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학대 및 방임이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우울과 또래 애착의 이중매개효과 =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7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in relation to child abuse and neglect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of 1,910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panel study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ECYPS) from 2th through 5th wav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mediated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nd phantom variabl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neglect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but child abuse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Second, both child abuse and neglect affected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medication of depression. Third, child neglect affected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peer attachment, but the impact of child abuse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results of phantom variabl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child abuse and neglect had an indirect effects on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double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in relation to child abuse and neglect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of 1,910 adolescents w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in relation to child abuse and neglect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data of 1,910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panel study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ECYPS) from 2th through 5th wav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mediated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nd phantom variabl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neglect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but child abuse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Second, both child abuse and neglect affected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medication of depression. Third, child neglect affected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peer attachment, but the impact of child abuse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results of phantom variabl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child abuse and neglect had an indirect effects on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double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 및 방임이 각각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에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이 경로에서 우울과 또래 애착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초등학교 4학년 2차-5차년도(2011-2014년도) 조사에 모두 참여한 아동·청소년 1,91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과 팬텀변수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방임은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나, 아동학대는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와 방임은 모두 청소년기 우울을 매개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동방임은 청소년기 또래 애착을 통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아동학대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아동학대와 방임은 모두 청소년기 우울과 또래 애착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공동체의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 및 방임이 각각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에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이 경로에서 우울과 또래 애착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 및 방임이 각각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에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 이 경로에서 우울과 또래 애착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초등학교 4학년 2차-5차년도(2011-2014년도) 조사에 모두 참여한 아동·청소년 1,91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과 팬텀변수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방임은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나, 아동학대는 청소년기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와 방임은 모두 청소년기 우울을 매개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아동방임은 청소년기 또래 애착을 통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아동학대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아동학대와 방임은 모두 청소년기 우울과 또래 애착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공동체의식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구, "한국인의 원초적 공동체사회의식과 사회과교육" 28 (28): 69-97, 1999

      2 진영란, "학생정신건강사업 현황 및 관련 교육 요구도: 초중고 보건교사와 상담교사 대상" 한국학교보건학회 31 (31): 117-126, 2018

      3 정익중,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17-242, 2012

      4 박재숙,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57-182, 2010

      5 김주환, "통계학입문" 正益社 2009

      6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 원경림,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과 진로성숙의 관계연구: 학교유대감, 또래애착,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64) : 1-24, 2018

      8 황여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누적적 경험의 효과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4 (24): 195-221, 2018

      9 김혜진,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8 : 195-214, 2014

      10 우유라,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03-227, 2014

      1 이남구, "한국인의 원초적 공동체사회의식과 사회과교육" 28 (28): 69-97, 1999

      2 진영란, "학생정신건강사업 현황 및 관련 교육 요구도: 초중고 보건교사와 상담교사 대상" 한국학교보건학회 31 (31): 117-126, 2018

      3 정익중, "학대와 따돌림이 청소년기 우울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17-242, 2012

      4 박재숙,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57-182, 2010

      5 김주환, "통계학입문" 正益社 2009

      6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7 원경림,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과 진로성숙의 관계연구: 학교유대감, 또래애착,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64) : 1-24, 2018

      8 황여정,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누적적 경험의 효과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24 (24): 195-221, 2018

      9 김혜진,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8 : 195-214, 2014

      10 우유라,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03-227, 2014

      11 이영라,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538-555, 2018

      12 김상미,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8 (8): 225-242, 2011

      13 조일현,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연구" 안암교육학회 25 (25): 103-125, 2019

      14 이기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학업성취수준 및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7 (27): 105-135, 2017

      15 홍봉선, "청소년복지론" 도서출판 공동체 2013

      16 김지연,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 존중감의 관계"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7 박현정, "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교육연구소 16 (16): 105-127, 2015

      18 강현주, "청소년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22 (22): 25-48, 2015

      19 구지윤, "청소년 체험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87-309, 2016

      20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1 김선숙,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339-363, 2012

      22 김민정, "청소년 우울증상과 학교적응의 상호관계: 학대방임적 양육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6) : 53-86, 2019

      23 조민규, "중학생이 지각한 학대경험과 또래애착,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29-54, 2014

