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빈곤경험과 행복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 A Grounded Theory Study on the Happiness Experiences of Korean Elderly Welfare Recip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97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행복 경험을 근거이론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수급노인이 경험하는 수급노인으로서의 삶이란 어떤 것인지, 어떠한 과정...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행복 경험을 근거이론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수급노인이 경험하는 수급노인으로서의 삶이란 어떤 것인지, 어떠한 과정과 구조를 통해 다르게 나타나는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행복을 받아들이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수급대상자 65세 이상 노인 9명을 대상으로 개인면접을 하였다. 행복경험의 인과적 조건은 가난의 침투였으며, 맥락적 조건은 가난한 노인 자격증 획득, 중심현상은 서러운 수급노인으로 나타났고, 중재적 조건으로 괜찮은 건강상태와 기댈 곳 있는 마음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그래도 희망하기, 혼자만의 동굴로 들어가기의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자족하는 삶이 되거나 체념하는 수급노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빈곤경험과 행복의 핵심범주는 ‘벼랑 끝 서러운 삶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잡고 행복을
      기대하기’이었다. 이 연구결과 수급노인의 행복을 위하여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전반적인 재담론화의 필요성, 구체적인 서비스와 프로그램 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elderly welfare recipients experienced happiness and investigate processes, structures and strategies that affected lives of the welfare recipients in terms of experiencing happiness. R...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elderly welfare recipients experienced happiness and investigate processes, structures and strategies that affected lives of the welfare recipients in terms of experiencing happiness.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9 elderly welfare recipients residing in Gyeonggi-do. This study found that causal condition of recipients' experiences of happiness is 'penetration of poverty'. Next, contextual condition is 'becoming certified poor elderly people' and the main phenomenon is identified as 'sorrowful older adults under the Korean public assistance program'. Intervening
      conditions are identified as 'good health condition' and 'having emotional support'.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to increase their happiness are 'holding onto hope' and 'going into one's own cave' which indicate experiences of elderly people who are either content with or giving up their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proposed reconstruction of overall discourse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and service and program implications to increase elderly welfare recipients' happi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검토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숙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과 고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15 (15): 119-126, 2009

      2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22 (22): 1-33, 2003

      3 임은기, "한국 노인의 행복 요인 탐색과 척도개발" 한국노년학회 29 (29): 1141-1158, 2009

      4 이경욱, "포커스집단을 통한 도시 노인의 삶의 질 개념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269-290, 2008

      5 이정균, "최신정신의학" 일진각 1987

      6 이현주, "쪽방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삶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33-62, 2013

      7 권지성, "쪽방 거주 노인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2 (2): 63-84, 2008

      8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9 권지성, "저소득층이 경험하는 행복의 맥락"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53-78, 2013

      10 최해경,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07-222, 2002

      1 장숙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행복과 고독감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동서간호학연구소 15 (15): 119-126, 2009

      2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22 (22): 1-33, 2003

      3 임은기, "한국 노인의 행복 요인 탐색과 척도개발" 한국노년학회 29 (29): 1141-1158, 2009

      4 이경욱, "포커스집단을 통한 도시 노인의 삶의 질 개념 연구" 한국노년학회 28 (28): 269-290, 2008

      5 이정균, "최신정신의학" 일진각 1987

      6 이현주, "쪽방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삶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33-62, 2013

      7 권지성, "쪽방 거주 노인의 생활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2 (2): 63-84, 2008

      8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9 권지성, "저소득층이 경험하는 행복의 맥락"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53-78, 2013

      10 최해경, "저소득층 조손가정 여성노인의 우울감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07-222, 2002

      11 백학영, "저소득 독거노인의 빈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1) : 5-39, 2006

      12 정운영, "저소득 노인가계와 고소득 노인가계의 소비지출구조 및 결정요인의 비교"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21-48, 2010

      13 손화희, "재가복지 수혜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19 (19): 83-103, 1999

      14 김용순, "재가 저소득계층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29 (29): 1313-1325, 2009

      15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29-643, 2009

      16 오영희, "우리나라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상태의 관련성 연구" 한국노년학회 26 (26): 461-476, 2006

      17 주경희, "사회참여노인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 - 성별과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5-39, 2011

      18 박웅섭, "빈곤층의 삶의 질에 지역사회 복지자원이 미치는 영향 : 노인 수급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9 오혜인, "빈곤 남성노인이 경험하는 연령차별(Ageism)에 관한 연구 : 현상학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5 (15): 41-78, 2014

      20 박미진, "노인의 우울과 지지네트워크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빈곤노인과 비빈곤노인의 비교"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0 (40): 207-233, 2012

      21 정순둘, "노인부양가족의 가족신념체계와 부양부담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5) : 67-88, 2009

      22 이은주, "노인복지정책의 연대성효과 - 빈곤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학회 (38) : 177-200, 2015

      23 한석태, "노인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의 비교" 한국행정학회 42 (42): 441-461, 2008

      24 세계일보, "노인 빈곤율 상승 “OECD 1위”"

      25 정명숙,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노인복지학회 (37) : 249-274, 2007

      26 배나래,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761-779, 2009

      27 박미정, "국민기초생활수급 여성독거노인의 일상생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62-91, 2010

      28 유상란,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행복의 조건-14'의 효과검증" 釜山大學校 敎育大學院 1988

      29 이형석, "「노인삶의질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의 표준화"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859-881, 2003

      30 Waehrer, K, "The impact of coresidence on economic well-being of elderly Widow" 50 (50): 250-258, 1995

      31 Argley, M, "The Psychology of Happiness" Routledge 2001

      32 Knight, Tess A, "Successful Aging: Perceptions of adults aged between 70 and 101 years" 56 (56): 223-245, 2003

      33 Diener, E, "Subject well-being" 95 (95): 542-575, 1984

      34 Keyes, C. L. M, "Optimizing well-being: The empirical encounter of two traditions" 82 (82): 1007-1022, 2002

      35 한겨레, "OECD “노인 빈곤율 줄여야“ 권고"

      36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1981

      37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