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 연구 : 한·불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Focusing on Korea and Fr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67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tends to classify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perceived by Koreans and French, and verify the characteristic part of the types. The method employed for this research was Q methodology which is often adopted for subjectivity research. Thirty nine P samples which include 20 Koreans and 19 French were utilized, 27 statements were adopted as final Q sample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QUANL PC program for analysis of major factors. Rotation method was Varimax.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came in four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 accordance with special characters, they were named type 1(n=13); 'rational and conscious', type 2(n=15); 'elegant and urban looking', type 3(n=6); 'high pride and self-confident' type 4(n=5); 'reasonable and liberal'. Type 1 and 4 have large majority of French respondents, while type 2 has many Korean respondents. In type 3 fair number of Koreans and French was show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Koreans and French was the largest of all in type 1 and 2. They have different perception on academic background, method of guidance for creation and spending habits of dancers.
      번역하기

      This research intends to classify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perceived by Koreans and French, and verify the characteristic part of the types. The method employed for this research was Q methodology which is often adopted for subjecti...

      This research intends to classify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perceived by Koreans and French, and verify the characteristic part of the types. The method employed for this research was Q methodology which is often adopted for subjectivity research. Thirty nine P samples which include 20 Koreans and 19 French were utilized, 27 statements were adopted as final Q sample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QUANL PC program for analysis of major factors. Rotation method was Varimax.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came in four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 accordance with special characters, they were named type 1(n=13); 'rational and conscious', type 2(n=15); 'elegant and urban looking', type 3(n=6); 'high pride and self-confident' type 4(n=5); 'reasonable and liberal'. Type 1 and 4 have large majority of French respondents, while type 2 has many Korean respondents. In type 3 fair number of Koreans and French was show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Koreans and French was the largest of all in type 1 and 2. They have different perception on academic background, method of guidance for creation and spending habits of danc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들과 프랑스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로 나타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주관성 연구에 유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P 표본은 한국인 20명, 프랑스인 19명으로 총 39명이었으며, 27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QUANL PC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인분석을 하였으며, 회전방식은 Varima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은 4가지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특성에 따라 제1유형(n=13): ‘이성적인 의식가형’, 제2유형(n=15): ‘품위 유지 도시인형’, 제3유형(n=6): ‘자부심 강한 소신가형’, 제4유형(n=5): ‘합리적인 자유주의자형’으로 명명하였다. 제1유형과 제4유형은 대다수 프랑스인 응답자였으며, 제2유형은 한국인 응답자가 많았으며, 제3유형은 한국인과 프랑스인 응답자가 고르게 나타났다. 한국과 프랑스 응답자 사이에 가장 큰 인식의 차이를 보인 유형은 제1유형과 제2유형이며, 학력에 대한 인식, 창작지도 방법, 그리고 무용가의 소비성에 대해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인들과 프랑스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로 나타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주관성 연구에 유용한 Q 방법론을 적...

      본 연구는 한국인들과 프랑스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로 나타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주관성 연구에 유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P 표본은 한국인 20명, 프랑스인 19명으로 총 39명이었으며, 27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QUANL PC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인분석을 하였으며, 회전방식은 Varima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은 4가지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특성에 따라 제1유형(n=13): ‘이성적인 의식가형’, 제2유형(n=15): ‘품위 유지 도시인형’, 제3유형(n=6): ‘자부심 강한 소신가형’, 제4유형(n=5): ‘합리적인 자유주의자형’으로 명명하였다. 제1유형과 제4유형은 대다수 프랑스인 응답자였으며, 제2유형은 한국인 응답자가 많았으며, 제3유형은 한국인과 프랑스인 응답자가 고르게 나타났다. 한국과 프랑스 응답자 사이에 가장 큰 인식의 차이를 보인 유형은 제1유형과 제2유형이며, 학력에 대한 인식, 창작지도 방법, 그리고 무용가의 소비성에 대해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아영, "현대무용 대중화를 위한 일반인의 인식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김태원, "현 우리문화는 ‘심각한 위기’다." 17 (17): 17-29, 2011

