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내에 있는 4개 대학교(부산대학교ㆍ부산가톨릭대학교ㆍ부산외국어대학교ㆍ대동대학교)의 학생들. 3개의 공공기관(금정구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98333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부산대학교 대학원 , 예술·문화와영상매체협동과정 , 2019. 2
2019
한국어
700.103 판사항(23)
부산
v, 70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민병욱
참고문헌: p. 65-68
I804:21016-00000013929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부산대학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내에 있는 4개 대학교(부산대학교ㆍ부산가톨릭대학교ㆍ부산외국어대학교ㆍ대동대학교)의 학생들. 3개의 공공기관(금정구청...
부산대학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내에 있는 4개 대학교(부산대학교ㆍ부산가톨릭대학교ㆍ부산외국어대학교ㆍ대동대학교)의 학생들. 3개의 공공기관(금정구청ㆍ(재)금정문화재단ㆍ(재)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4개의 문화시설(금정예술공연지원센터ㆍ부산 음악창작소ㆍ부산 콘텐츠 코리아 랩 금정서브센터ㆍ부산 청년창조발전소 꿈터플러스)가 집중되어 있다.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지구의 제도적 근거 및 국내 문화지구 조성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외 청년문화 지원 및 공간 운영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지역의 청년문화 현황 분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 청년들의 도시 이탈 현상을 방지하고 지역문화예술 진흥을 도모하는 한편, 청년들의 다양한 실험과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는 지역으로서 부산대학로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서 지속발전 가능한 시스템구축을 통해 청년문화에 특화되어있고, 지역을 대표하는 특화된 청년문화지구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가능성에 대해 아래의 결과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부산대학로는 지역 청년들이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미 갖추고 있다.
둘째, 부산대학로는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 인프라 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들을 기반으로 청년문화지구를 조성할 수 있다.
셋째, 부산대학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청년에 특화된 문화지구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고, 지속적인 지원 정책 마련과 문제적 인식을 통하여 청년들을 위한 문화지구로서, 부산을 대표하는 문화중심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