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캠퍼스 경계부 계획을 통한 지역사회 교류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configuration of Campus border of University for Interaction with Local Community: Based on Kyung-hee University, young-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45378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희대학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건축대학원 , 건축학과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9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73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관수
        참고문헌 : p. 69-70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universities have come out to our general education facility, overcoming past`s education for a few elite clas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era after Korean War, with an expansion of capacity of the facilities, universities faces new aspect that the capacity exceeds the student`s supply.
      University plays a role of educator of the studies for human society, and has to expand the function of cooperative research activities,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center with its original duty.
      Kyung-Hee Univ. International Campus, as a second campus, was constructed in the outskirt of the Suwon City. And the situation what the campus stood alone in the initiative construction era has been changing that it faces the city itself
      In this study, I would focus to diversify university`s original function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campus and local society through Kyung-Hee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 border configuration plan.
      And with this, I would find the way guaranteeing the enough spaces can satisfy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and the efficient method of the campus`s spaces as the facilities that is going to share with local citizens.
      So I studied as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studi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university. The meaning and function what the university has, is different from each period, and it has changed the function following itself, so I studied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and urban context, and next I studied its architectural form transition. The universities that started as the ‘guild form’ before Renaissance era were on the basis of cities, but had not enough architectural form and its receivers were so poor, too. After Renaissance era, it had been in the city after the recognition that university had an important connection with the city's benefits, also educational studies was executed with deep connection with daily life. The improvement of natural science connected to the university's gigantism and the university had played a role of campus and it's district.
      Second, after recognizing recent university`s feature and studying its examples I would put them to the base of this plan. Among nowadays university, they have been diversified the function with connection with companies, local society contribution program, and the door opening of university`s resources of life and properties.
      Third, after examining the growth process of each university and the efforts for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I studied the possibility with Kyung-Hee Univ. In domestic examples, choosing the universities in Seoul, and in international examples, chose Enric Miralles`s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 OMA`s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
      Fourth, In the basis of the examples before, I recommended the plan on the site around the main gate. And before the zoning plan recommended, I thought that the border development must proceed them, so I planned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what R&D Cluster needs.
      The more it clear the border when different thingsmeet each other, they isolated from each other. Universities have been changed by social needs. When we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when we share what I have, the border will collapse and by putting together what we had each it will make a synergy. In this study, by Campus border plan the universities open their resources, located in the middle of local society I tried to promote the chemical synergy between the university and its local society.
      번역하기

      Nowadays, universities have come out to our general education facility, overcoming past`s education for a few elite clas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era after Korean War, with an expansion of capacity of the facilities, universities faces ne...

      Nowadays, universities have come out to our general education facility, overcoming past`s education for a few elite clas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era after Korean War, with an expansion of capacity of the facilities, universities faces new aspect that the capacity exceeds the student`s supply.
      University plays a role of educator of the studies for human society, and has to expand the function of cooperative research activities,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center with its original duty.
      Kyung-Hee Univ. International Campus, as a second campus, was constructed in the outskirt of the Suwon City. And the situation what the campus stood alone in the initiative construction era has been changing that it faces the city itself
      In this study, I would focus to diversify university`s original function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campus and local society through Kyung-Hee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 border configuration plan.
      And with this, I would find the way guaranteeing the enough spaces can satisfy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and the efficient method of the campus`s spaces as the facilities that is going to share with local citizens.
      So I studied as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studi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university. The meaning and function what the university has, is different from each period, and it has changed the function following itself, so I studied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and urban context, and next I studied its architectural form transition. The universities that started as the ‘guild form’ before Renaissance era were on the basis of cities, but had not enough architectural form and its receivers were so poor, too. After Renaissance era, it had been in the city after the recognition that university had an important connection with the city's benefits, also educational studies was executed with deep connection with daily life. The improvement of natural science connected to the university's gigantism and the university had played a role of campus and it's district.
      Second, after recognizing recent university`s feature and studying its examples I would put them to the base of this plan. Among nowadays university, they have been diversified the function with connection with companies, local society contribution program, and the door opening of university`s resources of life and properties.
      Third, after examining the growth process of each university and the efforts for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I studied the possibility with Kyung-Hee Univ. In domestic examples, choosing the universities in Seoul, and in international examples, chose Enric Miralles`s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 OMA`s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
      Fourth, In the basis of the examples before, I recommended the plan on the site around the main gate. And before the zoning plan recommended, I thought that the border development must proceed them, so I planned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what R&D Cluster needs.
