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00년대 이후 일제하 사회운동 연구 동향을 점검하고 사회운동의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 결과로, 세 가지 점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첫째, 그동안 사회운동 연구의 기본 시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00년대 이후 일제하 사회운동 연구 동향을 점검하고 사회운동의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 결과로, 세 가지 점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첫째, 그동안 사회운동 연구의 기본 시각...
이 글은 2000년대 이후 일제하 사회운동 연구 동향을 점검하고 사회운동의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 결과로, 세 가지 점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첫째, 그동안 사회운동 연구의 기본 시각은 사회주의자가 주도한 일종의 조직 확장 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민족독립운동의 부문운동으로 고착되었다. 따라서 사회운동에 참가한 주체들의 능동성이 충분히 규명되긴 어려웠다. 둘째, 2000년대 이후 연구가 1980~ 1990년대보다 크게 위축되었다는 것을 지역사회운동, 청년운동, 학생운동, 소년운동, 노동운동, 농민운동, 여성운동, 형평운동, 협동조합운동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여전히 민족독립운동의 부문이라는 관습적 서사가 반복되고 있는 점 등을 비판하였고, 기존의 틀을 깨기 위한 실험적 연구성과에 주목했다. 셋째, 이 글은 사회운동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의식적으로 민족독립운동과의 ‘긴장’을 회복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짧은 시간대의 사건에 대한 서술, 사회운동 주체들의 일상과 생활에 대한 탐구, 사회운동을 사회와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분석할 것 등을 주요한 과제로 제시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three poi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s of social movement research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ince the 2000’s and searching for the direction for social movement research. First, the basic view of social move...
This article focused on three poi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s of social movement research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since the 2000’s and searching for the direction for social movement research. First, the basic view of social movement research started from a kind of organizational expansion movement led by socialists, and social movement research was fossilized as a part (sector movement)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fully identify the proactivity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social movements. Seco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research after the 2000’s was contracted significantly as compared to the 1980’s and 1990’s by examining the community movement, youth movement, student movement, juvenile movement, labor movement, peasant movement, women's movement, social equity movement, and cooperative movement, etc. This article criticized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narrative, i.e. social movement is a part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as still being repeated, and paid attention to the results of experimental research to break the existing framework. Third, this article emphasized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social movement research should start from consciously restoring ‘tension’ with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n addition, this article presented the following main tasks: to describe events in a short time period, to explore the daily lives of social movement subjects, and to analyze social movements as a process of creating society and commun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예지숙, "회고록을 통해 본 여성독립운동가들의 활동- 허은과 한도신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86) : 395-422, 2019
2 고숙화, "형평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3 김중섭, "형평운동" 지식산업사 2001
4 이균영, "한길 역사강좌 11 일제식민지시대의 민족운동" 한길사 1988
5 김창진, "한국협동조합운동 100년사 2 : 저항과 대안" 가을의아침 2019
6 김성보, "한국협동조합운동 100년사 1 : 이상과 시련" 가을의아침 2019
7 김헌주, "한국사, 한 걸음 더" 푸른역사 2018
8 김경일, "한국노동운동사 2-일제하의 노동운동 : 1920~1945" 지식마당 2004
9 한국역사연구회 근현대청년운동사연구반, "한국근현대청년운동사" 청년사 1995
10 이경란, "한국근현대사에서 공생적 관점의 도입과 협동조합운동사" 한국사학회 (116) : 339-382, 2014
1 예지숙, "회고록을 통해 본 여성독립운동가들의 활동- 허은과 한도신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86) : 395-422, 2019
2 고숙화, "형평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3 김중섭, "형평운동" 지식산업사 2001
4 이균영, "한길 역사강좌 11 일제식민지시대의 민족운동" 한길사 1988
5 김창진, "한국협동조합운동 100년사 2 : 저항과 대안" 가을의아침 2019
6 김성보, "한국협동조합운동 100년사 1 : 이상과 시련" 가을의아침 2019
7 김헌주, "한국사, 한 걸음 더" 푸른역사 2018
8 김경일, "한국노동운동사 2-일제하의 노동운동 : 1920~1945" 지식마당 2004
9 한국역사연구회 근현대청년운동사연구반, "한국근현대청년운동사" 청년사 1995
10 이경란, "한국근현대사에서 공생적 관점의 도입과 협동조합운동사" 한국사학회 (116) : 339-382, 2014
