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Factors Related to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6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factors of successful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ere extra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mplementing inclusion curriculum. A total of 217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Each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measure the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 statistical methods using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PASW)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recognit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and types on inclusion. However it appear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recognition on personal factors, cooperation fact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according to teachers' certificat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factors of successful inclusion for 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factors of successful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ere extra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mplementing inclusion curriculum. A total of 217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Each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measure the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 statistical methods using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PASW)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recognit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and types on inclusion. However it appear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recognition on personal factors, cooperation fact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according to teachers' certifica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이 통합교육 경력, 소지 자격증, 통합교육 유형의 세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통합교육 상황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 할 때에 고려해야 할 통합교육 관련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연구의 참여자는 통합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해 본 경험이 있는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이며, 총 217명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유치원 교유과정 실행은 한 가지 요인으로 보았으며, 통합교육 관련 요인은 통합교육과 관련 있는 교사, 학부모, 유아와 같은 인적요인과 교사, 가족, 기관 간 이루어지는 협력요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요인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변량, 다변량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통합교육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교사들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합교육 관련 요인 전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소지 자격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세부 요인으로 분석을 한 결과, 소지 자격증의 종류에 따라서는 환경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인적요인, 협력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통합교육 유형 및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과 통합교육 유형 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 경력과 통합교육 유형은 통합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교사의 소지 자격에 따라서는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인적요인, 협력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이 통합교육 경력, 소지 자격증, 통합교육 유형의 세 변인에 따라 ...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이 통합교육 경력, 소지 자격증, 통합교육 유형의 세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통합교육 상황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 할 때에 고려해야 할 통합교육 관련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연구의 참여자는 통합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해 본 경험이 있는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이며, 총 217명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유치원 교유과정 실행은 한 가지 요인으로 보았으며, 통합교육 관련 요인은 통합교육과 관련 있는 교사, 학부모, 유아와 같은 인적요인과 교사, 가족, 기관 간 이루어지는 협력요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요인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변량, 다변량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통합교육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교사들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합교육 관련 요인 전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소지 자격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세부 요인으로 분석을 한 결과, 소지 자격증의 종류에 따라서는 환경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인적요인, 협력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통합교육 유형 및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과 통합교육 유형 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 경력과 통합교육 유형은 통합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교사의 소지 자격에 따라서는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인적요인, 협력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와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51-172, 2006

      2 방명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에 대한 인식비교" 36 (36): 65-82, 2001

      3 김경숙,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들의 개별화 교수목표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109-128, 2006

      4 조미경, "통합교육에 필요한 장애유아의 적응 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 47 (47): 47-69, 2008

      5 김재헌,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제6차 체육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6 이병인, "직무연수에 대한 유아특수교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117-149, 2008

      7 서동숙, "제6차 유치원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에 관한 연구.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강경숙, "장애학생의 일반초등학교 통합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9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0 박윤자,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3 (3): 43-66, 2003

      1 최성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와 인식 및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151-172, 2006

      2 방명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에 대한 인식비교" 36 (36): 65-82, 2001

      3 김경숙,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들의 개별화 교수목표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109-128, 2006

      4 조미경, "통합교육에 필요한 장애유아의 적응 기술에 대한 교사의 인식" 47 (47): 47-69, 2008

      5 김재헌,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제6차 체육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6 이병인, "직무연수에 대한 유아특수교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117-149, 2008

      7 서동숙, "제6차 유치원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에 관한 연구.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강경숙, "장애학생의 일반초등학교 통합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교육과정 운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9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0 박윤자,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 3 (3): 43-66, 2003

      11 이소현, "장애 유아 통합교육 실행요소:국내 연구에 나타난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27, 2007

      12 이소현, "유치원 통합교육을 위한과정』의 개발 및 실행 방안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11-135, 2007

      13 부성숙,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4 조현근, "유아특수교육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07년까지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42, 2009

      15 이병인,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49-375, 2010

      16 이병인, "예비 유아특수교사들의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61-81, 2009

      17 노진아, "국내 유아특수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창간호부터 2008년 6월까지 국내 유아특수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32, 2009

      18 박주상,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19 최진영,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실행 형태 및 실행 수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20 이병인, "개정 전·후 특수학교 교육과정 비교분석 및 심층면담을 통한 효율적인 유아특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51-75, 2010

      21 Sailor, W, "Whole-school success and inclusion: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achievement, and accountability" Teachers College Press 2002

      22 Tabachi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3rd ed.)" IIarperCollins Publishers 1996

      23 Odom, S. L., "Mainstreaming at the preschool level: Potential barriers and tasks for the field" 10 (10): 48-61, 1990

      24 Kauffman, J. M, "Diverse knowledge and skills require a diversity of instructional groups" 26 (26): 2-6, 2005

      25 Moore, S., "Curriculum implementation: A survey of teacher's Level of Use "The program and the Six-Years old"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studies(Grades 5-6)"

      26 Thousand, J.,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learning: A practical guide to empowering students and teachers" Paul H. Brookes 2002

      27 Sandall, S. R., "Building blocks for teaching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Inc 2008

      28 허유진,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9 서원정,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공립유아교육교사의 관심 및 실행 -전북지역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