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민정책의 법제와 헌법적 과제 = Immigration policy Legislation and Constitutional Respon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8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2000 there has been a global trend towards a policy shift towards expansion and inclusion in immigration policy.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o these global changes. This paper examines 3 different periods in immigration policy in the last 20 years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has taken a key role on immigration polic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as taken a key role on public diplomacy. But immigration policy and public diplomacy are two different things. A joint between immigration policy and public diplomacy is a new idea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and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ecided to break with the long tradition and try something new. And this joint is quite without precedent.
      Immigration policies study that make up the type of membership and the legal status in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acroscopic at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The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problems began in earnest after the 2006 immigration policy and a variety of other programs actively developed multicultural society. Also, It’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the installation such as social integration support measures of immigrant women family, mixed race and immigrant support measures, limiting the treatment of foreigner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us, immigration policy and the multicultural reality of domestic support policies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evel. In additi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ctors for the disorder should be considered highly and immigration policy by setting a clear direction and goals of the system and must go step by step.
      So, this paper asks whether international migration can reverse or at least slow anticipated aging trends in Korea.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atalist policy and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in Korea, international migration trends around Korea, replacement migration in future Korea, and current issu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of Korea.
      번역하기

      Since 2000 there has been a global trend towards a policy shift towards expansion and inclusion in immigration policy.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o these global changes. This paper examines 3 different periods in immigration policy in the last 20 ye...

      Since 2000 there has been a global trend towards a policy shift towards expansion and inclusion in immigration policy.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o these global changes. This paper examines 3 different periods in immigration policy in the last 20 years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has taken a key role on immigration policy.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as taken a key role on public diplomacy. But immigration policy and public diplomacy are two different things. A joint between immigration policy and public diplomacy is a new idea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and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ecided to break with the long tradition and try something new. And this joint is quite without precedent.
      Immigration policies study that make up the type of membership and the legal status in multicultural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acroscopic at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The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problems began in earnest after the 2006 immigration policy and a variety of other programs actively developed multicultural society. Also, It’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the installation such as social integration support measures of immigrant women family, mixed race and immigrant support measures, limiting the treatment of foreigner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us, immigration policy and the multicultural reality of domestic support policies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level. In additi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ctors for the disorder should be considered highly and immigration policy by setting a clear direction and goals of the system and must go step by step.
      So, this paper asks whether international migration can reverse or at least slow anticipated aging trends in Korea.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atalist policy and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in Korea, international migration trends around Korea, replacement migration in future Korea, and current issu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policy of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민정책이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2004년 고용허가제 그리고 2007년 방문취업제 및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의 시행 등으로 한국의 이민정책도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흔히 ‘다문화 정책’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의 공문서에서는 한글로는 ‘외국인 정책’, 영어로는 ‘immigration policy’가 사용된다. 그리고 법무부는 국적법을 고려하여 ‘이민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여성가족부 등 다수의 중앙부처에서는 관례적으로 ‘다문화 정책’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처럼 용어도 통일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온정주의에 기초한 지원에 치중하는 반면 사회통합의 역할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다양성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사회통합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즉 사회통합을 가져오는 것은 다양성의 양적 증가가 아니라 다양성을 인정하는 개방적 태도의 질적 증가이다.
      다문화 시대의 이민정책은 국가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유형과 법적 지위에 대한 연구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거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는 다문화사회의 이민정책이라는 문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7년 이후 각종의 이민정책과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였고, 여성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대책, 혼혈인 및 이주자 지원방안, 재한외국인 처우개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설치 등의 사회통합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민정책 및 다문화 지원정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실태를 고려하여 그 수준을 결정해야 하고, 체류 외국인의 인권을 국제적 수준으로 보장하는 문제를 포함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토대로 장애 요인들을 적극 고려하여 이민정책의 방향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한 후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이민이 인구 고령화의 충격을 해소할 수 있는가, 아니면 적어도 그 추세를 늦출 수 있을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인구 고령화에 대한 대책으로서 이민정책의 여러 가지 문제를 고찰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발생하는 국제인구이동의 규모와 추이를 파악하고, 그에 관한 정부의 이민정책을 전반적으로 평가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헌법적・법제적・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민정책이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2004년 고용허가제 그리고 2007년 방문취업제 및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의 ...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민정책이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2004년 고용허가제 그리고 2007년 방문취업제 및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의 시행 등으로 한국의 이민정책도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흔히 ‘다문화 정책’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의 공문서에서는 한글로는 ‘외국인 정책’, 영어로는 ‘immigration policy’가 사용된다. 그리고 법무부는 국적법을 고려하여 ‘이민정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여성가족부 등 다수의 중앙부처에서는 관례적으로 ‘다문화 정책’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처럼 용어도 통일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온정주의에 기초한 지원에 치중하는 반면 사회통합의 역할은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다양성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사회통합을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즉 사회통합을 가져오는 것은 다양성의 양적 증가가 아니라 다양성을 인정하는 개방적 태도의 질적 증가이다.
      다문화 시대의 이민정책은 국가를 구성하는 구성원의 유형과 법적 지위에 대한 연구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거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 정부는 다문화사회의 이민정책이라는 문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7년 이후 각종의 이민정책과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였고, 여성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대책, 혼혈인 및 이주자 지원방안, 재한외국인 처우개선,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설치 등의 사회통합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민정책 및 다문화 지원정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국내의 실태를 고려하여 그 수준을 결정해야 하고, 체류 외국인의 인권을 국제적 수준으로 보장하는 문제를 포함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토대로 장애 요인들을 적극 고려하여 이민정책의 방향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한 후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이민이 인구 고령화의 충격을 해소할 수 있는가, 아니면 적어도 그 추세를 늦출 수 있을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인구 고령화에 대한 대책으로서 이민정책의 여러 가지 문제를 고찰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발생하는 국제인구이동의 규모와 추이를 파악하고, 그에 관한 정부의 이민정책을 전반적으로 평가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헌법적・법제적・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헌재결 2000.8.31.97헌가12 (국적법 제2조 제1항 1호 위헌제청사건)"

