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 평가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9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핵심 역량을 사회과 수업과 평가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핵심 역량이 신장되는 방안을 모색하고, 핵심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 개발을 주요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핵심 역량을 사회과 수업과 평가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핵심 역량이 신장되는 방안을 모색하고, 핵심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 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6개의 주요 역량의 하부 요소에 해당하는 사회과 핵심 역량 평가 요소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선정하여 사회과 수업과 평가를 설계할 때 실제적인 주요 키워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핵심 역량 교육과정과 최근 평가 경향을 근거로 교수·학습 활동과 평가를 사회 수업 시간 내에 동시에 진행하는 ‘수업 밀착형 과정 지향 평가’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핵심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석적-과제 중심 루브릭 개발 절차를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루브릭은 학생 수행의 차이를 각 단계별로 자세하게 서술해 놓았기 때문에, 지적인 역량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역량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고, 학습자들의 성취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그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 할 수 있어서 핵심 역량을 평가하기에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valuation methodology for enhancing key competencies in social studies class and to develop a rubric for evaluating the key competencies, with applying the key competencies quoted in the outline of the renew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valuation methodology for enhancing key competencies in social studies class and to develop a rubric for evaluating the key competencies, with applying the key competencies quoted in the outline of the renewed 2015 school curriculum to social studies class and its evaluation.
      To achieve it, first of all, this study proposes the evaluation elements of key competencies in social studies as the subsystem of six main macroscopic competencies learning in this school curriculum in priority, in order to role main key words when the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class designs practically.
      This study also proposes a process oriented assessment of ‘Close contact with class’ proceeded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nd the evaluation simultaneously on the authority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and recent evaluation trend.
      Add on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rubric that is analytic task centered learning is proposed with examples as the methodology of key competencies evaluation. This kind of rubric can be the most appropriate way to evaluate key competencies, because it can check the characters, problems and the levels of student performance accurately based on the instruction described the gap of student performance stage by stage in detai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사회과 핵심역량 평가 요소와 평가 방향
      • Ⅲ. 루브릭에 대한 이론적 고찰
      • Ⅳ. 핵심역량을 고려한 사회과 평가 방안과 루브릭 개발
      • 요약
      • Ⅰ. 서론
      • Ⅱ. 사회과 핵심역량 평가 요소와 평가 방향
      • Ⅲ. 루브릭에 대한 이론적 고찰
      • Ⅳ. 핵심역량을 고려한 사회과 평가 방안과 루브릭 개발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천, "현장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문음사 2010

      2 교육부,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2013

      3 이광우, "핵심역량과 국가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01-23, 2012

      4 임은진, "핵심 역량 신장을 위한 지리과 평가 방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105-117, 2015

      5 이재희, "학습자 중심 루브릭을 적용한 수행평가가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6 김혜영,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의 변화를 통한루브릭 쓰기의 효과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임은진, "학생 성장을 위한 평가시스템 개선 및평가모델 개발연구"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8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9 노양재, "컴퓨터일반 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의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1) : 243-263, 2006

      10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

      1 김영천, "현장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문음사 2010

      2 교육부,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2013년 국정과제 실천 계획-" 2013

      3 이광우, "핵심역량과 국가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15): 01-23, 2012

      4 임은진, "핵심 역량 신장을 위한 지리과 평가 방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105-117, 2015

      5 이재희, "학습자 중심 루브릭을 적용한 수행평가가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6 김혜영,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의 변화를 통한루브릭 쓰기의 효과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7 임은진, "학생 성장을 위한 평가시스템 개선 및평가모델 개발연구"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8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9 노양재, "컴퓨터일반 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의 개발과 효과 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41) : 243-263, 2006

      10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

      11 정미경, "초, 중등교육체제 개선 방안 연구; 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3

      12 교육부,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학생평가 어떻게 할까요"

      13 교육과학기술부, "창의력 계발 및 인성 함양을 위한 수행평가 활성화 방안 연구" 2010

      14 범선화,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 실험·실습법, 연구보고서법에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5 김현미, "사회과 핵심역량 선정, 의미 상세화 및 위계화"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45-59, 2015

      16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7]"

      17 이근호,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교육과정 탐색: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 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8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연구: 총괄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19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 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20 이근호,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교육 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21 노원경, "루브릭을 활용한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22 방용선, "루브릭을 활용한 초등학생용 학습전략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3 박주만, "국악교육의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 제재곡을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33 (33): 69-100, 2012

      24 윤진향, "공업계고등학교 '전감산기' 수행 평가에서 학생 참여 루브릭이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25 Andrade, H. G., "Using rubricstopromotethingking andlearning" (5) : 13-18, 2000

      26 Smith, J., "Using portfolio assessments with young children who are at risk for school failure" 48 (48): 38-40, 2003

      27 Klieme, E.,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 An expertise"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2004

      28 Erickson, H. L., "Stirring the head,heartand soul: Redefin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Wadsworth 1995

      29 Arter, J., "Scoring rubrics in the classroom; performance criteria for assessing and improving studentper for mance" CorwinPress 2001

      30 Crawford, C. M., "Rubrics: Models of Evaluation within a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2001

      31 Luft, J., "Rubrics: Design and use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1998

      32 Taggart, G. L., "Rubrics: A handbook of construction and use" Scarecrow 1988

      33 Mertler, C. A., "Designing scoring rubrics for your classroom. Practical Assessment" 7 (7): 2001

      34 Stix, A., "Creating rubrics through negotiable contracting" 1996

      35 Banks, J. C., "Creating and assessing performance-based curriculum projects: A teacher’s guide to project-based learn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CATS Publications 1997

      36 Wiggins, G.,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5

      37 소경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5-214,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