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 분석 = The Factor Analysis on Practical Knowledge toward Special School Teachers' Curriculum and I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8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factor analysis on practical knowledge toward special school teachers'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1,717 special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one is for curriculum of 24 questions with 5 Likert scale, and the other one is for instruction of 21 questions with 5 Likert scale. The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factor analysis to keep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ward curriculum and instruction was different based on the teachers' schools (the typ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levels of the schools (kindergarten and elementary between middle and post-secondary); (b)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ward curriculum and instruction was consisted with various sub factors; and (c)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ward curriculum was a necessary condition, but not sufficient condition in teaching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as analyzed into various sub facto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factor analysis on practical knowledge toward special school teachers'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1,717 special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factor analysis on practical knowledge toward special school teachers' curriculum and instruction. The 1,717 special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one is for curriculum of 24 questions with 5 Likert scale, and the other one is for instruction of 21 questions with 5 Likert scale. The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factor analysis to keep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ward curriculum and instruction was different based on the teachers' schools (the typ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levels of the schools (kindergarten and elementary between middle and post-secondary); (b)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ward curriculum and instruction was consisted with various sub factors; and (c)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ward curriculum was a necessary condition, but not sufficient condition in teaching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as analyzed into various sub fac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의 특수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1,71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 대한 문항은 5점 척도 24문항, 수업에 대한 문항은 5점 척도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및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장애유형, 교직경력, 학교급별 등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에는 각각 다양한 하위 요인들이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특수학교 교사의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에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함께 구성되어 있으므로, 교육과정이 좋은 수업의 결과로 연계되는 것은 아님을 이 연구에서는 또한 시사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의 특수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1,71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 대한 문항은 5점...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국의 특수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1,71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 대한 문항은 5점 척도 24문항, 수업에 대한 문항은 5점 척도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는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및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장애유형, 교직경력, 학교급별 등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에는 각각 다양한 하위 요인들이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특수학교 교사의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요인에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함께 구성되어 있으므로, 교육과정이 좋은 수업의 결과로 연계되는 것은 아님을 이 연구에서는 또한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수, "협력 중심의 창의적 지식구성을 위한 융합형 학습환경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95-119, 2012

      2 최성규, "특수학급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모형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59-83, 2010

      3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 및 수업실행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형별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55-78, 2011

      4 박남수, "특수교사의 수업설계 및 실천과정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671-676, 2012

      5 전병운,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53-75, 2011

      6 이윤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업실행 구성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혜경,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 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에 대한 분석 - 인지적 접근과 정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5 (35): 265-285, 2011

      8 엄태동, "초등교육의 재구조화" 학지사 2010

      9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10 이미숙, "초등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11-338, 2012

      1 김영수, "협력 중심의 창의적 지식구성을 위한 융합형 학습환경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8 (18): 95-119, 2012

      2 최성규, "특수학급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모형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59-83, 2010

      3 최성규, "특수학교 교사의 교육 및 수업실행에 대한 인식과 장애유형별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55-78, 2011

      4 박남수, "특수교사의 수업설계 및 실천과정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671-676, 2012

      5 전병운,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53-75, 2011

      6 이윤미, "초등학교 특수학급 수업실행 구성요인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혜경,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 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에 대한 분석 - 인지적 접근과 정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5 (35): 265-285, 2011

      8 엄태동, "초등교육의 재구조화" 학지사 2010

      9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10 이미숙, "초등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311-338, 2012

      11 최성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관계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9 (19): 169-191, 2012

      12 조분래,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환교육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6

      13 김경옥,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03-124, 2012

      14 정현우,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의 구성요소와 구조 탐색"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143-166, 2012

      15 천경록, "읽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간의 정합성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88 (88): 113-134, 2011

      16 박경란, "일본 농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9 (9): 91-116, 2010

      17 윤지영, "유아교사의 음악수업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113-141, 2011

      18 권주석, "수학적 게임이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24, 2007

      19 김지선, "수업반성을 통한 교육과정 실행가로서의 교사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187-208, 2011

      20 박재현, "국어 수업에서의 소외 현상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연구소 1-10, 2009

      21 김두정,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혼합적 연구 방법을 통한교사의 실천적지식의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7-157, 2009