      24 권혜원, "중학생의 민주 시민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5 김재엽, "중복학대 피해 청소년의 우울, 공격성, 비행행동: 신체학대와 방임의 중복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93-213, 2012

      26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한빛아카데미 2019

      27 안은미, "정서학대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201-226, 2013

      28 송연주, "전환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3 (63): 207-231, 2015

      29 오민아,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성취가치의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35 (35): 125-137, 2017

      30 박수원,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성과 공동체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5-32, 2016

      31 이은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도서출판 공동체 2016

      32 Adler, A, "아들러의 인간이해: 세 가지 키워드로 읽는 아들러 심리학" 을유문화사 2016

      33 강현아, "아동학대 사망사건의 유형 및 특성" 한국아동복지학회 (68) : 51-86, 2019

      34 김재엽, "신체학대가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69-191, 2012

      35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36 백종림, "부부폭력목격경험과 학대경험이 아동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21-142, 2013

      37 이혜진, "부모의 학대와 방임이 청소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이해와 정서조절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457-483, 2017

      38 장관방, "부모의 학대가 청소년의 또래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31 (31): 101-130, 2014

      39 김민주,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청소년의 우울 및 비행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한국아동학회 38 (38): 133-148, 2017

      40 유길준, "부모의 정서적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1207-1220, 2018

      41 이동준,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성인용 매체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406-416, 2019

      42 박은정, "부모의 방임과 아동의 학업성취의 관계: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4 (24): 755-768, 2015

      43 최미혜, "부모의 방임․학대 양육방식이 청소년기 자녀의 학교적응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아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59-92, 2016

      44 김혜금, "부모의 방임·학대가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령기 아동의 자아인식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2 (12): 19-36, 2016

      45 김석우, "부모방임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5-123, 2019

      46 정일영, "부모 학대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58) : 71-96, 2019

      47 손예진, "방임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60) : 1-24, 2017

      48 김숙향, "방임 및 학대경험이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자아존중감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6-36, 2018

      49 최수빈,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 우울 및공격성의 매개효과" 30 (30): 63-82, 2018

      50 황미경,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1 이혜영, "공동체적 사회연대 구축을 위한 품성교육의 방향" 3 (3): 113-134, 1993

      52 김광일, "간이 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연구소 1984

      53 이충권, "가정에서의 학대∙방임 피해경험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9 (19): 29-55, 2017

      54 Crosson-Tower, C., "Understanding child abuse and neglect" Pearson Education 2013

      55 Armsden, G. C.,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 individual difference and their relationships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t" 16 (16): 427-454, 1987

      56 Lee, Sophia Seung-yoon, "Rethinking the new risk discussion: Risk shifts in 18 post-industrial economies" COMPASSS 1-46, 2009

      57 Mannarini, T., "Multiple senses of community :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ommunity" 37 (37): 211-227, 2009

      58 Fergusson, D. M., "Mental health, educational, and social role outcomes of adolescents with depression" 59 (59): 225-231, 2002

      59 Schulz, W., "ICCS 2009 Technical Report"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2011

      60 OECD, "How' s Life? 2020: Measuring Well-being" OECD 2020

      61 Sternberg, K. J.,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depression" 29 (29): 44-52, 1993

      62 Crouch, J. L., "Effects of Child Neglect on Children" 20 (20): 49-56, 1993

      63 Dalton, J. H., "Community psychology: linking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adsworth/Thomson 2007

      64 Colman, R. A., "Childhood abuse and neglect and adult intimate relationships : a prospective study" 28 (28): 1133-1151, 2004

      65 Hildyard, K. L., "Child neglect: developmental issues and outcomes" 26 (26): 679-695, 2002

      66 Wolock, I., "Child maltreatment as a social problem : the neglect of neglect" 54 (54): 530-544, 1984

      67 Bowlby, J., "Attachment and loss" Basic Books 1982

      68 Bowlby, J., "A secure base: parent-child attachment and healthy human development" Basic Books 1988

      69 Widom, C. S.,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comorbidity in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grown up" 64 (64): 49-56, 2007

      70 보건복지부, "2018 아동학대 주요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