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40~50대 만성 요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기요법 및 짐볼 재활 운동이 처치 전․중․후에 표면 근전도, 척추 측만도, 주관적 통증정도, 허리 유연성,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40~50대 만성 요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기요법 및 짐볼 재활 운동이 처치 전․중․후에 표면 근전도, 척추 측만도, 주관적 통증정도, 허리 유연성, 그...
본 연구의 목적은 40~50대 만성 요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기요법 및 짐볼 재활 운동이 처치 전․중․후에 표면 근전도, 척추 측만도, 주관적 통증정도, 허리 유연성, 그리고 허리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5개월 이상 요통을 겪고 있는 만성 요통 환자 37명을 선정하여 수기요법 복합처치 집단 15명, 집볼 운동 복합처치 집단 12명, 그리고 대조군인 매트운동 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각 처치는 3회/주, 12주간 실시되며 수기요법은 매 회 처치시간을 약 20-25분으로 통제하여 실시하였고 짐볼 재활 운동 처치는 개인의 체중을 이용한 강도로 2set, 15회/set를 실시하고 각 회당 동작은 10~15초 정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등․허리 근육의 근활성도 좌․우측 차이값, 척추 측만 각도, 그리고 통증 정도는 수기요법 복합처치를 적용한 경우 6주차부터 유의한 개선 결과를 나타내었다. 짐볼 운동 복합처치를 적용한 경우 12주차부터 유의한 개선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매트운동과 비교하여 두 집단의 복합처치는 유의한 개선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처치 종료 후에 두 복합처치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허리 유연성의 경우 짐볼 운동 복합처치 집단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3)허리 근력의 경우 짐볼 운동 복합처치가 다른 두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단기간 처치의 체형 조정과 통증 완화를 목표로 하는 경우 수기요법 복합처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장기간의 처치와 꾸준한 관리를 목표로 하는 경우 짐볼 운동 복합 처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황에 따른 적합한 처치 방법의 적용으로 근육과 체형의 불균형 및 통증을 완화시켜 일상생활에서도 원활한 신체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12-weeks adjustment therapy & mat exercise program with a 12-weeks Gym-ball & mat exercise program on sEMG(surface electromyograph), Cobb's angle of spinal, VAS(visual analogue scale), low b...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12-weeks adjustment therapy & mat exercise program with a 12-weeks Gym-ball & mat exercise program on sEMG(surface electromyograph), Cobb's angle of spinal, VAS(visual analogue scale), low back flexibility and strength in low back pain patients. Thirty-seven patients as a subject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i.e., adjustment therapy & mat exercise complex treatment group(AG: n=15), Gym-ball & mat exercise complex treatment group(BG: n=12) and mat exercise group(CG: n=10), respectively. The pretest-midtest-posttest randomized-groups design was utilized in this study. In pre test, sEMG(surface electromyograph), Cobb's angle of spinal, pain scale(VAS), low back flexibility and strength were measured. The sEMG test included both sides back muscle activity difference during isometric back extension. The subjects in the AG group progressed adjustment therapy and mat exercise treatment, performed for 5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whereas the subjects in the BG group went through the Gym-ball and mat exercise training, performed for 6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The subjects in the CG group went through mat exercise treatment, performed for 25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In mid-post test, all variables were measured again as same manner as the pre test. The data collected in the pre, mid and post tests at the AG, BG and CG group was analyzed by utilizing RMD two-way ANOVA.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decrease in latissimus dorsi and erector spinae muscle in the AG group and the BG group but the CG group were no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oth sides muscle activity difference.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s CG> AG, BG. 2) The Cobb's ang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decrease in the AG group and the BG group but the CG group were no significant decrease.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s CG> AG, BG. 3) The pain 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decrease in the AG group and the BG group but the CG group were no significant decrease.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s CG> AG, BG. 4) The low back flexi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increase in the BG group but the AG group and the CG group were no significant increase. 5) The back extension strength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all of the group. but the result of Post-hoc test was BG> AG, CG.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