      The more it clear the border when different thingsmeet each other, they isolated from each other. Universities have been changed by social needs. When we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when we share what I have, the border will collapse and by putting together what we had each it will make a synergy. In this study, by Campus border plan the universities open their resources, located in the middle of local society I tried to promote the chemical synergy between the university and its local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의 대학은 과거 소수의 엘리트 계층의 교육기관이었던 것을 벗어나 일반적인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 했다. 전후로부터 산업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대학입학정원, 시설의 확충 등 양적으로 팽창해온 대학은 20세기 말에 들어 대학정원이 입학하는 학생의 수를 초과하여 대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대학은 국가와 인류사회에 필요한 학문 및 그 응용방법을 교육 연구하며, 지도적 인격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산업과의 협력적인 연구활동, 평생교육, 지역사회 중심시설 등의 기능 확대가 필요하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는 제2캠퍼스로 수원시의 외곽에 건설되었으며, 시가지의 확장과 영통신도시의 개발로 인해 개발초기 도시의 외곽에 독립적으로 위치했던 상황이 현재는 도시와 접하는 상황으로 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경계부 계획을 통해 대학기능의 다변화를 꾀하고 지역사회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학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의 확보와 지역주민들과의 공유하는 시설로서 캠퍼스 공간의 효율적 활용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 대학의 형성과 그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대학이 갖는 의미와 기능은 시대마다 다르며, 그에 따라 기능 또한 변해왔다. 대학이 형성된 역사적 과정과 사회적, 도시적 관계를 살펴본 후, 그 건축적 형태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둘째, 현대 종합대학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례를 연구하여 계획의 토대로 삼는다. 오늘날의 대학은 단순히 교육 · 연구의 기능에서 벗어나 산업체와의 연계, 지역사회 공헌프로그램, 대학의 인적, 물적자원 및 시설의 개방 등으로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국내외 대학의 성장과정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연계를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국내사례로는 서울시내 소재의 대학을 선정하여 지역개방 프로그램,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배치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경계지 개발유형으로 지하개발과 담장개방 사례를 조사하였다. 해외사례로는 Enric Miralles의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와 OMA의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를 조사하였다.
      넷째, 위에서 고찰된 건축적 내용들을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정문 주변부지를 대상지로 삼아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마스터플랜에서 제시된 권역별 개발계획에 앞서 정문주변의 경계부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지역주민 공유 프로그램과 학생편의시설, 그리고 R&D Cluster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서로 복합적으로 활용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경계가 분명 할수록 대학은 고립되며 캠퍼스 개발은 대학 내의 활동이 외부로 파급되고, 지역사회의 요구와 관심이 내부로 도입되는 형태로 행해져야 한다. 이와 함께 대학시설의 적극적인 개방과 아울러 주변지역이 갖고 있는 시설과의 네크워크가 필요하다. 필요성이다. 이러한 필요성의 일환으로 국내의 많은 대학이 캠퍼스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개발을 하고 있으며, 대학 내의 지역사회 공유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경계부분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또한 대학의 기능이 변함에 따른 요구 공간의 면적과 개별공간의 크기도 달라지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의 대학은 과거 소수의 엘리트 계층의 교육기관이었던 것을 벗어나 일반적인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 했다. 전후로부터 산업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대학입학정원, 시설의 확충 등 양적...

      오늘날의 대학은 과거 소수의 엘리트 계층의 교육기관이었던 것을 벗어나 일반적인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 했다. 전후로부터 산업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대학입학정원, 시설의 확충 등 양적으로 팽창해온 대학은 20세기 말에 들어 대학정원이 입학하는 학생의 수를 초과하여 대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대학은 국가와 인류사회에 필요한 학문 및 그 응용방법을 교육 연구하며, 지도적 인격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산업과의 협력적인 연구활동, 평생교육, 지역사회 중심시설 등의 기능 확대가 필요하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는 제2캠퍼스로 수원시의 외곽에 건설되었으며, 시가지의 확장과 영통신도시의 개발로 인해 개발초기 도시의 외곽에 독립적으로 위치했던 상황이 현재는 도시와 접하는 상황으로 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경계부 계획을 통해 대학기능의 다변화를 꾀하고 지역사회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학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의 확보와 지역주민들과의 공유하는 시설로서 캠퍼스 공간의 효율적 활용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 대학의 형성과 그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대학이 갖는 의미와 기능은 시대마다 다르며, 그에 따라 기능 또한 변해왔다. 대학이 형성된 역사적 과정과 사회적, 도시적 관계를 살펴본 후, 그 건축적 형태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둘째, 현대 종합대학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례를 연구하여 계획의 토대로 삼는다. 오늘날의 대학은 단순히 교육 · 연구의 기능에서 벗어나 산업체와의 연계, 지역사회 공헌프로그램, 대학의 인적, 물적자원 및 시설의 개방 등으로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국내외 대학의 성장과정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연계를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국내사례로는 서울시내 소재의 대학을 선정하여 지역개방 프로그램,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배치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경계지 개발유형으로 지하개발과 담장개방 사례를 조사하였다. 해외사례로는 Enric Miralles의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와 OMA의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를 조사하였다.
