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ation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8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ing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to cultivate right understanding toward North Korean society and rational perception of unification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ethnic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and also to build the consciousness and attitude that will achieve unification in a peaceful way. For developing the program, this paper, with requested survey of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and with study of references, consists of a purpose, objective, and education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re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mainly consist of having an identity as a people of Korea(historical identity, cultural identity, identity as Korean in the worl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understanding of culture, language, food, and nature of North Korea), reconcil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between individuals, groups, and nations), and peaceful unification(peace, unifi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ing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to cultivate right understanding toward North Korean society and rational perception of unification based on the c...

      The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ing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to cultivate right understanding toward North Korean society and rational perception of unification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ethnic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and also to build the consciousness and attitude that will achieve unification in a peaceful way. For developing the program, this paper, with requested survey of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and with study of references, consists of a purpose, objective, and education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re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ing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mainly consist of having an identity as a people of Korea(historical identity, cultural identity, identity as Korean in the world), understanding of North Korea(understanding of culture, language, food, and nature of North Korea), reconcili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between individuals, groups, and nations), and peaceful unification(peace, unifi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에게 민족공동체 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통일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함양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실현할 수 있는 의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및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갖기(역사적 정체성, 문화적 정체성,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북한에 대한 이해(북한 문화 이해, 북한 언어 이해, 북한 음식 이해, 북한 자연 이해), 남북한 간의 화해(개인 간의 화해, 집단 간의 화해, 국가 간의 화해), 평화통일(평화, 통일)을 주된 내용요소로 하여 구성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에게 민족공동체 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통일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함양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실현할 수 있는 의식과...

      본 연구는 유아에게 민족공동체 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통일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함양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실현할 수 있는 의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및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갖기(역사적 정체성, 문화적 정체성,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북한에 대한 이해(북한 문화 이해, 북한 언어 이해, 북한 음식 이해, 북한 자연 이해), 남북한 간의 화해(개인 간의 화해, 집단 간의 화해, 국가 간의 화해), 평화통일(평화, 통일)을 주된 내용요소로 하여 구성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경, "통합적 통일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 최민수, "통일한국의 유아교사 양성 및 재교육 방안 조사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477-502, 2011

      3 박혜숙, "통일을 주제로 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4 최민수, "통일교육 관련 교육활동 자료 개발을 위한 유아 통일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263-286, 2002

      5 정향진, "탈북 청소년들의 감정성과 남북한의 문화심리적 차이" 비교문화연구소 11 (11): 81-111, 2005

      6 이수정, "접촉지대와 경계의 (재)구성: 임대아파트 단지 남북한출신주민들의 갈등과 협상" 심연북한연구소 17 (17): 85-126, 2014

      7 최민수, "유치원의 통일교육 활동 적용에 관한 연구" 6 (6): 125-145, 2001

      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미래앤 컬쳐그룹 2008

      9 윤기영, "유아사회교육" 양서원 2008

      10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통일교육 활동 지도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1

      1 김영경, "통합적 통일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효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 최민수, "통일한국의 유아교사 양성 및 재교육 방안 조사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477-502, 2011

      3 박혜숙, "통일을 주제로 한 통합적 교육활동이 유아의 북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4 최민수, "통일교육 관련 교육활동 자료 개발을 위한 유아 통일교육 내용요소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263-286, 2002

      5 정향진, "탈북 청소년들의 감정성과 남북한의 문화심리적 차이" 비교문화연구소 11 (11): 81-111, 2005

      6 이수정, "접촉지대와 경계의 (재)구성: 임대아파트 단지 남북한출신주민들의 갈등과 협상" 심연북한연구소 17 (17): 85-126, 2014

      7 최민수, "유치원의 통일교육 활동 적용에 관한 연구" 6 (6): 125-145, 2001

      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미래앤 컬쳐그룹 2008

      9 윤기영, "유아사회교육" 양서원 2008

      10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통일교육 활동 지도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1

      11 이원영, "유아를 위한 통일교육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1

      12 최양미, "유아기 통일교육의 방향 탐색" 9 : 219-240, 2001

      13 이명희, "유아교육에서의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7 (7): 361-390, 2000

      14 지성애, "유아 통일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 10 (10): 229-259, 2003

      15 김규수, "유아 통일교육과 유아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119-141, 2004

      16 윤인진, "소수자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의 과제 : 북한이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7 (7): 41-92, 2006

      17 북한인권정보센터, "새터민 정착상황 종합실태조사" 북한인권정보센터 2005

      18 유지웅, "북한이탈주민의‘사회적 배제’연구 : 소수자의 관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19 박성재,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통합제고를 위한 취업지원제도 개선방안" 91-109, 2012

      20 윤인진,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상호인식"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0

      21 김옥,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연구동향 (2011~2015년)"

      22 윤인진,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착지원방안" 아세아문제연구소 50 (50): 106-143, 2007

      23 윤인진, "북한이주민의 건강과 경제적응의 관계" 한국보건사회학회 (21) : 67-99, 2007

      24 김경희, "만5세 유아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지도 연구"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5 정미연, "그림책을 통한 통일교육 활동을 경험한 유아의 통일 관련 인식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6 윤인진, "국내탈북자의 건강 및 의료" 한국보건사회학회 17 : 147-172, 2005

      27 김숙자, "교수-학습 과정 기본 모형에 터한 유아 통일 교육 관련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51-69, 2003

      28 김학님, "교사의 통일관 및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서울· 경기 지역 중·고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9 박동주, "고등학교 통일교육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시범/비시범 학교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0 통일부, "2017 통일백서" 통일부 2017

      31 통일교육원, "2012 학교용 통일교육 지침서"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2

      32 통일부, "2011통일교육지침서(초등용)"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1

      33 문화체육관광부, "2008 이주민 문화향수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2 1.92 2.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3 2.33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