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제 양성 중에 이루어지는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한 고찰 : 한국의 대신학교 생활 내규집과 학장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priestly formation : Based on the disciplines of the major seminaries in Korea and the survey carried out with the re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57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제 양성을 할 때 인간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제 양성의 전 과정은 마치 밑 빠진 독과 같은 것이 되어버릴 것입니다.” (현대의 사제양성, 43항)

      사제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 살아가려는 사람이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러하셨듯이 사람들 사이에서 특별히 봉사하는 가운데, 그들이 하느님을 찾고 만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람이다. 즉, 자신의 삶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셨던 삶을 전해주는 이가 사제인 것이다. 그런데 사제로서의 모습은 어느 순간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양성 과정에서부터 준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좋은 사제가 되고자 한다면 사제직을 준비하는 신학생 때부터 잘 준비해야 한다.

      신학교에서 많은 것들을 배우지만, 그 중에서도 올바른 인성을 위한 배움의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제직의 기본은 올바른 인성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제 양성 중에 신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우선, 제1장에서는 사제 양성 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제 양성의 역사와 영역을 살펴보고, 그 과정의 중요성을 되짚어본다. 제2장에서는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해 다루었다. 인성 교육의 일반적인 의미와 특별히 신학생들에게 지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교회 문헌에서 밝힌 신학생 인성 교육의 내용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현재 한국 대신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신학생 인성 교육의 실재를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먼저 현재 한국의 대신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활 내규집들을 바탕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로 한국의 각 대신학교 학장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 대신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신학생 인성 교육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현재 한국의 대신학교에서 신학생 인성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인성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완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연구자는 신학생 인성 교육을 위해 각 신학교 생활 내규집의 개선, 봉사 활동의 활성화, 사제 양성과 관련된 교회 문헌들의 필독, 양성자들이 모여 의견을 나누는 장의 마련, 피양성자인 신학생들의 적극적인 의견 수렴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신학생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좋은 사제로서 살아가기 위해 양성 과정 중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며, 더욱 효과적으로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사제 양성을 할 때 인간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제 양성의 전 과정은 마치 밑 빠진 독과 같은 것이 되어버릴 것입니다.” (현대의 사제양성, 43항) 사제는 하느님의 부르심...

      “사제 양성을 할 때 인간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제 양성의 전 과정은 마치 밑 빠진 독과 같은 것이 되어버릴 것입니다.” (현대의 사제양성, 43항)

      사제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 살아가려는 사람이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러하셨듯이 사람들 사이에서 특별히 봉사하는 가운데, 그들이 하느님을 찾고 만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람이다. 즉, 자신의 삶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셨던 삶을 전해주는 이가 사제인 것이다. 그런데 사제로서의 모습은 어느 순간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양성 과정에서부터 준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좋은 사제가 되고자 한다면 사제직을 준비하는 신학생 때부터 잘 준비해야 한다.

      신학교에서 많은 것들을 배우지만, 그 중에서도 올바른 인성을 위한 배움의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제직의 기본은 올바른 인성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제 양성 중에 신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우선, 제1장에서는 사제 양성 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제 양성의 역사와 영역을 살펴보고, 그 과정의 중요성을 되짚어본다. 제2장에서는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해 다루었다. 인성 교육의 일반적인 의미와 특별히 신학생들에게 지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교회 문헌에서 밝힌 신학생 인성 교육의 내용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현재 한국 대신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신학생 인성 교육의 실재를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먼저 현재 한국의 대신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활 내규집들을 바탕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로 한국의 각 대신학교 학장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 대신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신학생 인성 교육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현재 한국의 대신학교에서 신학생 인성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인성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완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연구자는 신학생 인성 교육을 위해 각 신학교 생활 내규집의 개선, 봉사 활동의 활성화, 사제 양성과 관련된 교회 문헌들의 필독, 양성자들이 모여 의견을 나누는 장의 마련, 피양성자인 신학생들의 적극적인 의견 수렴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신학생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좋은 사제로서 살아가기 위해 양성 과정 중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며, 더욱 효과적으로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hole work of priestly formation would be deprived of its necessary foundation if it lacked a suitable human formation." (PASTORES DABO VOBIS, 43)

      The priests, who have answered to God’s calling always try to take after Jesus Christ. As Jesus did, they willingly sacrifice themselves for others and guide people to the faith in God. In other words, priests’ lives, themselves show and prove Jesus’ life of love. However, a figure of good priest cannot be made in a short term at some points. Rather, it requires much effort to have good character as a priest. That means training period is mandatory for shaping ideal personality before becoming a priest. And the period of seminarian is starting point for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priest is upright personality. It is for sure that many subjects and professional knowledge have to be learned. However, without maturity of personality, these knowledge cannot exert its hidden power as a wisdom.

      1st chapter implies the basic information of priestly formation. It describes the importance of the period before becoming a priest. As mentioning the realm of training priest and history, it helps to understand general process for becoming a priest. 2nd chapter tries to understand personality education; w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and meaning of that education based on the teaching of the Church. Many documents from Magisterium demonstrates how to train a priest to have upright character as a priest. Lastly, 3rd chapter deals with the reality of the major seminaries in Korea. The present condition in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result of the survey are revealed. Two main methods of study were used here. One is analyzing the disciplines of the major seminaries in Korea. Second way is conducting survey targeting the dean of major seminaries in Korea. Each answer of survey shows which part should be improved in an actua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of Korean major seminar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way how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made in a school for seminarians and the necessity of finding other ways to improve it. First of all,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ent disciplines should be modified. Second, volunteering for seminarian should be stimulated. Other solutions proposed are as follow; Required reading of catholic literature, especially about personality education, making a forum of conversation, and having a chance to collect and share seminarians’ opin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ed to contemplate meanings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how to lead seminarian to have upright character as a desirable priest.
      번역하기

      "The whole work of priestly formation would be deprived of its necessary foundation if it lacked a suitable human formation." (PASTORES DABO VOBIS, 43) The priests, who have answered to God’s calling always try to take after Jesus Christ. As Jesus...

