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놀잇감에 대한 바른 교육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 시간 동안 놀잇감에 대한 유아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놀잇감의 의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35151
2010
-
375.05
KCI등재
학술저널
325-350(26쪽)
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놀잇감에 대한 바른 교육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 시간 동안 놀잇감에 대한 유아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놀잇감의 의미...
본 연구는 놀잇감에 대한 바른 교육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 시간 동안 놀잇감에 대한 유아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놀잇감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A구에 위치한 유치원 만 4세 학급인 유아 26명(남아 11명, 여아 15명)이며, 연구 방법으로는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참여관찰 및 유아와 교사와의 비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개인적 맥락에서 유아들은 놀잇감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기, 놀이하며 즐겁게 학습하기를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유아들은 놀잇감을 매개체로 하여 자신의 경험을 타인의 경험과 공유하면서 새롭고 친밀하며 배타적인 또래 관계를 형성하고 문화에서 요구하는 가치와 의미를 답습하는가 하면 그 의미를 나름대로 계속 변화시켜 또래들과 공유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way children experience play material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at kindergarten, in order to prepare a suitable foundation for providing meaningful play material. Subjects are 26 children (11 boys, 15 girls), all 4 years...
This study examines the way children experience play material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at kindergarten, in order to prepare a suitable foundation for providing meaningful play material. Subjects are 26 children (11 boys, 15 girls), all 4 years of age, at Pureu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Methodology consisted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carried out during free-choice activity time and informal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1) the children freely expressed their individual emotions, appeared to be learning happily as they played with the play materials; 2)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 while the children formed new, close and exclusive peer relationships as they shared their experiences with one another, using the play material as medium, and following the values and significance demanded by their shared culture, they were also making new culture through sharing with their peers, thus continuously changing the materials' significance in new way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미라, "한국의 현대적 아동관에 대한 탐색. 신문기사(1960-2000)를 중심으로" 창지사 2006
2 김보람, "하늘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단짝친구 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적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 임부연,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과정의 미학적 탐색: 해체를 넘어 생성을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07-230, 2005
4 이숙재, "제3판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4
5 이병용, "장난감을 버려라. 아이의 인생이 달라진다" 살림출판사 2005
6 김민화, "장난감 중심 상호작용 상황에서 보이는 영아-어머니의 주도성과 반응성"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9-36, 2004
7 오정희, "자연친화적 놀잇감을 활용한 유아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신유림, "유아의 친구관계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42, 2004
9 이숙재, "유아의 상상놀이와 놀이감에 관한 연구" 20 (20): 185-192, 1982
10 Hughes, F. P, "유아의 놀이와 발달" 창지사 1994
1 정미라, "한국의 현대적 아동관에 대한 탐색. 신문기사(1960-2000)를 중심으로" 창지사 2006
2 김보람, "하늘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단짝친구 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적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 임부연,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과정의 미학적 탐색: 해체를 넘어 생성을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07-230, 2005
4 이숙재, "제3판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04
5 이병용, "장난감을 버려라. 아이의 인생이 달라진다" 살림출판사 2005
6 김민화, "장난감 중심 상호작용 상황에서 보이는 영아-어머니의 주도성과 반응성"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19-36, 2004
7 오정희, "자연친화적 놀잇감을 활용한 유아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신유림, "유아의 친구관계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42, 2004
9 이숙재, "유아의 상상놀이와 놀이감에 관한 연구" 20 (20): 185-192, 1982
10 Hughes, F. P, "유아의 놀이와 발달" 창지사 1994
11 변홍규, "유아를 위한 놀잇감 평가 기준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1983
12 오채선, "유아들의 놀이에 나타나는 우정에 대한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223-247, 2004
13 송순재, "유아교육의 정신과 철학" 38-59, 2003
14 이경화, "유아 쌓기 놀이에서 실물소품의 역할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175-195, 2008
15 엄정애, "영유아 놀이와 교육" 교문사 2009
16 김복남, "어린이 놀이 완구의 캐릭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17 Davis, N. Z., "선물의 역사: 16세기 프랑스의 선물 문화" 서해문집 2004
18 오은순, "블록의 유형과 수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19 양옥승, "물리적 환경구성과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21-40, 2005
20 배지희, "또래관계에서 유아가 사용하는 요구전략과 반응기술:친구관계와 비친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63-84, 2006
21 오채선, "또래 문화에서 유아들이 사용하는 놀잇감의 의미" 4 (4): 55-78, 2005
22 전종찬, "디지털시대에서의 새로운 장난감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322-329, 2003
23 엄정애, "놀잇감의 실물성(Realism)이 유아의 사물에 대한 가작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24 엄정애, "놀잇감의 구조성이 사회적 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21 (21): 85-109, 2002
25 신은수, "놀이와 유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26 Frost, J. L., "놀이와 아동발달" 정민사 2005
27 신나리, "놀이감의 구조성이 아동의 상상놀이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4
28 지성애, "놀이감 구조성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 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3 (43): 93-114, 2005
29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8
30 유혜령, "교수매체 환경과 아동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18 (18): 131-151, 1998
31 홍정선, "‘장난감 없는 교실’에 나타난 유아의 놀이 경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429-457, 2008
32 Sutton-Smith, B., "Toys as culture" Gardner Press 1986
33 Corsaro, W. A., "The sociology of childhood" Pine Froge Press 1997
34 Johnson, J. E., "The preschool classroom and sex differences in children's play. in: Social and cognitive skills: Sex roles and children's play" Academic Press 1983
35 McLoyd, V. C., "The effects of the structure of play objects on the pretend play of low-income preschool children" 54 : 626-635, 1983
36 Bogdan,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Allyn & Bacon 2006
37 Freeman, N. K., "Preschoolers' perceptions of gender appropriate toys and their parents' beliefs about genderized behaviors: Miscommunication, mixed message r hidden truths" 34 (34): 357-366, 2007
38 Winnicott, D. W., "Playing and Reality" Basic Books 1971
39 Johnson, J. E., "Play,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Allyn and Bacon 2005
40 Johnson, J. E.,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2nd ed.)" 정민사 2001
41 Howes, C.,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53 : 1988
42 Wardle, F., "Multiethnic and multiracial children in schools" Allyn and Bacon 2004
43 Leaper, C., "Mother-child communication sequences: Play activity, child gender, and marital status effects" 41 (41): 307-327, 1995
44 Wardle, F.,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child-centered care and learning" Allyn and Bacon 2003
45 박영민, "Interactive toy design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46 Saracho, O. N.,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formation age publishing 2003
47 Dodge, M. K., "Children's dramatic play: Influence of thematic and nonthematic settings" 62 (62): 116-170, 1986
48 Vandenberg, D., "Being and education: An essay in existential phenomenlogy" Prentice-Hall 1998
49 Wardle, F., "Are we shortchanging boys?" 79 : 48-51, 1991
50 신유림, "4,5세 유아의 놀이감 종류에 따른 가상이야기 꾸미기" 18 (18): 53-63, 1997
유아의 통합적 창의성 증진을 위한 창의극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72 | 2.72 | 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74 | 2.67 | 3.087 | 0.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