11 김동춘, "한국 사회운동 100년 정치변혁에서 ‘사회만들기’로" 44 : 1999
12 이타가키 류타, "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경북 상주의 식민지 경험" 혜안 2015
13 이윤갑, "한국 근대 지역사회 변동과 민족운동-경상도 성주의 근대전환기 100년사" 지식산업사 2019
14 김경일,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 문학과지성사 2004
15 김인식, "최용신의 농촌운동론-농촌계몽론자에서 브나로드운동론가로-" 숭실사학회 31 (31): 115-156, 2013
16 이기훈,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근대, 청년을 호명하다" 돌베개 2014
17 지수걸, "지방유지의 '식민지적' 삶" 역사문제연구소 (90) : 156-180, 2010
18 홍양희, "제국 일본의 ‘여공’이 된 식민지 조선의 여성들: 그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사학회 (29) : 247-286, 2018
19 김이경, "일제하 한국 협동조합운동의 형성과 전개 : 개념·주체·연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2022
20 소현숙, "일제하 중등학교 여학생의 일상에 대한 규율과 통제" 한국여성사학회 (31) : 243-282, 2019
21 조성운, "일제하 농촌사회와 농민운동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혜안 2002
22 양지혜, "일제하 개발의 충격과 농촌사회의 재편: 함경남도 신흥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40) : 215-256, 2021
23 이아리, "일제하 ‘가사사용인’의 등장과 그 존재 양상" 60 : 2014
24 이명학, "일제시기 철거반대운동의 추이와 조직화 양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4) : 261-303, 2021
25 한상구, "일제시기 지역주민의 집합행동과 ‘공공성’" 역사문제연구소 18 (18): 109-134, 2014
26 허영란, "일제시기 지역주민운동의 전개과정 분석 ―장시를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3 (13): 213-249, 2009
27 이용기, "일제시기 지역 사회운동의 주도세력 변화와 그 함의 - 전남 장흥군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8 (18): 178-211, 2014
28 박종린, "일제시기 순천권의 재편과 사회운동의 지역적 양상" 대동문화연구원 (68) : 365-396, 2009
29 김광규, "일제강점기 학교의 이면 : 성차별과 성폭력" 역사교육학회 (75) : 193-234, 2020
30 한규무, "일제강점기 王在德의 농촌교육사업과 신천농민학교" 숭실사학회 (36) : 197-219, 2016
31 정일영, "일제 식민지기 남성의 ‘여성해방’ 담론 소비 방식 - 1920년대 잡지로 보는 담론의 전략과 (비)웃음의 정치 -" 역사학연구소 (32) : 7-55, 2017
32 김종준, "일제 시기 충북 지역의 주민대회와 학교비 갈등" 역사교육연구회 (158) : 73-112, 2021
33 김재영, "일제 강점기 형평운동의 지역적 전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34 차철욱, "일제 강점기 김해 지역 농촌의 식민지배와 농민의 일상- 김영순 일기 분석을 중심으로" 부경역사연구소 (46) : 213-248, 2020
35 임혜영, "일기를 통해서 본 일제강점기 농촌 청년의 일상생활" 전북사학회 (47) : 177-202, 2015
36 소현숙,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역사비평사 2017
37 김태웅, "이주노동자, 그들은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왔나 - 일제 강점기 중국인 노동자와 한국인" 아카넷 2016
38 박용옥, "윤봉길의사의 농촌운동"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2) : 289-321, 2009
39 현명호, "원산총파업의 공간적 전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3) : 125-169, 2021
40 최보민, "원산총파업 참여 노동자층 연구" 성균관대학교 2022
41 장영은, "아지트 키퍼와 하우스 키퍼 ―여성 사회주의자의 연애와 입지" 대동문화연구원 (64) : 185-214, 2008
42 박찬승, "식민지 조선 사회운동의 발전과 국제적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6) : 21-52, 2006
43 김현주, "사회의 발견-식민지기 ‘사회’에 대한 이론과 상상, 그리고 실천(1910~1925)" 소명출판 2013
44 김중섭, "사회운동의 시대 : 일제 침략기 지역 공동체의 역사 사회학" 북코리아 2012
45 방기중, "방기중 저작집 4 : 근현대의 지식인과 경제사상" 연세대학교출판부 2010
46 홍석률, "민주주의 잔혹사 : 한국현대사의 가려진 이름들" 창비 2017
47 이임하,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한국 페미니즘의 기원, 근우회" 철수와영희 2021
48 김영미, "동원과 저항-해방 전후 서울의 주민사회사" 푸른역사 2009
49 김정인,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민주주의 개념으로 독립운동사를 새로 쓰다" 책과함께 2017
50 김경일, "노동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51 김원, "노동사로부터 거리 두기: 재현, 역사서술 그리고 정치적인 것" 한국사회사학회 (85) : 125-154, 2010
52 정병욱, "낯선 삼일운동, 많은 인민을 이길 수 없다" 역사비평사 2022
53 장원아, "근우회와 조선여성해방통일전선" 역사문제연구소 23 (23): 391-431, 2019
54 강이수, "가사 서비스 노동의 변화의 맥락과 실태" 한국사회사학회 (82) : 213-247, 2009
55 이용철, "衡平社의 성격변화와 쇠퇴" 한국근현대사학회 (62) : 176-212, 2012
56 김원, "‘사건’을 통해 드러내는 사라진 목소리들-홍석률, 「민주주의 잔혹사: 한국현대사의 가려진 이름들」, 창비, 2017" 71-72 : 2017
57 소현숙, "3․1운동과 정치 주체로서의 ‘여성’" 한국학연구소 51 : 385-414, 2019
58 우지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국사』 교과서의 독립운동사 구성 방식 검토" 역사교육연구회 (156) : 1-37, 2020
59 조영득, "1930년대 경북지역의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연구" 안동대학교 2019
60 김성민, "1929년 광주학생운동" 역사공간 2013
61 최보민, "1925년 예천사건에 나타난 반형평운동의 함의" 수선사학회 (58) : 33-76, 2016
62 이기훈, "1920년대 전남지방의 청년단체와 청년운동―사회정치적 공간의 구성과 변화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5 (15): 171-208, 2011
63 김경태, "1920년대 무안군 도서지역의 소작쟁의와 지역사회" 24 : 2015
64 김승, "1920년대 경남동부지역 청년운동" 부산대학교 2003
65 최보민, "1920년대 개성의 사회운동과 비밀결사 개성공산당-사회운동과 지역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소 (37) : 81-128, 2019
66 김권정, "1920~1930년대 유재기의 농촌운동과 기독교사회사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60) : 165-207, 2009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통해서 본조선중기와 임진왜란- 김경록, 조선중기 한중군사관계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