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후준비도와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베이비부머와 단카이 세대의 한·일 비교 = The Effect of Baby Boomer Generation on Aging Preparation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DanKai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72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as a way for happy old age for Korean baby boomer generation and Japanese Dankai generation, and to analyze two group the differenc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prospective Korean and Japanese participants from October 1 to December 30, 2018. 170 Korean and 157 Japanese participants’ answers on the questionnaire were valid for the present stud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factors for retirement preparation, four factors, leisure activity, and two factors,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ial relationship among retirement preparation, leisure activity type, and life satisfaction.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as a way for happy old age for Korean baby boomer generation and Japanese Dankai generation, and to analyze two group the differenc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as a way for happy old age for Korean baby boomer generation and Japanese Dankai generation, and to analyze two group the differenc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prospective Korean and Japanese participants from October 1 to December 30, 2018. 170 Korean and 157 Japanese participants’ answers on the questionnaire were valid for the present stud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factors for retirement preparation, four factors, leisure activity, and two factors,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ial relationship among retirement preparation, leisure activity type, and life satisfaction.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449-470, 2009

      2 통계청, "통계로 본 베이비부머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3 김웅철, "초고령사회 : 일본에서 길을 찾다" 페이퍼로드 2017

      4 조추용,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3) : 135-156, 2009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6 여호근, "여성의 여가활동 참가, 자아 존중감, 재참가 의도의 관계" 7 (7): 193-210, 2007

      7 이진우, "시사경제용어사전" 기획재정부 2010

      8 박혜영, "시니어세대의 여가활동프로그램 참여가 생활 만족도 및 정서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한 ·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8 (18): 23-42, 2018

      9 박혜영, "시니어관광객의 가치관이 관광동기, 관광태도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중·일 관광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7 (17): 59-78, 2017

      10 박관영,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생활 인식 수준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1 김원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449-470, 2009

      2 통계청, "통계로 본 베이비부머 세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3 김웅철, "초고령사회 : 일본에서 길을 찾다" 페이퍼로드 2017

      4 조추용,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43) : 135-156, 2009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6 여호근, "여성의 여가활동 참가, 자아 존중감, 재참가 의도의 관계" 7 (7): 193-210, 2007

      7 이진우, "시사경제용어사전" 기획재정부 2010

      8 박혜영, "시니어세대의 여가활동프로그램 참여가 생활 만족도 및 정서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한 ·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8 (18): 23-42, 2018

      9 박혜영, "시니어관광객의 가치관이 관광동기, 관광태도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중·일 관광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7 (17): 59-78, 2017

      10 박관영,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생활 인식 수준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11 김윤정, "베이비붐 세대의 일, 가족생활,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71-680, 2017

      12 함인희, "베이비붐 세대의 문화와 세대 경험" 나남출판사 2008

      13 정호성,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10

      14 정은경, "베이비부머의 여가활동과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501-512, 2017

      15 이성규,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73-86, 2014

      16 박현식,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 관계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8) : 281-302, 2012

      17 유주희, "베이비부머들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분석 - 서울시 베이비부머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개발학회 16 (16): 75-111, 2016

      18 박태정,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삶을 통해 본 일과 은퇴의 경험적 의미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3 (13): 29-57, 2013

      19 심점숙,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노후준비도와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비치는영향"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2016

      20 안종철,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89-210, 2014

      21 오현숙, "노인의 특성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22 김홍록, "노인의 여가활동을 위한 Recreation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3 (23): 29-43, 2002

      23 문보영,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273-287, 2013

      24 장명숙,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32-266, 2012

      25 윤혜진, "노년기 여가 활동과 삶의 질:노년학의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165-181, 2015

      26 김미라, "관광활동, 치유체험 및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9 (19): 23-43, 2019

      27 최성재,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학" 서울대 출판문화원 2010

      28 이종혁, "團塊世代の引退による沖繩縣の觀光政策變化に關する硏究"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08

      29 Lioyd, K. M., "The role of leisure in determoning quality of life : Issues of content and measurement" 57 (57): 43-71, 2002

      30 성혜영,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회 26 (26): 105-123, 2006

      31 Berg, A. I., "Life Satisfaction in Late Life: Markers and Predictors of Level and Change Among 80+ Year Olds" University of Gothengurg 2008

      32 Mancini, J. A., "Leisur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in old age : Effects of health and income" 26 (26): 550-552, 1978

      33 McGuire, F. A., "Leisure and Aging : Ulyssean Living in Later Life" Segamore 2009

      34 Aslan, N., "An examination of family leisure and family satisfaction among traditional Turkish families" 41 (41): 157-176, 2009

      35 김희정, "1차 베이비붐세대, 2차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간 일 가치관, 여가태도 및 은퇴준비행동 비교" 여가문화학회 14 (14): 17-41,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5-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컨벤션학회 -> 한국마이스관광학회
      영문명 : Korea Convention Sciences Society -> Korea MICE Tourism Societ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2-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컨벤션 연구 -> MICE관광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NVENTION SCIENCES -> JOURNAL OF MICE & TOURISM RESEARCH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5 0.82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