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76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우리나라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활성화 방안 모색을 전제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관련 연구 자료를 검토하고 유...

      이 논문은 우리나라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활성화 방안 모색을 전제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관련 연구 자료를 검토하고 유관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청취하여 과제와 아울러 미래의 전망을 위한 몇가지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 내 유관부처 간, 자자체간, 종단의 협조를 통해 종교교육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의 보완과 사회 문화적인 인프라 구축이 요청된다.
      둘째, 종단, 종교교육 전문가, 관련 교과담당교사, 학부모, 학생 등으로 구성된 “종교교육 자문단”을 구성하여 교육과정, 교과서, 교사교육, 현장교육 등과 관련된 자문을 구하고 반영할 수 있는 통로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과 교사 및 학부모, 사회 인사를 대상으로 한 다종교문화 이해 교육의 모범적 사례 공모제를 운용함으로써 종교교육의 긍정적 강화의 전기로 활용해 볼 수 있다.
      넷째,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이 공교육의 활성화에 기여는 물론 학교 폭력, 다문화교육 등 우리 사회와 공교육의 현안문제 해결을 하는데 근원적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은 선교나 포교를 위한 방편 보다는 후세대 교육의 명분에 부합되도록 종교단체, 학교, 학부모,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여섯째,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은 특정 종파 위주 교육 보다는 종교문화 위주의 교육이 범교과나 교과교육에서 접근 가능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tasks and prospect of Religious Education base on formation of more activated plan in public schools in Korea. For those, I try to examined the research out put related RE, and consultant ideas from profess...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tasks and prospect of Religious Education base on formation of more activated plan in public schools in Korea. For those, I try to examined the research out put related RE, and consultant ideas from professionalist, teachers, finally provide the some ideas concerning on that. I’d like to abstract the result as follows.
      First, for the real activation of RE in public schools, It need to make up the systematic supplement by way of cooperation with government, municipality and religious orders.
      Second, it need to make up consultant organization of religious education composed with religious order, professionalist, teachers, parents, students. in order to communicate and feedback concerning the curriculum, textbook, teacher education.
      Third, it need to operate the public subscription for picking up model cases on multireligious education, using such system it will be contributed the positive reinforcement of religious education in public schools.
      Fourth, it need to support the adminstration and financially to promote not only for the religious education and also solving the problems pending around the schools such as multicultural education, violence.
      Fifth, it need to provide continuous information service and education to the religious order, schools, parents, students for justifying the education itself rather than taking religious education as a missionary work.
      Finally, it need to try to find the possible way of religious education as a religious cultural based approach than special religious sector based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과제
      • Ⅲ.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전망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과제
      • Ⅲ. 공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전망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종교학회, 문화체육관광부 2011

      2 김석종, "해양정보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손원영, "한국중등학교의 종교교사 자격에 관한 연구" 한국종교교육학회 27 : 31-49, 2008

      4 정진홍, "한국에서의 종교교육의 문제점" 대한민국 학술원 41 : 2002

      5 손희권, "한국 학교교육에서의 종교의 자유" 대한교육법학회 10 : 83-104, 1998

      6 고병철,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 교과교육론" 박문사 2012

      7 고병철, "한국 종교교육의 정황과 방향- 종립 고등학교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21 : 111-141, 2005

      8 류성민, "한․미․일 삼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비교, In 종교교육 비교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009

      9 오동석, "학생인권조례를 둘러싼 몇 가지 헌법적 쟁점" 9 (9):

      10 김귀성, "학교에서 종교교육의 이해" 문음사 2010

      1 한국종교학회, 문화체육관광부 2011

      2 김석종, "해양정보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손원영, "한국중등학교의 종교교사 자격에 관한 연구" 한국종교교육학회 27 : 31-49, 2008

      4 정진홍, "한국에서의 종교교육의 문제점" 대한민국 학술원 41 : 2002

      5 손희권, "한국 학교교육에서의 종교의 자유" 대한교육법학회 10 : 83-104, 1998

      6 고병철, "한국 중등학교의 종교 교과교육론" 박문사 2012

      7 고병철, "한국 종교교육의 정황과 방향- 종립 고등학교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21 : 111-141, 2005

