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실제 특수교육현장에서 직업위탁교육이 어떻게 구성되고 실행되는지 알아보고 직업위탁교육을 경험한 교사의 인식과 직업위탁교육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24215
용인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직업재활교육 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371.9043 판사항(22)
경기도
A Qualitative Study on Job-commissioned Education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v, 54장 : 표 ; 30cm.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정연수
참고문헌 : 53-54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실제 특수교육현장에서 직업위탁교육이 어떻게 구성되고 실행되는지 알아보고 직업위탁교육을 경험한 교사의 인식과 직업위탁교육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
본 연구에서는 실제 특수교육현장에서 직업위탁교육이 어떻게 구성되고 실행되는지 알아보고 직업위탁교육을 경험한 교사의 인식과 직업위탁교육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교사와 직업위탁교육 강사가 제안하는 직업위탁교육의 정착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및 경기도 내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직업위탁교육을 경험한 특수교사 4인과 직업위탁교육 강사 4인으로 총 연구 참여자는 8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7월부터 2015년 11월까지이며 경기도에 있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1곳, 중학교 특수학급 1곳, 거점학교 1곳과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3곳, 거점학교 1곳, 종합복지관 1곳에서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취와 기록을 하였으며 사전에 면담에서 이루어질 질문에 대해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안내하였다. 면담은 1회씩 진행하였고 반구조화된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특수교육 현장에서 직업위탁교육의 구성과 실행과정에 대한 결과 도출은 다음과 같다. 직업위탁교육의 의미, 직업위탁교육의 구성, 직업위탁교육의 장소 및 주기, 거점학교 중심 직업교육 시스템, 진로·직업교육 시스템, 진로·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특수교사의 재량으로 운영되는 직업위탁교육, 직업교육을 위한 직업위탁교육 강사의 역할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 입장에서 바라본 장애학생의 직업위탁교육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직업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특수교사의 직업교육 부담, 시간제 강사의 직업위탁교육 문제점, 불합리한 예산편성과 열악한 업무환경, 사전협의가 없는 학교중심 직업위탁교육, 취업과 무관한 직업교육, 학생별 성취평가 부재, 특수교사의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만족도, 직업교육 실시를 위한 사전준비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위탁교육의 정착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제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현장 취업에 적절한 직업교육, 다양한 직업체험교육,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교육, 교·강사 간 협력적 수업진행과 역할, 직업교육의 취업연계, 효과적인 직업교육 탐색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과 경기도 내 특수교사와 직업위탁강사로 직업위탁교육에 대한 경험이 지역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기타 지역의 확대된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 주로 실시되고 있는 직업위탁교육 프로그램의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가 있다. 본 연구과정 중 직업교육에서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의 직업위탁교육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볼 때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