      "The whole work of priestly formation would be deprived of its necessary foundation if it lacked a suitable human formation." (PASTORES DABO VOBIS, 43)

      The priests, who have answered to God’s calling always try to take after Jesus Christ. As Jesus did, they willingly sacrifice themselves for others and guide people to the faith in God. In other words, priests’ lives, themselves show and prove Jesus’ life of love. However, a figure of good priest cannot be made in a short term at some points. Rather, it requires much effort to have good character as a priest. That means training period is mandatory for shaping ideal personality before becoming a priest. And the period of seminarian is starting point for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priest is upright personality. It is for sure that many subjects and professional knowledge have to be learned. However, without maturity of personality, these knowledge cannot exert its hidden power as a wisdom.

      1st chapter implies the basic information of priestly formation. It describes the importance of the period before becoming a priest. As mentioning the realm of training priest and history, it helps to understand general process for becoming a priest. 2nd chapter tries to understand personality education; w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and meaning of that education based on the teaching of the Church. Many documents from Magisterium demonstrates how to train a priest to have upright character as a priest. Lastly, 3rd chapter deals with the reality of the major seminaries in Korea. The present condition in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result of the survey are revealed. Two main methods of study were used here. One is analyzing the disciplines of the major seminaries in Korea. Second way is conducting survey targeting the dean of major seminaries in Korea. Each answer of survey shows which part should be improved in an actua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of Korean major seminar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way how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made in a school for seminarians and the necessity of finding other ways to improve it. First of all,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ent disciplines should be modified. Second, volunteering for seminarian should be stimulated. Other solutions proposed are as follow; Required reading of catholic literature, especially about personality education, making a forum of conversation, and having a chance to collect and share seminarians’ opin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ed to contemplate meanings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how to lead seminarian to have upright character as a desirable prie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및 주제어 ⅴ
      • Ⅰ. 서 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 5
      • 국문초록 및 주제어 ⅴ
      • Ⅰ. 서 론 1
      •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 2. 연구 방법 5
      •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6
      • Ⅱ. 본 론 8
      • 제1장 신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제 양성 8
      • 1.1. 신학교 8
      • 1.2. 사제 양성 12
      • 1.2.1. 사제 양성의 중요성 12
      • 1.2.2. 사제 양성의 역사 15
      • 1.2.2.1.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 17
      • 1.2.2.2. 트리엔트 공의회 21
      • 1.2.2.3.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25
      • 1.2.2.4. 제2차 바티칸 공의회 27
      • 1.2.3. 사제 양성의 영역 30
      • 1.2.3.1. 인간적 영역 31
      • 1.2.3.2. 영성적 영역 33
      • 1.2.3.3. 지적 영역 36
      • 1.2.3.4. 사목적 영역 37
      • 제2장 신학생 인성 교육 40
      • 2.1.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한 이해 40
      • 2.1.1. 인성 교육의 일반적 의미 40
      • 2.1.2. 신학생 인성 교육의 의미 47
      • 2.2.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51
      • 2.2.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52
      • 2.2.1.1.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 「온 교회의 열망」 52
      • 2.2.1.2. 사제의 생활과 교역에 관한 교령 「사제품」 56
      • 2.2.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교황청 지침들 59
      • 2.2.2.1. 「독신 생활 양성 지침」 59
      • 2.2.2.2. 「사제 양성의 기본 지침」 62
      • 2.2.2.3. 「대신학교 교육 지침」 64
      • 2.2.2.4. 「사제의 직무와 생활 지침」 66
      • 2.2.3. 사도적 권고 『현대의 사제 양성』 68
      • 2.2.4. 『한국 사제 양성 지침』 72
      • 제3장 신학교 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인성 교육 연구 77
      • 3.1. 연구개요 77
      • 3.2. 한국의 대신학교 78
      • 3.2.1. 현황 81
      • 3.2.2. 교육 목표 86
      • 3.3. 신학교 인성 교육 조사 연구 89
      • 3.3.1. 7개 신학교 생활 내규집 분석 92
      • 3.3.1.1.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서울대교구 대신학교) 94
      • 3.3.1.2. 광주가톨릭대학교(광주관구 대신학교) 97
      • 3.3.1.3. 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대구관구 대신학원) 99
      • 3.3.1.4. 수월가톨릭대학교 103
      • 3.3.1.5.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05
      • 3.3.1.6. 대전가톨릭대학교 107
      • 3.3.1.7. 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10
      • 3.3.1.8. 종합 113
      • 3.3.2.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한 학장 설문 조사 117
      • 3.3.2.1. 설문지 구성 118
      • 3.3.2.2. 설문지 분석 119
      • 3.3.2.3. 종합 136
      • 3.4. 전체적 종합 138
      • Ⅲ. 결 론 140
      • 참고문헌 148
      • Abstract and Key word 158
      • <부록 1> 설문지 161
      • <부록 2> 각 신학교 생활 내규집 구성 1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