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우즈베키스탄 한국어교육의 연혁과 시대 구분
- Ⅲ. 우즈베키스탄 한국어교육의 주요 지역별 현황 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국,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2007
2 이평래, "중앙아시아학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3 허승철, "중앙아시아의 언어 정책" 이중언어학회 (21) : 329-346, 2002
4 김경근, "중앙아시아 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21-241, 2004
5 문중호,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정체성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한영균, "중앙아시아 3국의 한국어 교육 -교육 현황과 특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303-335, 2009
7 "재외동포재단"
8 노윤환, "재외동포교육기관의 한국어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8
9 안여경,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Valerity S. Khan,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한국 중앙 사학회 24 : 237-240, 2006
1 김보국,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2007
2 이평래, "중앙아시아학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3 허승철, "중앙아시아의 언어 정책" 이중언어학회 (21) : 329-346, 2002
4 김경근, "중앙아시아 한인 민족교육의 실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21-241, 2004
5 문중호,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정체성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 한영균, "중앙아시아 3국의 한국어 교육 -교육 현황과 특징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303-335, 2009
7 "재외동포재단"
8 노윤환, "재외동포교육기관의 한국어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8
9 안여경,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Valerity S. Khan,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한국 중앙 사학회 24 : 237-240, 2006
11 M. A. Xegay, "우즈베키스탄에서의 한국어 학습의 현재와 전망" 이중언어학회 8 (8): 258-271, 1991
12 조윤희, "우즈베키스탄 한인의 언어상황과 한국어의 지위" 재외한인학회 10 (10): 275-312, 2001
13 황류드밀라, "우즈베키스탄 한인들의 장기적인 발전 및 정신적 부흥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13 (13): 31-51, 2000
14 안여경, "우즈베키스탄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현황 및 특징"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5 : 479-493, 2011
15 남 빅토르, "우즈베키스탄 한국어교육 -타슈켄트 국립 니자미 사범대 한국어문학과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34 : 63-76, 2006
16 신효숙, "우즈베키스탄 교육현황 및 발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7
17 "외교통상부"
18 고송무, "소련 동유럽 몽고에서의 한국학 배경 및 현황" 세계문제연구소 21-44, 2002
19 유엔마주르, "러시아와 소련에서의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 이중언어학회 8 (8): 26-41, 1991
20 니자미사범대학교, "니자미사범대학교 역사" 우즈베키스탄니자미사범대학교 2006
21 "국립국제교육원"
22 "국립국어원"
23 "고려인돕기운동본부"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형태 초점 접근법을 적용하는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