      넷째, 위에서 고찰된 건축적 내용들을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정문 주변부지를 대상지로 삼아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마스터플랜에서 제시된 권역별 개발계획에 앞서 정문주변의 경계부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지역주민 공유 프로그램과 학생편의시설, 그리고 R&D Cluster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서로 복합적으로 활용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경계가 분명 할수록 대학은 고립되며 캠퍼스 개발은 대학 내의 활동이 외부로 파급되고, 지역사회의 요구와 관심이 내부로 도입되는 형태로 행해져야 한다. 이와 함께 대학시설의 적극적인 개방과 아울러 주변지역이 갖고 있는 시설과의 네크워크가 필요하다. 필요성이다. 이러한 필요성의 일환으로 국내의 많은 대학이 캠퍼스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개발을 하고 있으며, 대학 내의 지역사회 공유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경계부분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또한 대학의 기능이 변함에 따른 요구 공간의 면적과 개별공간의 크기도 달라지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 2. 대학의 형성과 변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4
      • 2-1. 대학의 형성배경 = 4
      • 1.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 2. 대학의 형성과 변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4
      • 2-1. 대학의 형성배경 = 4
      • 2-2. 대학의 시대적 변화 = 4
      • 2-2-1. 르네상스 이전 = 4
      • 2-2-2. 르네상스 이후 = 6
      • 2-2-3. 산업혁명 이후 = 7
      • 2-3. 소결 = 9
      • 3. 현대 종합대학의 특성과 공간의 변화 = 11
      • 3-1. 종합대학의 형성 = 11
      • 3-2. 기능의 다양화 = 13
      • 3-3. 공간배치의 변화 = 15
      • 3-3-1. 캠퍼스의 영역확장 = 15
      • 3-3-2. 캠퍼스의 다핵화 = 15
      • 3-4. 경계계획 사례 = 17
      • 3-3-1. 국내사례 = 17
      • 3-3-2. 해외사례 = 25
      • 3-5. 소결 = 27
      • 4. 대상지의 선정 및 계획의 전제사항 = 29
      • 4-1. 계획 대상지의 선정 = 29
      • 4-1-1. 지역적 특성 = 30
      • 4-1-2. 경희대학교 마스터플랜 - 기존안 = 30
      • 4-2. 계획대지 = 32
      • 4-3. 주변 현황 분석 = 34
      • 4-3-1. 대상지 주변 토지이용 분석 = 34
      • 4-3-2. 대상지 주변 동선분석 = 38
      • 4-3-3. 주변 지형 분석 = 40
      • 4-4. 프로그램의 설정 = 41
      • 4-4-1. 캠퍼스 내의 지역개방 가능 프로그램 = 42
      • 4-4-2. 지역사회에 설치된 프로그램 = 43
      • 4-4-3. 계획 프로그램 = 43
      • 5. 지역사회 교류연계를 위한 경계지 계획안 = 46
      • 5-1. 설계목표 = 46
      • 5-2. 설계개념 = 47
      • 5-3. 공간계획 = 48
      • 5-3-1. 배치계획 = 48
      • 5-3-2. 평면계획 = 48
      • 5-3-3. 동선계획 = 50
      • 5-3-4. 단면계획 = 50
      • 5-4. 계획안 제시 = 51
      • 5-4-1. 배치도 = 51
      • 5-4-2. 평면도 = 52
      • 5-4-3. 단면도 = 59
      • 5-4-4. 입면도 = 62
      • 5-4-5. 투시도 이미지 = 64
      • 6. 결론 = 67
      • 참고문헌 = 69
      • ABSTRACT =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