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입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3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신입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program 22.0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총 176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F =33.38, p <.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usted R2)는 .36로 나타났다. 희망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지각된 건강상태 순이며,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신입간호사의 희망과 예측요인을 고려하여 주어진 간호업무에 만족할 수 있도록 근무조건 및 환경을 조성하기위한 병원 차원에서의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신...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신입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program 22.0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총 176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으며(F =33.38, p <.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usted R2)는 .36로 나타났다. 희망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지각된 건강상태 순이며, 직무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신입간호사의 희망과 예측요인을 고려하여 주어진 간호업무에 만족할 수 있도록 근무조건 및 환경을 조성하기위한 병원 차원에서의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new nurses"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hope. For the research method, data was collected for new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and for data analysis, SPSS program 22.0 version was used, and a total of 176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model of this study was significant (F =33.38, p <.001), the adjusted regression coefficient (Adjusted R2) indicat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is found to be 0.36..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hope were in the order of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job stress was shown to be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policy effort at the hospital level to create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 so that they can be satisfied with the given nursing work, taking into account the new nurse"s hope and predictive factors.
      번역하기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new nurses"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hope. For the research method, data was collected for new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and...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new nurses"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hope. For the research method, data was collected for new nurses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and for data analysis, SPSS program 22.0 version was used, and a total of 176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model of this study was significant (F =33.38, p <.001), the adjusted regression coefficient (Adjusted R2) indicat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is found to be 0.36..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hope were in the order of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job stress was shown to be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policy effort at the hospital level to create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 so that they can be satisfied with the given nursing work, taking into account the new nurse"s hope and predictive f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점,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331-360, 2015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2006 (2006): 252-253, 2006

      3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4 김혜숙, "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사건과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 26 (26): 218-229, 2020

      5 송인숙,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특성 및 직무만족, 건강상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6 변대식,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5 (15): 444-454, 2009

      7 서정선, "임상간호사의 건강지각과 건강상태의 관계" 한국재활간호학회 5 (5): 71-85, 2002

      8 한현희,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 적용의 효과: 리더십, 문제 해결능력, 일상적 창의성, 비판적사고 성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7 (17): 17-30, 2016

      9 금선미, "여대생이 지각한 희망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성태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19

      1 김미점,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331-360, 2015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2006 (2006): 252-253, 2006

      3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4 김혜숙, "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사건과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 26 (26): 218-229, 2020

      5 송인숙,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특성 및 직무만족, 건강상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6 변대식,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 간호행정학회 15 (15): 444-454, 2009

      7 서정선, "임상간호사의 건강지각과 건강상태의 관계" 한국재활간호학회 5 (5): 71-85, 2002

      8 한현희,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액션러닝 교수학습 방법 적용의 효과: 리더십, 문제 해결능력, 일상적 창의성, 비판적사고 성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7 (17): 17-30, 2016

      9 금선미, "여대생이 지각한 희망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성태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19

      11 박계숙,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3

      12 윤숙희, "신규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대처 정도, 병원생활적응도 및 직업만족도 : 개인의 성격 유형에 따른 변화 비교" 간호행정학회 12 (12): 491-500, 2006

      13 유옥임, "신규간호사 예비교육 만족도와 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14 이영희, "성인간호학 1" 정담미디어 2011

      15 강이영, "상담과정 희망척도의 개발과 적용" 2003 (2003): 453-454, 2003

      16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7 도윤경, "사회적 지원을 고려한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태도와의 관계" 1 (1): 293-323, 1999

      18 이명희, "병원간호사의 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19 이임정, "변혁적 리더십의 개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의 자존감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교육학회 27 (27): 191-212, 2012

      20 황미혜, "노인의 자가간호와 안녕에 관한 구조모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0

      21 김학순, "남. 여 고등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연구" 6 (6): 89-100, 1993

      22 이숙, "간호사의 외상후성장, 외상사건경험 및 인지정서조절 간 관계" 대한스트레스학회 26 (26): 31-37, 2018

      23 박미정,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및 희망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34-41, 2016

      24 Iacovides, A.,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clinical depression" 75 (75): 209-221, 2003

      25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1, 1996

      26 병원간호사회, "Survey of hospital nursing staffing status"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7 Lim, J., "Stress and coping in Australian nurses : a systematic review" 57 (57): 22-31, 2010

      2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for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596, 1988

      29 Gillespie, B. M., "Resilience in the operatingroom : Developing and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59 (59): 427-438, 2007

      30 Speake, D. L.,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12 (12): 93-100, 1989

      31 Greenhaus, J. H.,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job performance evaluations and career outcomes" 33 (33): 64-86, 1990

      32 Farmer, M. M., "Distress and perceived health : Mechanisms of health decline" 38 (38): 298-311, 1997

      33 Snyder, C. R., "Deveopment and Validation of state Hope Scale" 2 : 321-335, 1996

      34 Pipe, T. B., "Build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resources ofresilience and agility in the healthcare work place" 28 : 11-2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