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慶州地域 古代 鐵鏃 硏究 = A Study on the Ancient Iron Arrowhead of Gyeongju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1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보병전을 기본으로 하는 고대전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에게 선재 타격을 가하며 전의를 상실케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런 전쟁 상황에서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핵심적인 원거리 무기는 弓矢이다. 이 중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는 비행체인 矢의 선단에 장착된 것이 鐵鏃이다.
      기원후 시점에 등장한 철촉은 토기류를 제외한 금속유물 중에서 가장 많은 자료가 확보되어 다른 금속유물 보다 시·공간적으로 안정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이는 철촉이 수많은 고분에서 출토된 무기 중에서 변화의 획기가 뚜렷하고 소유에 따른 계층화와 사회변화에 관해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본고는 사로국의 성장에 따른 소국정복을 통해 신라라는 새로운 정치체로 거듭나면서 치열한 대외전쟁 속에서 삼국통일을 이룬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A.D. 1세기~A.D. 6세기까지 고분출토 철촉자료를 검토하였다.
      철촉의 변화는 시·공간적인 흐름에 따라 無莖式 철촉의 등장→ 有莖式 철촉의 신출→ 有頸式 철촉의 신출→ 철촉의 기능분화→ 철촉의 획일화 과정으로 변화·발전된다. 이는 일변하는 사회적인 요구로 실전에 유효한 철촉만이 규격화되어 대량 제작됨으로 해서 신라의 대외 전쟁수행에 따른 군사적인 힘의 원천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보병전을 기본으로 하는 고대전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에게 선재 타격을 가하며 전의를 상실케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런 전쟁 상황에서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

      보병전을 기본으로 하는 고대전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에게 선재 타격을 가하며 전의를 상실케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런 전쟁 상황에서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핵심적인 원거리 무기는 弓矢이다. 이 중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는 비행체인 矢의 선단에 장착된 것이 鐵鏃이다.
      기원후 시점에 등장한 철촉은 토기류를 제외한 금속유물 중에서 가장 많은 자료가 확보되어 다른 금속유물 보다 시·공간적으로 안정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이는 철촉이 수많은 고분에서 출토된 무기 중에서 변화의 획기가 뚜렷하고 소유에 따른 계층화와 사회변화에 관해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본고는 사로국의 성장에 따른 소국정복을 통해 신라라는 새로운 정치체로 거듭나면서 치열한 대외전쟁 속에서 삼국통일을 이룬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A.D. 1세기~A.D. 6세기까지 고분출토 철촉자료를 검토하였다.
      철촉의 변화는 시·공간적인 흐름에 따라 無莖式 철촉의 등장→ 有莖式 철촉의 신출→ 有頸式 철촉의 신출→ 철촉의 기능분화→ 철촉의 획일화 과정으로 변화·발전된다. 이는 일변하는 사회적인 요구로 실전에 유효한 철촉만이 규격화되어 대량 제작됨으로 해서 신라의 대외 전쟁수행에 따른 군사적인 힘의 원천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增全精一, 81 : 1971

      2 禹炳喆, "嶺南地方3~6世紀鐵鏃의 地域性硏究" 慶北大學校 2005

      3 宋桂鉉, "전쟁의 양상과 사회변화 고대의 전쟁과 무기"

      4 박진욱, "우리나라 활촉의 형태의 형태와 변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연구소 1 : 1967

      5 강봉원,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영남지역 고고학 자료를 통해 본 신라의 국가형성:전쟁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25) : 623-656, 2006

      6 李熙濬, "낙동강 以東지방 4·5세기 고분 자료 의 定型性과 그 해석 4·5세기 한일 고고학" 1996

      7 전주농, "고구려시기의 무기와 무장(Ⅱ)" 사회과학원출판사 1 : 1959

      8 전주농, "고구려시기의 무기와 무장(Ⅰ)" 사회과학원출판사 5 : 1958

      9 김성태, "高句麗의 武器(1) -刀劍과 弓矢-" 文化財管理局 26 : 1993

      10 申瀅植, "韓國古代史의 新硏究" 一朝閣 1984

      1 增全精一, 81 : 1971

      2 禹炳喆, "嶺南地方3~6世紀鐵鏃의 地域性硏究" 慶北大學校 2005

      3 宋桂鉉, "전쟁의 양상과 사회변화 고대의 전쟁과 무기"

      4 박진욱, "우리나라 활촉의 형태의 형태와 변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연구소 1 : 1967

      5 강봉원,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영남지역 고고학 자료를 통해 본 신라의 국가형성:전쟁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25) : 623-656, 2006

      6 李熙濬, "낙동강 以東지방 4·5세기 고분 자료 의 定型性과 그 해석 4·5세기 한일 고고학" 1996

      7 전주농, "고구려시기의 무기와 무장(Ⅱ)" 사회과학원출판사 1 : 1959

      8 전주농, "고구려시기의 무기와 무장(Ⅰ)" 사회과학원출판사 5 : 1958

      9 김성태, "高句麗의 武器(1) -刀劍과 弓矢-" 文化財管理局 26 : 1993

      10 申瀅植, "韓國古代史의 新硏究" 一朝閣 1984

      11 金性泰, "韓半島東南部地域出土鐵鏃의 硏究" 成均館大學校 1988

      12 金性泰, "硏究-영남지방 출토품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大學院 1999

      13 國立博物館, "皇吾里四·五古墳皇南里破壞古墳發掘調査報告" 1964

      14 水野敏典, "日韓鐵鏃にみる相對年代觀-古墳時代中期を中心として- 新世 紀の考古學"

      15 李在興, "慶州地域木槨墓硏究" 慶北大學校大學 院 2006

      16 孫明助, "弁·辰韓鐵器의 初現과 展開弁·辰韓의 世界" 1998

      17 金龍星, "大邱·慶山地域古冢古墳의 硏究" 嶺南大學校大 學院 1997

      18 車順喆, "同穴主副槨式木槨墓硏究-洛東江東岸地域을 中心으로-" 慶星大學校大 學院 1999

      19 金榮珉, "伽倻와 新羅의 墓制" 1998

      20 安在晧, "三韓時代後期瓦質土器의 編年-下垈遺蹟을 中心으로-" 14 : 1994

      21 安在晧, "三韓時代後期瓦質土器의 編年-下垈遺蹟을 中心으로-" 14 : 1994

      22 金基雄, "三國時代의 武器小考" 一志社 5 : 1976

      23 金吉植, "三國時代鐵鏃의 硏究-嶺南地方資料를 中心으로-" 慶北大學校文學 1993

      24 金性泰, "三國時代兵器의 硏究-영남지방 출토품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1999

      25 김두철, "三國時代 鐵鏃의 硏究" 백제연구소 43 (43): 85-134, 2006

      26 洪潽植, "6∼7世紀代新羅古墳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2001

      27 李漢詳, "5∼6세기 新羅의 邊境支配方式-裝身具分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4

      28 安順天, "4世紀代鐵鏃에 관한 一小考伽倻通信"

      29 이현주, "3~4세기대 鐵鏃에 대하여" 釜山直轄市立博物 館 2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