      2 김태환, "헌법에 이민정책 철학 담아야"

      3 양천수, "헌법과 정의 : 유럽 법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 본 前提的試論" 유럽헌법학회 (3) : 2008

      4 정영철, "행정법의 일반원칙으로서의 적법절차원칙" 한국공법학회 42 (42): 579-613, 2013

      5 김게르만, "한인 이주의 역사" 박영사 2005

      6 설동훈,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이민정책" 비판사회학회 (106) : 73-114, 2015

      7 정기선,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백산서당 2011

      8 이혜경, "한국 이민정책의 수렴현상: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104-137, 2008

      9 이상윤, "한국 이민·다문화 정책 추진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사회통합 측면의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75-204, 2014

      10 오병훈, "한국 난민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정책개발학회 15 (15): 69-95, 2015

      1 "헌재결 2000.8.31.97헌가12 (국적법 제2조 제1항 1호 위헌제청사건)"

      2 김태환, "헌법에 이민정책 철학 담아야"

      3 양천수, "헌법과 정의 : 유럽 법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 본 前提的試論" 유럽헌법학회 (3) : 2008

      4 정영철, "행정법의 일반원칙으로서의 적법절차원칙" 한국공법학회 42 (42): 579-613, 2013

      5 김게르만, "한인 이주의 역사" 박영사 2005

      6 설동훈,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이민정책" 비판사회학회 (106) : 73-114, 2015

      7 정기선,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 백산서당 2011

      8 이혜경, "한국 이민정책의 수렴현상: 확대와 포섭의 방향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104-137, 2008

      9 이상윤, "한국 이민·다문화 정책 추진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사회통합 측면의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75-204, 2014

      10 오병훈, "한국 난민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정책개발학회 15 (15): 69-95, 2015

      11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12 김병록, "출입국관리행정과 인권문제 - 불법체류외국인 단속․보호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17 (17): 179-251, 2010

      13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14 황민철, "체류외국인 사회통합교육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55-85, 2017

      15 최웅선,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조정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 한독사회과학회 22 (22): 33-70, 2012

      16 박명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의식과 생활" 문학과 지성사 1996

      17 이민호, "중복 지원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08

      18 김강일, "중국조선족: 사회의 문화우세와 발전전략" 연변인민출판사 2001

      19 정신철, "중국조선족 : 그들의 미래는" 신인간사 2000

      20 한상복, "중국 연변의 조선족 : 사회의 구조와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21 정진화, "존 롤즈(John Rawls)의 분배정의론과 한국적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 50 (50): 75-101, 2016

      22 외국인정책위원회, "제3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2018

      23 Sen, Amartya, "정체성과 폭력: 운명이라는 환영" 바이북스 2015

      24 황택환, "정책네트워크모형을 통한 이민정책 사례연구" 명지대학교 2019

      25 Rawls, John, "정의론" 이학사 2019

      26 Sandel, Michael, "정의란 무엇인가" 김영사 2011

      27 박병기, "정의正義의 동양사상적 맥락과 21세기 한국사회" 한국학연구원 (55) : 25-50, 2014

      28 이정은, "정의, 분배 정의, 그리고 여성 -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의 논의에 기초하여 -" 한국여성철학회 15 : 151-179, 2011

      29 이종훈, "재중동포정책과 재외동포법의 개선 방향" 11 (11): 2001

      30 정재각, "이주정책론" 인간사랑 2010

      31 이혜경,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258-298, 2006

      32 Castles, Stephen, "이주의 시대" 일조각 2018

      33 Samers, Michael, "이주" 푸른길 2013

      34 이규용, "이민정책의 국제비교" 한국노동연구원 2020

      35 정정훈, "은폐되고 봉합되는 제도적 인종주의" 아름다운재단 / 공감 2010

      36 김성철, "우리나라의 공공선택론적 예산결정행태에 관한 연구: 예산담당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133-148, 2005