      8 류성민, "한․미․일 삼국의 종교정책과 종교교육 비교, In 종교교육 비교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 종교연구소 2009

      9 오동석, "학생인권조례를 둘러싼 몇 가지 헌법적 쟁점" 9 (9):

      10 김귀성, "학교에서 종교교육의 이해" 문음사 2010

      11 염철현, "평준화 제도 아래에서 학교의 종교교육에 대한 일 고찰-미국 공립 중등학교의 종교교육과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221-242, 2005

      12 박선영, "초․중등학교와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3 : 1997

      13 김유한, "초․중등학교에서의 종교교육 개선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1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교육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91호 별책1; 고시 제2012-3호 별책 1"

      15 김유한, "초 ․중등학교에서의 종교교육 개선방안 연구" 교육인적 자원부 2006

      16 정현숙, "청소년 선도와 종교교육" 11 (11): 1995

      17 류성민, "중‧고등학교 종교교육의 현실과 개선방향-도덕교육에의 기여를중심으로" 현대사회연구소 1994

      18 이경숙, "종교의 자유에 관한 연구 :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9 REF031393295실리, "종교교육이론" 서광사 1992

      20 강돈구, "종교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문화체육관광부․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21 문화관광부, "종교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12-, 2005

      22 양은용, "종교교사의 자질과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27 : 1-9, 2008

      23 김철주, "종교교사의 양성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231-256, 2004

      24 신광철, "종교교과서 개발의 현황과 과제-교육과정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종교교육학회 37 : 1-18, 2011

      25 윤이흠, "종교 다원문화 속에서의 종교교육" 한국종교학회 2 : 1986

      26 김귀성, "종교 교양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2

      27 김정환, "전인교육론" 세영사 1988

      28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수원, "유사통합-종교연수교재"

      29 정갑영, "우리나라의 종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7

      30 홍후조, "선택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에서 과목 선택 교과영역 선택" 한국교육과정학회 19 (19): 19-12, 2001

      31 염철현, "미국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및 활동에 대한 교육법적 검토" 한국교육행정학회 20 (20): 229-248, 2002

      32 해리스, "도덕교육과 종교교육" 집문당 1993

      33 이재일, "다원사회에서 공립학교의 종교교육" 성화대학교 2 : 1993

      34 류성민, "근대 이후 한국 사회변동과 개신교 학교의‘종교교육’: 종교의 자유와 정교분리 문제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51) : 171-212, 2012

      35 손희권, "국교설립금지조항에 비추어 본 국공립학교에서 종교활동의 합헌성여부에 관한 미국대법원 판례분석" 안암교육학회 5 (5): 1999

      36 박범석, "교육의 종교성 회복을 위한 통합적 접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37 박범석,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종교적 경험의 통합적 성격"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161-184, 2004

      38 손충기, "교육과정" 태영출판사 2011

      39 윤학, "교육, 영성만이 답이다" 흰물결 2011

      40 교육과학기술부,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과학기술부 2013

      41 이충원, "공립초등학교에서의 기독교교육 가능성과 실천방안 모색"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2 나희철, "공립 초등학교에서의 낙태 문제 교육을 위한 기독교 세계관적 재량활동 교재 개발"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3 김귀성, "공교육에서 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0) : 5-24, 2011

      44 정웅섭, "공교육과 종교교육 : 초중고교 도덕교육과정 개발과의 관련에서" 한국종교학회 2 : 1986

      45 정진홍, "공교육과 종교교육 : 초․중․고교 도덕교육과정 개발과의 관련에서" 한국종교학회 2 : 1986

      46 平野久美子, "敎師に問われる宗敎敎育とは何か" 明治圖書 2010

      47 賴住光子 外, "宗敎を考える敎育" 敎文館 2010

      48 大森秀子, "多元的宗敎敎育の成立過程" 東信堂 2009

      49 小原國芳, "全人敎育論" 釜山大學校出版部 1999

      50 황준성, "‘종교교육의 자유’의 법리 및 관련 법령·판례 분석" 대한교육법학회 19 (19): 181-208, 2007

      51 Barbara Wikerson, "Multicultural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Press 1997

      52 Christopher Winch, "Key concepts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Routledge 1999

      53 구자억,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01-01 평가 탈락(기타) (계속평가)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3 0.68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