" 백의 1989
30 고영근,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989
31 배현숙, "북한의 국어학사 연구사, In 북한의 조선어 연구사1" 녹진 1991
32 이현희, "북한의 국어사 및 국어학사 연구" 28 (28): 1992
33 전수태, "북측의 언어정책"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창간) : 2006
34 이상혁, "북쪽 국어학자의 훈민정음 연구 분석과 학문적 계보" 우리어문학회 (39) : 275-299, 2011
35 이상혁, "남측의 언어정책"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창간) : 2006
36 전수태, "남북한 언어비교" 녹진 1989
37 박지홍, "국어학사의 시대구분고" 부산교육대학 1963
38 최경봉, "국어학사의 서술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근대국어학사의 서술 문제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59) : 153-184, 2010
39 이상혁, "국어학사의 서술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고려대 35 : 1996
40 유창, "국어학사의 개념 규정에 대하여, In 행정이상헌선생 회갑기념논문집" 1968
41 최경봉, "국어학사에서 柳應浩의 위상과 계보" 한국어학회 54 : 291-324, 2012
42 이상혁, "국어학사를 다시 생각함" 한성어문학회 26 : 2007
43 유창균, "국어학사 시대 구분에 대한 관견" 영남대 6 (6): 1988
44 이미숙, "국어학사 시대 구분 문제" 경기대 대학원 1984
45 정광, "국어학사" 한국방송통신대출판부 1997
46 김석득, "국어학 연구의 사조사적 개관" 26 : 1977
47 이기문, "국어학 연구사와 앞으로의 과제" 6 : 1972
48 김완진, "국어연구의 발자취(1)" 서울대 출판부 1985
49 최범훈, "국어사, 국어학사, 현대국어(방언학 포함): 해방 이후 새로운 자료발굴, 편찬, 주석, 간행" 88 : 1982
50 정광, "구소련의 언어학과 초기 북한의 언어 연구"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2 : 1999
51 정승철, "경성제국대학과 국어학-이희승․이숭녕․방종현을 중심으로, In 이병근선생정년퇴임국어학논총" 태학사 2006
52 김석득, "韓國語硏究史(上. 下)" 연세대 출판부 1979
53 金敏洙, "韓國語學史(下), In 韓國文化史大系Ⅴ"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1967
54 姜信沆, "韓國語學史(上), In 韓國文化史大系Ⅴ" 高麗大 民族文化硏究所 1967
55 朴炳采, "韓國 文字 發達史, In 韓國文化史大系 5" 1967
56 李崇寧, "革新國語學史" 博英社 1976
57 高在燮, "諺文再認識論" 6 (6): 1938
58 朴炳, "論著를 통해 본 國語學 硏究史" 6 : 1972
59 方鍾鉉, "訓民正音通史" 一成堂書店 1948
60 任桓宰, "言語學史" 經文社 1984
61 金允經, "朝鮮文字及語學史" 朝鮮紀念圖書出版館 1938
62 徐炳國, "新講國語學史" 형설출판사/학문사 1973
63 兪昌均, "新稿國語學史" 螢雪出版社 1969
64 金敏洙, "新國語學史(全訂版)" 一潮閣 1980
65 國語硏究會, "國語硏究 어디까지 왔나" 서울대 대학원 1990
66 金敏洙, "國語政策論(再版)" 塔出版社 1984
67 金敏洙, "國語政策論" 高麗大出版部 1973
68 高永根, "國語學硏究百年史(Ⅰ~Ⅳ)" 一潮閣 1992
69 高永根, "國語學硏究史" 學硏社 1985
70 高永根, "國語學硏究史" 學硏社 1985
71 金錫得, "國語學史의 諸問題-국어학사를 보는 시각-" 14 : 1985
72 姜信沆, "國語學史의 諸問題 -國語學史의 記述方法-" 14 : 1985
73 姜信沆, "國語學史(增補改訂版)" 普成文化社 1995
74 李賢熙, "國語學史 硏究 50년(1945~1995), In 光復 50週年 國學의 成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75 沈在箕, "國語學史 敍述의 變遷, In 國語學硏究百年史" 一潮閣 1992
76 兪昌均, "國語學史" 螢雪出版社 1995
77 李崇寧, "國語學史" 34 (34): 1956
78 兪昌均, "國語學史" 英文社 1959
79 兪昌均, "國語學史" 民衆書舘 1961
80 金敏洙, "北韓의 國語硏究" 高麗大 出版部 1985
81 유창균, "≪한글갈≫, 국어학사" 14 : 1974
82 이상혁, "‘한국어’ 명칭의 위상 변천과 그 전망 -언어 환경 변화에 따른 ‘Korean language’ 명칭 변화를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6) : 165-188, 2009
83 "http://db.history.go.kr/"
84 최호철, "2004 동숭학술재단이 선정한 언어학자, 홍기문(1903~1992), In 동숭학술재단소식지" 동숭학술재단 2004
85 姜允浩, "19世紀初에 있어서 西洋人 宣敎師의 韓國語 硏究" 계명대 (1) : 1967
86 金敏洙, "1950년대 국어 정책과 규범 국어사전"
87 임동현, "1930년대 전반기 민족어 규범 형성과 철자법 정리ㆍ통일운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8 이병근, "1910~1920년대 일본인에 의한 한국어 연구의 과제와 방향, In 일제식민지시기 한국의 언어와 문화" 서울대 출판부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4-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Asian Culture Studies -> Asian Cultural Studies Research Institut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6 | 0.974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