      37 최경수, "외국인력 및 이민 유입의 경제적 효과" KDI 2010

      38 하갑래, "외국인고용허가제의 변천과 과제"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2 : 333-389, 2011

      39 고혜원,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 과정" 한국정책학회 13 (13): 2004

      40 유희성, "순자의 분배적 정의와 이상사회" 경북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10 : 2011

      41 임영상, "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한민족"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42 박광성, "세계화시대 중국조선족의 초국적 이동과 사회변화" 한국학술정보 2008

      43 권태환, "세계의 한민족: 중국"

      44 권희영, "세계의 한민족: 독립국가연합" 통일원 1996

      45 이문웅, "세계의 한민족 : 일본" 통일부 1997

      46 김학성, "새로 쓴 헌법 : 이론과 문제" 박영사 2017

      47 강혜규, "사회보장사업 유사 중복성 분석의 시사점과 정책과제" (292) : 2015

      48 김병록, "불법체류 외국인 강제퇴거의 인권 문제" 법학연구원 17 (17): 23-52, 2010

      49 김선화, "복수국적자의 공무담임권 제한" 국회입법조사처 2011

      50 이채문, "동토의 디아스포라 : 러시아 극동지역과 한인들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경북대학교출판부 2007

      51 설동훈, "노동력의 국제이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52 최계영, "난민법의 현황과 과제" 경인문화사 2019

      53 이병하, "국제이주 연구에 있어 정치학적 접근과 방법론적 쟁점"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 (2): 2017

      54 신현기, "경찰학사전"

      55 이광규, "격동기의 중국조선족" 백산서당 2002

      56 하정훈, "강제송환금지의 원칙에 비추어 본 출입국항에서의 난민인정절차" 한국공법학회 46 (46): 393-426, 2017

      57 法務省入國管理局, "平成28년版出入國管理"

      58 전찬희, "人間의 尊嚴과 價値․幸福追求權"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17-326, 2010

      59 서 경, "『장자』의 자유관 연구:『제물론』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6 : 2009

      60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331905"

      61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829500120#csidxb53c07d73fce33384d49711fef2cc0b"

      62 "https://www.amnesty.org/"

      63 "https://tongblog.sdm.go.kr/79"

      64 "https://rhksfl.tistory.com/496"

      65 "https://namu.wiki/w/"

      66 "https://livill.blog.me/20093211169"

      67 "https://jugangyopo.blog.me/140167037359"

      68 "https://blog.naver.com/youidopolicy/220693999599"

      69 "https://blog.naver.com/bonbonuiii/221850846631"

      70 "http://www.segyelocalnews.com/news/newsview.php?ncode=1065625174653577"

      71 "http://www.mogef.go.kr/io/lib/down.do?file=WR021719.pdf"

      72 "http://www.iom-mrtc.org/business/business02_5.php?admin_mode=read&no=2..."

      73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84"

      74 "http://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47&ccfNo=2&cciNo=1&cnpC..."

      75 "http://blog.naver.com/youidopolicy/220693999599"

      76 Massey, Douglas, "Worlds in Motion: Understanding International Migration at the End of the Millennium"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7 Vertovec, Steven, "Transnationalism (Key Ideas)" Routledge 1999

      78 Patterson, Wayne, "The Korean Frontier in America: Immigration to Hawaii, 1896-1910"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8

      79 Hurh, Won Moo, "The Korean Americans" Greenwood Press 1998

      80 Castles, Stephen,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Palgrave Macmillan 2009

      81 Richmond, Anthony, "Social Theori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The Case of Refugees" 36 (36): 7-25, 1988

      82 "Situation Report on International Migration in East and South-East Asia" IOM 2008

      83 Fawcett, James, "Pacific Bridges: The New Immigration from Asia and the Pacific Islands" Center for Migration Studies 1987

      84 Yoon, In-Jin, "On My Own: 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 in Ame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7

      85 Basch, L., "Nations Unbound: Transnational Projects, Postcolonial Predicaments and Deterritorialized Nation-States" Gordon Breach 1994

      86 최유신, "John Rawls의 정의론 연구" 4 : 1994

      87 Tsuneo Akaha, "International Migration and Multicultural Coexistence in Japan : Resistance and Accommodation to Change" 아세아문제연구원 53 (53): 57-101, 2010

      88 Baubock, Rainer, "Diaspora and Transnationalism: Concepts, Theories and Methods" Amsterdam University Press

      89 Akaha, Tsuneo, "Crossing National Borders: Human Migration Issues in Northeast Asia"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6

      90 Min, Pyong Gap, "Changes and Conflicts: Korean Immigrant Families in New York" Allyn and Bacon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미국헌법연구
      외국어명 : Study on The American Constitu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2 0.79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