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밀도를 고려한 창원시 단독주택지의 적정 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57558

      • 저자
      • 발행사항

        창원 :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창원대학교 대학원 , 건축공학과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42.1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기타서명

        (A)Study on the Proper Development Density Considering of City Density in Changwon Detached Housing Area

      • 형태사항

        vi, 147 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창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서유석
        참고문헌 : p.145-14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ed to come up with various approaches to analysing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detached dwelling district for Changwon City and to suggesting urban proper-development density criteria for it, focusing on comparing to the whole urban-density. Towards this end, the author first selected cities to compare, assessed the level of density of Changwon City against that of these cities, and proposed the level of their future density after considering the Urban Planning Code and other relevant laws. This study has identified problems related to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Changwon City, and has come up with approaches for house rebuilding and housing redevelopment.
      번역하기

      The study aimed to come up with various approaches to analysing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detached dwelling district for Changwon City and to suggesting urban proper-development density criteria for it, focusing on comparing to the whole urb...

      The study aimed to come up with various approaches to analysing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detached dwelling district for Changwon City and to suggesting urban proper-development density criteria for it, focusing on comparing to the whole urban-density. Towards this end, the author first selected cities to compare, assessed the level of density of Changwon City against that of these cities, and proposed the level of their future density after considering the Urban Planning Code and other relevant laws. This study has identified problems related to the urban-development density of Changwon City, and has come up with approaches for house rebuilding and housing re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3. 선행연구 고찰 7
      • 제2장. 이론적 고찰 11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3. 선행연구 고찰 7
      • 제2장. 이론적 고찰 11
      • 2-1. 도시밀도 및 개발밀도의 개념과 요소 11
      • 2-1-1. 도시밀도 및 개발밀도의 개념과 유형 11
      • 2-1-2. 적정 개발밀도의 개념 18
      • 2-1-3. 개발밀도의 영향요소 22
      • 2-2. 개발밀도 관리체계 28
      • 2-2-1. 우리나라의 개발밀도 관리제도 28
      • 2-2-2. 개발밀도 관리체계 30
      • 2-3. 단독주택의 유형과 주거환경의 개념 43
      • 2-3-1. 단독주택의 유형 43
      • 2-3-2. 주거환경의 개념과 특성 47
      • 2-3-3. 단독주택지 주거환경의 영향요소 49
      • 2-4. 단독주택지 관련 주거이론 고찰 56
      • 2-4-1. 근린주구이론 56
      • 2-4-2. 뉴 어바니즘(New Urbanism) 58
      • 2-4-3. 관련 계획 61
      • 제3장. 창원시 단독주택지 현황 및 문제점 66
      • 3-1. 우리나라 도시형성과정 66
      • 3-1-1. 도시형성과정 66
      • 3-1-2. 도시구조의 변화 70
      • 3-2. 창원시 도시형성과정과 단독주택지 현황 72
      • 3-2-1. 창원시 도시 형성과정 72
      • 3-2-2. 창원시의 택지조성 74
      • 3-2-3. 창원시 도시특성과 도시공간구조 81
      • 3-2-4. 창원시 단독주택지 현황 및 특성 85
      • 제4장. 연구 및 분석의 틀 90
      • 4-1. 연구조사의 틀 90
      • 4-2. 분석의 틀 96
      • 제5장. 창원시 단독주택지 분석 98
      • 5-1. 도시밀도 측면의 단독주택지 분석 98
      • 5-1-1. 창원시 도시밀도 분석 98
      • 5-1-2. 창원시 행정구역별 도시밀도 분석 103
      • 5-2. 개발밀도 측면의 단독주택지 분석 107
      • 5-2-1. 단독주택지 유형별 밀도분석 107
      • 5-2-2. 단독주택지 주거환경 분석 130
      • 5-3. 소결 139
      • 제6장. 결론 및 제언 142
      • 6-1. 요약 및 결론 143
      • 6-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43
      • 參 考 文 獻 1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