      3 김태원, "한국현대무용의 형성과 그 춤의 견인차들(3)" 국제교류재단 1997

      4 양정수, "한국현대무용사" 대한미디어 1999

      5 박남기, "한국인의 교육열 이해를 위한 대안적 관점" 32 (32): 1994

      6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고유 이론 모형에 대한 탐색" 37 (37): 1999

      7 김차진, "프랑스의 직업교육" 한국교과서연구재단 65 : 66-73, 2011

      8 김현옥, "프랑스 현대무용(누벨당스)의 특성과 시각성의 공헌" 계명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0 : 229-279, 1997

      9 도윤정, "프랑스 춤 중흥 정책의 특성 - 2000년대 전반기의 춤우대정책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0 : 233-281, 2009

      10 임미림, "텔레비젼 드라마에 나타난 간호 이미지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 김아영, "현대무용 대중화를 위한 일반인의 인식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 김태원, "현 우리문화는 ‘심각한 위기’다." 17 (17): 17-29, 2011

      3 김태원, "한국현대무용의 형성과 그 춤의 견인차들(3)" 국제교류재단 1997

      4 양정수, "한국현대무용사" 대한미디어 1999

      5 박남기, "한국인의 교육열 이해를 위한 대안적 관점" 32 (32): 1994

      6 오욱환, "한국사회의 교육열에 대한 고유 이론 모형에 대한 탐색" 37 (37): 1999

      7 김차진, "프랑스의 직업교육" 한국교과서연구재단 65 : 66-73, 2011

      8 김현옥, "프랑스 현대무용(누벨당스)의 특성과 시각성의 공헌" 계명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0 : 229-279, 1997

      9 도윤정, "프랑스 춤 중흥 정책의 특성 - 2000년대 전반기의 춤우대정책을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학회 30 : 233-281, 2009

      10 임미림, "텔레비젼 드라마에 나타난 간호 이미지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11 김종원, "춤, 새로 말한다 새로 만든다" 사회평론 2008

      12 최혜숙, "전문직 간호사에 관한 주관성 연구" 9 : 109-133, 2004

      13 김현숙, "전문 발레인에 대한 이미지 유형 연구" 한국무용과학회 (25) : 19-35, 2011

      14 홍영욱, "일반인의 무용경험 및 대중화 인식도가 무용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

      15 이인수, "응급구조사 직업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16 (16): 149-160, 2008

      16 "윤성주 전문무용수지원센터 이사장 인터뷰"

      17 신선미, "여대생의 직업세계 인식실태조사도구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007

      18 홍정표, "세계화 이후 프랑스의 문화적 가치, 국민 의식, 교육의 변화에 대하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3) : 189-213, 2006

      19 이영화, "서울시장 후보자 이미지 유형과 캠페인 전략에 관한 연구" 12 : 67-93, 2006

      20 이홍직, "사회복지사의 직업이미지"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1) : 195-208, 2010

      21 제환정, "불멸의 춤, 불멸의 사랑" 김영사 2002

      22 김선정, "발레리나 룩의 조형성이 발레리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대 여성으로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23 박현선, "발레 이미지를 통한 문화마케팅이 S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24 김흥규, "문화간 소비행위 연구를 위한 Q방법론적 접근" 37 : 1997

      25 정진용, "무용예술의 인지도 조사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4

      26 김화숙, "무용교육학회편" 한학출판사 1996

      27 최영식, "대학생의 무용 예술에 대한 인식도 조사 : 서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8 양연화, "대중적 인식으로 본 예술가 이미지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9 오미정, "간호이미지 개선을 위한 간호전문직의 중요도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유형" 14 (14): 80-99, 2000

      30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31 김흥규, "Q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2 김헌수, "Q방법론" 교육과학사 2000

      33 정주희, "Q 방법론을 적용한 대학사서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34 Brown, S. R,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35 Kotler, P, "Marketing for health care organization" Prentice-Hall Inc 1987

      36 이훈희, "20-30대 직장여성의 결혼과 출산: 선택의 기로에 선 그녀들의 심경" 한국사회보장학회 27 (27): 123-142,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 무용과학회지 -> 한국무용과학회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8 1.151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