      22 박민정,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47-270, 2012

      23 김선구, "교수학습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를" 14 : 57-73, 2011

      24 권혁일, "교수전략에 대한 초등교사와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3-146, 2012

      25 성열관, "교수적 실천의 유형학 탐색: Basil Bernstein의 교육과정 사회학 관점"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71-96, 2012

      26 박경선,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맥락설계 원리 및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1-37, 2011

      27 김무영,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갖는 일상성 탐구: 체육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21-49, 2012

      28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논의-사회과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01-124, 2005

      29 조영미, "과학 실험 수업에 관한 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구조’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0 (30): 162-171, 2011

      30 유은정, "과학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생애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971-987, 2010

      31 박성만,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수업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991-1006, 2012

      32 Lewis, C., "What is the nature of knowledge development in lesson study?" 17 (17): 95-110, 2009

      33 Charalambous, C. Y., "Two negatives don't always make a positive: Exploring how limitations in teacher knowledge and the curriculum contribute to instructional quality" 44 (44): 489-513, 2012

      34 Hameyer, U., "Transforming domain knowledge: A systemic view at the school curriculum" 18 (18): 411-427, 2007

      35 Aceti, K. J.,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ultimeaning words within a metacognitive based curriculum" 155 (155): 118-123, 2010

      36 Harris, J. B.,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in action: A descriptive study of secondary teachers' curriculum-based, technology-related instructional planning" 43 (43): 211-229, 2011

      37 Charalambous, C. Y., "Teacher knowledge, curriculum materials, and quality of instruction: Unpacking a complex relationship" 44 (44): 443-466, 2012

      38 Charalambous, C. Y., "Teacher knowledge, curriculum materials, and quality of instruction: Lessons learned and open issues" 44 (44): 559-576, 2012

      39 Polly, D., "TPACK: Where do we go now?" 53 (53): 46-47, 2009

      40 Paik, S., "Supporting science teachers in alignment with state curriculum standard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s' preparedness, expectations and their fulfillment" 20 (20): 422-434, 2011

      41 Greer, D.,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 perspective on content knowledge" 24 (24): 196-203, 2009

      42 Diliberto, J. A., "Six tips for successful IEP meetings" 44 (44): 30-37, 2012

      43 Devís-Devís, J., "Selection of printed curriculum materials in physical education: Recontextualizing pedagogical knowledge" 17 (17): 19-34, 2011

      44 Reyes-García, V., "Schooling and local environmental knowledge: Do they complement or substitute each other?" 30 (30): 305-313, 2010

      45 Eiriksdottir, E., "Procedural instructions, principles, and examples: How to structure instructions for procedural tasks to enhance performance, learning, and transfer" 53 (53): 749-770, 2011

      46 Beauchamp, G., "Musical elements and subject knowledge in primary school student teachers: lessons from a five-year longitudinal study" 27 (27): 305-318, 2010

      47 Eilam, B., "Learning to teach: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of the complexity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15 (15): 87-107, 2009

      48 Shechtman, N., "Investigating links from teacher knowledge, to classroom practice, to student learning in the instructional system of the middle-school Mathematics classroom" 28 (28): 317-359, 2010

      49 Buczynski, S., "Impa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 practice: Uncovering connections" 26 (26): 599-607, 2010

      50 Chen, C., "Exception discrepancy in the integration of constructivist-instruction technology into a teacher education course" 37 (37): 65-77, 2010

      51 Graham, C., "Diagramming TPACK in practice: Using an elaborated model of the TPACK framework to analyze and depict teacher knowledge" 53 (53): 70-79, 2009

      52 Zeece, P., "Curriculum design strategies in emergent literacy: The role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literature selections" 37 (37): 2010

      53 Leko, M., "Crafting 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pecial educators: What school leaders should know" 42 (42): 64-70, 2009

      54 Baldoni, M., "Constraint modeling for curriculum planning and validation" 19 (19): 81-123, 2011

      55 Liu, L., "An investigation on experienced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27 (27): 20-34, 2010

      56 Shreeve, A, "A phenomenographic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ractice and teaching your practice to others.Studies in Higher" 35 (35): 691-703,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